뮤지컬

한글과 사랑에 빠진 할머니들의 유쾌한 인생예찬~!

이화미디어 2025. 2. 13. 22:05
반응형

 

인생 팔십줄에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할머니들의 감동적인 실화

다큐멘터리 ;칠곡 가시나들'과 에세이 『오지게 재밌게 나이듦』 뮤지컬로 재탄생!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화제의 다큐멘터리 영화 '칠곡 가시나들'과 에세이 도서 『오지게 재밌게 나이듦』이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로 재탄생했다. 

 

'가난해서’, ‘여자라’ 글을 배우지 못 할머니들이 문해학교에 다니며 설렘으로 가득 찬 새로운 세상을 만난 모습을 따뜻하게 그린 작품이다.

 

원작 다큐멘터리 '칠곡 가시나들'은 2019년 개봉 당시 대형 배급사 없이도 입소문만으로 4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으며, 9.48점(네이버 평점, 10점 만점)이라는 높은 관람객 평점을 기록했다. 

 

특히 영화 속에 인용된 할머니들의 담백하면서도 진솔한 시가 관객들의 찬사를 이끌어냈다. 또 다른 원작인 에세이 『오지게 재밌게 나이듦』은 영화 '칠곡 가시나들'을 연출한 김재환 감독이 3년 동안 할머니들의 일상을 지켜보며 얻은 깨달음을 섬세하게 풀어낸 책으로, 시트콤처럼 재미난 일화와 할머니들의 시를 엮어 재밌게 나이 드는 을 전달한다. 

 

뮤지컬은 영화와 에세이에 등장하는 칠곡 할머니들의 실제 일화를 재구성해 팔복리라는 가상의 마을을 배경으로 문해학교에 다니는 네 할머니의 이야기를 그린다. 

 

 평생 글을 읽지 못하는 설움과 창피함 속에 살았던 할머니들이 글을 배우고 시를 쓰면서 인생의 재미를 되찾는 이야기로한글을 깨치고 새로운 세상에 눈 뜬 할머니들의 설렘 가득한 일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나이에 상관없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비결을 가르쳐준다.

 

 

할머니들의 인생이 담긴 시, 노래로 피어나다!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의 뮤지컬 넘버는 모두 실제 칠곡 문해학교 할머니들이 쓴 시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흥겨운 노래로 재탄생한 시는 원작과는 또다른 감동을 안겨줄 예정이다. 특히 성인문해교육 시화전 수상작, 중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작을 토대로 만들어진 뮤지컬 넘버는 공연을 관람하는 성인 문해 학습자 및 청소년 학생들에게 반가움을 느끼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과 더불어 매년 전국 성인문해교육 시화전을 개최하, 문해교육이 주는 행복과 기쁨을 표현하는 시 쓰기를 장려하고 있다.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의 뮤지컬 넘버 ‘닭’과 ‘내 이름 이분한’은 각각 전국 성인문해교육 시화전 수상작 ‘무서운 손자’(강춘자), ‘내 이름 분한이’(권분한)의 시구를 가사로 활용다.

 

할머니들이 전국 시 낭송 대회에서 발표하는 장면을 담은 뮤지컬 넘버 (詩)는 천재교과서에서 출판한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린 4편의 시 이뿌고 귀하다’(박월선), ‘도래꽃마당’(김두선), ‘어무이’(이원순), ‘처음 손잡던 날’(강금연)에 음악을 붙인 곡으로교과서로 먼저 시를 접한 학생들에게 색다른 감상을 선사한다.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신작 선정, 최정예 창작진이 보증하는 기대작!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제작사 라이브가 주관하는 창작뮤지컬 공모전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7을 통해 2022년부터 개발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수정과 실연 심의를 거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공연 제작 지원사업 ‘2024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신작으로 선정되었다. 

 

2023년 리딩 쇼케이스와 2024년 실연 심의를 통해 미리 관객과 만난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은 깔깔 웃으면서 엉엉 대성통곡했다”, “우리 할머니 생각이 나서 눈물이 났다”, “같이 보러 간 엄마도 좋아하셨다라는 호평을 끌어내며 세대 공감 뮤지컬의 탄생을 알렸다.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에는 원작 영화 '칠곡 가시나들'을 연출하고 에세이 『오지게 재밌게 나이듦』을 집필한 김재환 감독이 직접 예술감독으로 참여해 힘을 보탠다. 

 

김재환 감독은 MBC 교양PD 출신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으로, TV 맛집 정보 프로그램의 비리를 고발한 '트루맛쇼'로 12회 전주국제영화제 관객상’, ‘7회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영화계 부문을 수상한 바 있다.

 

'칠곡 가시나들'은 김재환 감독 사회 문제를 날카롭게 고발한 전작과 달리 어머니가 친구와 함께 까르르 웃으며 볼 수 있는 영화’를 목표로 만든 작품으로, 이러한 뒷이야기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다큐멘터리 PD의 이야기에도 녹아 있다.

 

원작의 감동을 무대로 옮기기 위해 의기투합한 뮤지컬 창작진의 면면도 믿음직하다. 뮤지컬 '랭보' '팬레터' '마리 퀴리' 등을 제작한 K-뮤지컬 세계화의 선두주자 강병원 프로듀서를 필두로, 뮤지컬 '시티 오브 엔젤' '다윈 영의 악의 기원'연극 '라스트 세션'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 등을 통해 뮤지컬과 연극, 희극과 비극을 넘나드는 연출력을 보여준 오경택 연출가, 뮤지컬 '김종욱 찾기' '오! 당신이 잠든 사이' '마이 버킷 리스트' 등 스테디셀러 창작 뮤지컬을 탄생시킨 김혜성 작곡가가 참여한다. 

 

극본은 뮤지컬 '수레바퀴 아래서' '제시의 일기' 등 휴머니즘이 살아 있는 작품으로 주목받은 김하진 작가가 맡았다.

 

문해학교 단체관람 문의 쇄도할머니 학생들의 인생 첫 뮤지컬!

 

한글을 배우고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 할머니들의 실화를 담은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첫 대본 리딩에 1세대 문해교육 기관 ‘푸른어머니학교’의 학생 2명을 초청해 따뜻한 교감의 시간을 가졌다. 

 

문해학교 학생과 뮤지컬 배우가 함께한 특별한 대본 리딩 현장은 12월 13일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공식 유튜브 채널 성인문해교육 시리즈 ‘모범생’을 통해 공개되었다. 

 

또한 지난 연말부터 1월 31일까지 문해학교 위한 특별 할인을 제공해 생들의 단체 관람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국가문해교육센터 뿐 아니라 수도권 주요 문해학교인 창세학교, 작은사랑 태청야학, 신갈야간학교, 사랑나무야학 등에서 단체 관람을 신청하며 작품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텍스트힙의 시대, 시 쓰는 힙한’ 할머니들이 온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독서 열풍이 확산되며 읽고 쓰는 행위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MZ 세대를 중심으로 읽고 쓰는 행위를 하게 여기는 ‘텍스트 힙(Text Hip)’이 문화 트렌드로 떠오른 요즘, 팔순의 나이에 글을 배우고 시를 쓰기 시작한 힙한’ 할머니들의 이야기는 젊은 세대와 공감대를 형성하며 색다른 감동을 전할 예정이다.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은 무대에서 쉽게 만나기 힘든 노년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눈길을 끈다. 

 

가시나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배울 기회를 빼앗긴 할머니들이 떨리는 손으로 써내려 간 자신의 이야기 여성 관객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던 원작에 이어 또 한 번 ‘그래니 크러쉬’ 열풍을 예고한다.

 

뮤지컬 넘버

 

M01. 공부  할머니들

M02. 아이고  할머니들

M03. 한글이  잡네  할머니들가을

M04. 보물찾기  가을석구

M05. 우리는 가시나  모두

M06. 첫사랑  인순첫사랑

M07. 화상  할머니들, 가을

M08. 영감 보고 있소? - 인순

M09. 노래자랑  모두

M10.  꿈은 가수  춘심

M11.   영란손주

M12. 엄마 () 영란

M13. 호랭이가 물어갈   분한할아버지분한 

M14.  이름 이분한  분한

M15. 글자를 배우니  할머니들 

M16. 보물찾기 rep  모두

M17. (詩)  할머니들

M18.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할머니들

M19. 우리는 가시나 rep  모두

 

공연명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원작 영화 '칠곡 가시나들' 감독: 김재환
도서 『오지게 재밌게 나이듦』(북하우스) 원작자: 김재환, 기획: 고래방(최지은)
공연기간 2025년 2월 11일(화)~2월 27일(목)
공연시간 화∙목 19:30 / 수금 14:00, 19:30 / 토공휴일 14:00, 18:00 / 일 14:00 (월 쉼)
공연장소 국립극장 하늘극장
티켓가격 석 66,000원
러닝타임 85분
관람연령 8세 이상 관람가
제작 라이브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매처 인터파크티켓, 국립극장
문의 클립서비스 1577-3363
출연진 영란|구옥분, 김아영
춘심|박채원
인순|허순미
분한|강하나, 이예지
석구|강정우, 김지철
가을|하은주
창작진 프로듀서 | 강병원 
예술감독 | 김재환
극작 | 김하진 
작곡·음악감독 | 김혜성 
연출 | 오경택
안무 | 신선호
무대디자인 | 이엄지
조명디자인 | 원유섭
음향디자인 | 한문규
영상디자인 | 박상연
의상디자인 | 최윤정 
분장디자인 | 장유영
소품디자인 | 권민희
기술감독 | 방한석
무대감독 | 조아라
기획피디 | 배경희
제작감독 | 김아름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