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창작자들, 직접 만든 작품으로 무대에 서다!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12기 성료
- 예술가를 꿈꾸는 19~24세 청년 58명과 현업 예술가가 함께 진행하는 창작 워크숍
- 윤혜숙 연출가, 윤성호 극작가, 이성직 연출가 강사로 참여
- 연기·연출, 희곡, 공연 만들기 워크숍 각 10회 진행, 창작 작품 무대에서 선보이며 마무리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재)두산연강재단 두산아트센터(센터장 강석란)와 한국메세나협회(회장 윤영달)가 주관하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받은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12기'가 1월 8일부터 2월 17일까지의 과정을 마무리했다.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은 예술가를 꿈꾸는 19~24세 청년들에게 창작 기회를 제공하고, 꿈을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참여자들은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예술가들과 함께 실질적인 창작 활동을 경험하며 최종 작품을 만들게 된다. 2019년부터 김수정, 진주, 성수연, 신유청, 이향하 등 다양한 예술가들과 연기, 연출, 희곡, 무대미술, 음악 등 폭넓은 장르의 창작 워크숍을 매년 진행해왔다. 이번 12기는 윤혜숙 연출가, 윤성호 극작가, 이성직 연출가가 워크숍을 맡았다.
지금까지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에는 600여 명의 예비 예술가가 참여했다. 이들은 워크숍에서 창작한 작업을 정식 공연으로 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작품으로 확장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워크숍 이후에도 독립적으로 혹은 함께 팀을 이루어 창작 활동을 지속하며 현장에서 활약하고 있다. 특히, 안무∙연기∙연출 워크숍 5기 참여자인 강동훈 극작가는 2024년 DAC Artist(두산아트센터 아티스트)로 선정되어, 오는 10월 신작 '도그 워커의 사랑'을 두산아트센터 Sapce111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희곡 워크숍 10기 참가자인 해서우 극작가는 2025년 매일 신춘문예 희곡∙시나리오 부문에 당선되기도 했다.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12기 ▲연기·연출 워크숍은 ‘나머지 연극’을 주제로 윤혜숙 연출가가 진행했다.
참여자들은 연극의 관습을 해체하며, 기존 서사에서 중심이 되지 않았던 요소들을 재조명해 ‘나머지’를 기반으로 새로운 공연을 창작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실제 공연 창작 과정에 적용하여 최종 무대를 선보였다.
▲희곡 워크숍은 ‘영감과 기술 사이’를 주제로 2024년 동아연극상 ‘작품상’을 수상한 윤성호 극작가가 맡아, 희곡 쓰기의 본질과 창작 과정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참여자들은 희곡이란 무엇인지 고민하며, 인물과 플롯을 구축하는 기초를 익혀 각자의 희곡을 완성했다. 완성된 희곡은 실제 배우들의 목소리를 통해 낭독 공연으로 무대에 올랐다.
▲공연 만들기 워크숍은 이성직 연출가가 ‘지금 내 몸에 (그나마) 맞는 공연 발생시키기’를 주제로 진행했다.
참여자들은 공연과 몸의 관계를 탐색하며, 일상에서 소재를 발견해 창작 단위를 형성하고 공연을 구성·발전시키는 실험적 창작 과정을 거쳤다. 5개의 팀으로 나뉜 참여자들은 각자의 무대를 만들어 선보였다.
희곡 워크숍 강사 윤성호 극작가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참여자들이 익숙한 틀에서 벗어나, 스스로 고민하고 탐색하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법을 배워 갔기를 바랐다.
무대 위에서 각자의 고민과 시선을 풀어낸 참여자들의 모습이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창작 방식을 배우고 시도할 수 있어 매우 흥미로웠다.”며, “새로운 창작 방식에 대한 불확실함이 있었지만, 이번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여자는 “또래 예술가들과 함께 작업하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성장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뜻깊었다.”고 전했다.
'두산아트스쿨'은 두산아트센터가 2008년부터 운영해 온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이다. '두산아트스쿨: 미술', '두산아트스쿨: 공연',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등 대중 강연부터 워크숍까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난 프로그램은 두산아트센터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다. www.youtube.com/doosanartcenter
기 간 | 2025.1.8(수)~2.17(월) *발표회: 2.14(금), 2.15(토), 2.17(월) |
참여대상 | 19~24세 청년(연나이 기준, 2001~2006년 출생자) |
인 원 | 워크숍별 20명 이내 |
주 최 | (주)두산 |
주 관 | (재)두산연강재단 두산아트센터, 한국메세나협회 |
지 원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1) 희곡 워크숍
기 간 | 1.8(수)~2.12(수) 매주 수,토 오후 2시~5시 *발표회: 2.15(토) |
참여대상 | 19~24세 청년(연나이 기준, 2001~2006년 출생자) 누구나(전공/경험 유무 무관) |
강 의 | <영감과 기술 사이> ① 나는 OO입니다. 나는 OO을 원합니다. 너는 OO입니다. 너는 OO을 원합니다. ② <바냐 아저씨>에서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까지 ③ 워밍업: 난 희곡을 몰라요(절망편) ④ 희곡은 무엇일까? ⑤ 희곡을 쓸 준비 2: 인물 ⑥ 희곡을 쓸 준비 3: 플롯 ⑦ 이번엔 준비가 됐어. 다시 무작정 써보기 ⑧ 이런 방법을 추천합니다! 이런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⑨ 리얼함에 대하여. 관객과 무엇인가를 공유함에 대하여 ⑩ 발표회 |
강사소개 | ![]() 윤성호 극작가 작/연출 연극 <화성에서의 나날 : 파트 1><죽음의 집><미인–거기 있던 말들><미인><해맞이> 작 연극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누수공사><이런 꿈을 꾸었다> 연출 오페라 <사막 속의 흰개미>, 연극 <노스체><나선은하><외계인들><오해><자연사 박물관> 각색 연극 <녹천에는 똥이 많다><꿈이 아닌 연극> 수상 2024 제61회 동아연극상 작품상 <화성에서의 나날: 파트1> 2020 제41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연출상 <죽음의 집> 외 |
기 간 | 1.9(목)~2.13(목) 매주 월,목 오후 3시~6시 *발표회: 2.17(월) |
참여대상 | 19~24세 청년(연나이 기준, 2001~2006년 출생자) 전공자(휴학/졸업생 포함) 또는 공연 제작 유경험자 |
강 의 | <지금 내 몸에 (그나마) 맞는 공연 발생시키기> ① 오리엔테이션 ② 1인 창작 (1) ③ 1인 창작 (2) ④ 창작 단위 꾸리기 ⑤ 그래서 공연은 언제 준비할 건데? (1) ⑥ 그래서 공연은 언제 준비할 건데? (2) ⑦ 공연 준비 (1) ⑧ 공연 준비 (2) ⑨ 공연 준비 (3) ⑩ 그래서 우리는 공연을 (과연) 발생시켰나? |
강사소개 | ![]() 이성직 연출가 공연 <열린 연극회: 오픈 오케스트라 쇼><펄프 픽션><아파야 낫는다 건강백세!> <감자전스www.gamjajeons.com><렛츠 버딩!><만성탈수 간병하기> |
3) 연기·연출 워크숍
기 간 | 1.14(화)~2.11(화) 매주 화,금 오후 1시~4시 *발표회: 2.14(금) |
참여대상 | 19~24세 청년(연나이 기준, 2001~2006년 출생자) 전공자(휴학/졸업생 포함) 또는 연기/공연 연출 유경험자 |
강 의 | <나머지 연극> ① 1강: 프로그램 소개 ② 2강: 기존의 관습/극대화하기 ③ 3강: 연극의 4요소 하나씩 삭제해보기 (1) ④ 4강: 연극의 4요소 하나씩 삭제해보기 (2) ⑤ 5강: 나머지들을 엮어서 이야기 만들기 등 ⑥ 6강: 팀 결성 및 공간 투어 등 ⑦ 7강: <나머지 연극> 공연 준비 (1) ⑧ 8강: <나머지 연극> 공연 준비 (2) ⑨ 9강: 리허설 ⑩ 10강: 발표회 |
강사소개 | ![]() 윤혜숙 연출가(래빗홀씨어터 대표) 연극 <시차><은의 혀><더 라스트 리턴><정희정><세컨드 찬스><편입생> <당신을 초대합니다><모자_숨_스물다섯><춤의 국가><마른대지> <우리는 이 도시에 함께 도착했다> 수상 2022 제1회 서울예술상 연극부문 우수상 <정희정> 2020 두산연강예술상 ‘공연 예술부문’ 2020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선정 ‘올해의 연극 베스트 3’ <마른대지> 2020 월간 한국연극 선정 ‘공연 베스트 7’ <마른대지> |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