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가을...도시 전역을 공연예술로 물들일 첫 발 내딘다”서울문화재단, '2025 서울어텀페스타' 추진위원회 발족
▶ 가을에 집중된 순수공연예술 모은 시즌 브랜드 '서울어텀페스타' 오는 10월 첫선
▶ 민간을 중심으로 공공이 협력하는 글로벌 통합 플랫폼...예술계 新 협력모델에 환영
▶ 김준수, 대니구부터...협단체, 축제조직 등 공연계 현장중심 추진체로 120여명 참여
▶“서울의 가을은 공연예술도시로...품격과 경쟁력 갖춘 글로벌 문화예술도시 될 것”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순수공연예술이 폭발하는 ‘서울의 가을’시즌에 맞춰 순수공연예술로 도시 전역을 물들일 서울 대표 시즌 브랜드 ‘2025 서울어텀페스타(Seoul Autumn Festa)’를 론칭, 지난 21일(월) 대학로극장 쿼드서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열며 그 시작을 알렸다.
서울어텀페스타는 서울에서 발표되는 연극, 무용, 음악, 전통예술 등 순수공연예술 공연과 축제가 가을에 집중되어 있는 점에서 착안해 이들의 정보를 하나의 브랜드로 묶어 소개하는 통합브랜드 플랫폼이다.
‘공연예술 현장 중심’으로 설계된 이 플랫폼은 민간 예술협/단체와 서울문화재단, 그리고 서울시가 추진체로 구성돼, 서울이 지닌 공연예술의 가치를 국내외로 널리 알리기 위한 ‘도시 브랜딩 정책’의 일환으로, ‘민관협력 파트너십’ 기반의 주요 차별점을 갖췄다.
추진위원회에는 김준수, 대니구 등 예술가를 비롯해 한국연극협회, 국제극예술협회, 한국여성연극협회 등 민간협단체, 서울국제음악제, 서울세계무용축제 등 축제조직과 자치구 문화기관 관계자 등 총 120여 명이 참여했다.
공동추진위원장은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와 최태지 전 국립발레단장이 맡고, 기획위원회, 자문위원회, 홍보위원회, 참여사업단 등 4개 분과 체계로 운영한다.
발족식에는 장르별 민간예술단체과 예술인을 비롯해 서울시 관계자, 시의원 외에 많은 문화예술기관장들이 자리했다. 현장에서는 서울어텀페스타의 사업 방향과 운영 구조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한편, 예술현장 중심의 민관 파트너십 확산 필요성에 대해 깊이 공감하는 시간을 가지며 이 자리의 의미를 한층 더했다.
공동추진위원장을 맡은 최태지 전 국립발레단장과 공동 운영 주체로 참여하는 민간단체와 예술가들은 서울의 시즌형 문화브랜드의 출범에 대한 기대감을 표하며, 시 정책 차원에서 공연예술 생태계의 체계화와 국체화 기반 마련에 긍정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했다.
특히 올 상반기에 진행한 1차 참여사업 공개모집으로 30개 우수 민간예술단체의 공연 작품을 기반으로 민간 중심의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이어 현재 진행중인 2차 공모(8월 1일까지)를 통해, 소극장을 비롯한 서울시내 곳곳에서 열리는 축제와 신진예술가 작품 등 폭넓은 예술현장의 콘텐츠를 추가 모집해 첫 발을 떼는 서울어텀페스타가 한층 더 풍성하게 구성될 것을 기대한다.
서울은 국내에서 공연예술 자원이 가장 밀집되어 있고 가을에는 특히 수많은 창작 발표가 집중됨에도 불구하고 공연장, 기관, 축제 단위로 개별 브랜딩을 해왔다.
이로 인한 예술 콘텐츠의 홍보 분산과 정책적 통합성 부족 등은 도시 브랜드로 발전하기에 한계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서울어텀페스타는 민간 공연예술 현장을 중심으로 공공이 협력하는 파트너십을 기획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의 공연예술 통합 브랜드를 기획해 서울만의 독창적인 공연예술 시즌을 정착시키는 것이 목표다.
2년차인 내년에는 국내외 예술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는 국제공연예술 플랫폼으로 기능 확대할 예정이며, 중장기적으로는 서울을 방문하는 세계인이 서울의 가을을 만끽 할 수 있는 ‘글로벌 공연예술 중심 도시 서울’을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 |
![]() |
최태지 공동추진위원장(민간)이 21일 서울문화재단 대학로극장 쿼드에서 열린 ‘2025 서울어텀페스타’ 추진위원회 발족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송형종 공동추진위원장(공공)이 21일 서울문화재단 대학로극장 쿼드에서 열린 ‘2025 서울어텀페스타’ 추진위원회 발족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 |
![]() |
21일 서울문화재단 대학로극장 쿼드에서 열린 ‘2025 서울어텀페스타’ 추진위원회 발족식에서 참여 예술가들이 성공을 기원하고 있다. | 배우 박지일이 21일 서울문화재단 ‘2025 서울어텀페스타’ 추진위원회 발족식에서 위촉 소감을 말하고 있다. |
![]() |
![]() |
21일 서울문화재단 대학로극장 쿼드에서 열린 ‘2025 서울어텀페스타’ 추진위원회 발족식에서 홍보위원 바이올리니스트 대니구가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의 다양한 순수공연예술 자원을 통합홍보하여 예술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문화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7월 21일 민간-공공 협의체인 ‘2025 서울어텀페스타’ 추진위원회를 발족했다. |
올해는 브랜드 통합의 시작 단계로, 서울의 가을철 공연예술 콘텐츠를 하나로 모으는 시즌 브랜드 운영 체계를 우선적으로 구축한다.
브랜드에 참여하는 민간과 공공의 작품과 축제는 서울어텀페스타 통합홍보 캠페인과 내·외국인 대상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관객과 통합적으로 연결된다.
이 플랫폼은 궁극적으로 서울의 공연예술을 국제 무대에 유통하고, 서울이 공연예술 중심의 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다.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는 “서울어텀페스타는 예술가와 시민, 도시와 계절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예술현장 중심의 창작 생태계 강화,
▲시민의 공연예술 접근성 확대,
▲서울의 글로벌 문화도시 경쟁력 제고
라는 세 가지 과제를 중점 추진할 예정”이라며, “단순한 콘텐츠 통합을 넘어 서울의 가을을 공연예술로 대표하고, 브랜드를 기반으로 도시의 품격과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 서울어텀페스타는 10월 4일 개막행사를 시작으로 11월 12일까지 총 40일간 운영되며, 서울 전역의 주요 공연장과 서울광장, 대학로, 노들섬, 청계천, DDP 등 도심 랜드마크 공간에서 100여 개의 공연예술 작품과 축제가 통합 브랜드 아래 선보인다.
연번 | 성명 | 현직 | 연번 | 성명 | 현직 |
공동추진위원장 | 35 | 김현희 | 한국대학연극학과 교수협의회 회장 | ||
1 | 최태지 | 서울디지털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좌교수 | 36 | 백승무 |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 |
2 | 송형종 | (재)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 37 | 백남영 | 중앙대학교 연극학과 전임교수 |
기획위원회 | 38 | 김인희 | (사)발레stp협동조합 이사장 | ||
3 | 손혜리 | 추계예술대학교 외래교수 | 39 | 김종덕 | 국립무용단 단장 |
4 | 강은경 | (재)서초문화재단 대표이사 | 40 | 안은미 | 안은미컴퍼니 대표 |
5 | 손상원 | 프로듀서 | 41 | 김남식 | 댄스투룹-다 대표 |
6 | 이영찬 | ㈜옐로우밤 대표 | 42 | 정구호 | 패션브랜드 KUHO 대표 겸 연출가 |
7 | 김희선 | 전주세계소리축제 집행위원장 | 43 | 오문자 | 원광대학교 명예교수 |
8 | 이건왕 | (재)영등포문화재단 대표이사/ (사)서울자치구문화재단연합회 회장 |
44 | 최상호 | 국립오페라단 단장 |
9 | 양정웅 | 연출가 | 45 | 김남중 | 융복합공연예술협회 대표 |
10 | 이훈경 | 극단 제자백가 대표 | 46 | 채수정 | (사)세계판소리협회 회장 |
11 | 손정우 | 한국연극협회 이사장 | 47 | 김덕수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명예교수 |
12 | 조남규 | 대한무용협회 이사장 | 48 | 윤중강 | 국악평론가 |
13 | 이철구 | 한국음악협회 이사장 | 49 | 유은선 | 국립창극단 단장 |
14 | 장경민 | 한국소극장협회 이사장 | 50 | 김철리 | 한국연극협회 이사 |
15 | 이헌재 | 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 회장 | 51 | 이현정 | LG아트센터 센터장 |
16 | 김태희 | 서울특별시 문화본부장 | 52 | 박선희 | GS아트센터 센터장 |
17 | 안호상 | (재)세종문화회관 사장 | 53 | 손병태 | 부산국제연극제 집행위원장 |
18 | 정재왈 | (재)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이사 | 54 | 조강훈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회장 |
19 | 길기연 | (재)서울관광재단 대표이사 | 55 | 나도삼 |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 | 아이수루 |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 | 56 | 고정균 | (사)한국전통문화예술원 이사장 |
21 | 김규남 |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 57 | 이창희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한국예술문화정책연구원 원장 |
자문위원회 | 58 | 김영미 | (사)한국임상연극심리치료협회 회장 | ||
22 | 박장렬 | 포항시립극단 예술감독 | 59 | 차민태 | 전, 관악문화재단 대표이사 |
23 | 박정의 | 서울연극협회 회장 | 60 | 미하이 콘스탄틴 라닌 | 루마니아 ‘바벨페스티벌’ 조직위원장 |
24 | 최영환 |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공연예술학과 교수 | 61 | 엠마누엘 드마르시 모타 | 프랑스 ‘파리의가을’ 축제 예술감독 |
25 | 방지영 | (사)아시테지 코리아 이사장 | 홍보위원회 | ||
26 | 김도형 | 서울연극지부협의체 의장 | 62 | 유태웅 | 배우 |
27 | 김건표 | 대경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 | 63 | 남명렬 | 배우 |
28 | 박정자 | 연극 배우 | 64 | 박지일 | 배우 |
29 | 이화원 |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회장 | 65 | 유선 | 배우 |
30 | 김미혜 | 한양대 연극영화과 교수 | 66 | 이루다 | 안무가 |
31 | 김아라 | 국제극예술협회 한국본부 회장 | 67 | 윤별 | 무용수 |
32 | 라경민 | 세종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 | 68 | 이도윤 | 무용수 |
33 | 김광보 | 연출가 | 69 | 대니구 | 바이올리니스트 |
34 | 강선숙 | (사)한국여성연극협회 이사장 | 70 | 김준수 | 소리꾼 |
연번 | 성명 | 현직 | 연번 | 성명 | 현직 |
참여사업단 | 96 | 류이향 | 연출가 | ||
71 | 류재준 |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 | 97 | 민채홍 | 아이큐브 대표 |
72 | 이종호 | 서울세계무용축제 예술감독 | 98 | 박소리 | 라피크컴퍼니 대표 |
73 | 김동곤 | 서울국제발레축제 예술감독 | 99 | 박안지 | 연출가 |
74 | 이강호 | 그랜드오페라축제 예술감독 | 100 | 배익한 | 배익한재즈오케스트라 대표 |
75 | 조남규 | 서울무용제 예술감독 | 101 | 백연 | 무용수 |
76 | 박혜선 | 1번출구연극제 예술감독 | 102 | 서형원 | 공명 대표 |
77 | 변영후 | 프로젝트 10MINUTE 대표 | 103 | 손혜정 | 극단 마실 대표 |
78 | 최재학 | ㅊㅊ하다페스티벌 대표 | 104 | 손현규 | 창작집단 꼴 대표 |
79 | 홍선미 | SDP국제페스티벌 <딩크당스> 대표 | 105 | 신효진 | 헤아린 대표 |
80 | 이준석 | 말모이축제 사무국장 | 106 | 심정은 | 작곡가 |
81 | 구예나 | 옵/신페스티벌 총괄PD | 107 | 양지은 | 아코르데 대표 |
82 | 김소라 | 한국장단음악축제 <장단유희>대표 | 108 | 유경애 | 작곡가 |
83 | 신선섭 | 서울오페라페스티벌 대표 | 109 | 윤장현 | 안무가 |
84 | 유미애 | 삼각산 소나무 예술제 대표 | 110 | 이영숙 | 올리브와 찐콩 대표 |
85 | 유명옥 | 서울아리랑축제 대표 | 111 | 이은지 | 코리안 바로크 소사이어티 대표 |
86 | 김종천 | 예술가곡페스티벌 대표 | 112 | 이창형 | 코리아나뮤직소사이어티 대표 |
87 | 명은숙 | 두근두근 설레임 음악축제 대표 | 113 | 임태은 | 연출가 |
88 | 김도형 | 서울연극25페스티벌 대표 | 114 | 장혜림 | 99아트컴퍼니 대표 |
89 | 하만택 | 2025 이수인예술제 대표 | 115 | 정소원 | 연출가 |
90 | 권준혁 | 서울 풍납토성 어울림 국악 페스티벌 대표 | 116 | 정윤미 | 연출가 |
91 | 최영묵 | 흥부와 놀부가 얼쑤 축제 대표 | 117 | 정지현 | 극단 빨강도마뱀 대표 |
92 | 고강민 | MBZ컴퍼니 대표 | 118 | 조성우 | 키위아트 대표 |
93 | 김병주 | 타고 대표 | 119 | 주정민 | 바리나보 대표 |
94 | 김설진 | 무버 대표 | 120 | 최용훈 | 극단 작은신화 대표 |
95 | 김승애 | 안무가 |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