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Festival 2025‘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2025’ 을지로 CKL스테이지9월 3-7일 전 세계 20개국 50작품 다양한 전자음악의 향연!!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가 9월 3일부터 7일까지 CKL스테이지와 CKL스튜디오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32주년을 맞이하는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는 한국전자음악협회(회장 오예민)가 주최하는 페스티벌로, 올해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20개국 50명 작곡가의 작품을 30명의 연주자, 비디오아티스트, 테크니션과 함께 5일간 7개의 콘서트에 테이프, 오디오비주얼, 라이브 일렉트로닉스, 성악과 전자음향 등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는 다채로운 공연으로 펼쳐진다.
이번 페스티벌에는 성악의 현대적인 주법연구로 주목받고 있는 날리시스 앙상블(Ensemble Knalycys)을 초청해 성악과 합창이 전자음악과 결합된 기획 연주를 선보이며, 아시아 전자음악 학회로 명실상부한 일본의 JSSA(Japanese Society for Sonic Arts)를 초청하여 페스티벌을 통해 한일 양국간의 교류 연주회를 펼친다.
더불어, 테잎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 픽스드미디어(fixed-media)를 집중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음악회 순서를 CKL 스튜디오에 마련하여 8.1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특별한 음장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한국전자음악협회(Korea Electro-Acoustic music society, KEAMS)는 1993년 9월 1일 미디어를 사용한 음악 및 멀티미디어 장르의 보급과 활성화, 국제교류에 뜻을 두고 창립되었다.
1994년부터 매년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SICMF)를 개최하여 다양한 국내외 작품의 연주와 해외단체 연주, 세미나, 국제학술대회(KEAMSAC), 학술지 Emile 발간, Fest-M까지 컴퓨터 전자음악의 발전과 교류활동을 활발히 펼쳐왔다.
2024년에는 대만의 음향연구기관인 C-lab에 KEAMS 작곡가들이 연주회를 펼치고, 9월 SICMF2024에 C-lab작곡가들이 한국에 방문하여 작품을 선보이며 양국 교류연주회를 펼친 바 있다.
올 8월에는 하계캠프를 개최하여 오스트리아 그라츠음악원의 Marko Ciciliani 교수의 공간음향에 대한 특강을 진행하며 더욱 활발하게 미래를 향한 전자음악 연구와 교류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번 SICMF에는 페스티벌 패스를 통해 다양한 공연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되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 더 자세한 정보는 http://computermusic.asia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행사개요 | |
행사명 |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2025 |
일 시 | 2025년 9월 3일~7일 오후 3시, 4시, 6시, 7시 30분 |
장 소 | CKL스테이지 및 스튜디오(B1 을지로) |
주 최 | 한국전자음악협회(KEAMS) |
후 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
프로그램 | |
Concert1 개막 연주회 - 9월 3일(수) 7:30 PM / CKL스테이지(B1) • 김은준 Eun Jun Kim : “Lucid” for Piano and live electronics • 샤오자오 둥 Xiaojiao Dong : “Trickle” for Violin and electro-acoustic music 5.1 multi-channels surround system • 박명훈 Myunghoon Park : “TIMER-Easy World's Legacy” for String Quartet and live electronics • 토미슬라브 올리버 Tomislav Oliver : “Memories of Kowloon” for Bass clarinet, electronics and video • 줄리안 메이플 올리베이라 Julian Maple-Oliveira : “Chopiniana” for Cello and Electroacoustics • 안승필 Chengbi AN : “L'assemblage sonore” for Piano solo and electronic music disposal in 5.1 channel • 이반 페레르-오로스코 Ivan Ferrer-Orozco : “Kwaidan” for Piano and live electronics |
|
Concert2 일본 JSSA 기획연주회 - 9월 4일(목) 7:30 PM / CKL스테이지(B1) • 요시히사 스즈키 Yoshihisa Suzuki : “Improvisation from EMG” for Live Electronics • 세이치로 마쯔무라 Seiichiro Matsumura : “Granular Bells Resonated” for Live Electronics • 코다이 이치치 Kodai Ijichi : “Improvisation with Time Machine "Backwards"” for Live Electronics • 쿄헤이 하야시 Kyohei Hayashi : “Lemon Candy(Moondown Action)” for Fixed Media • 나오토시 오사카 Naotoshi Osaka : “Madala” for Piano and electroacoustics • 사토시 후쿠시마 Satoshi Fukushima : “Ten” for Shakuhachi and Computer • 모토키 오쿠보 Motoki Ohkubo : “Follow in Someone’s Footsteps” for Snare Drum, Dynamic Notation System and Video |
|
Concert3 - 9월 5일(금) 7:30 PM / CKL스테이지(B1) • 홍성지 Sungji Hong : “EKVALLEIN” for Tape and Bass Clarinet • 한정은 Jung Eun Han : “Pénétrant ” for Violoncelle solo et dispositif électronique • 안두진 Doo-jin Ahn : “갈대의 노래 The song of reeds shaken wind” for Violin, Piano, Dance & Electro - Sound • 조제프 미셸 페르난데스 Joseph Michel Fernandez : “Fond diffus” for Fixed Media • 박정은 Jung-eun Park : “Edge” for Flute, Percussion and Electronic music • 현종찬 Jongchan Hyun : “Deep” for Flute and Computer |
|
Concert4 - 9월 6일(토) 4:00 PM / CKL스튜디오(B1) • 파나요티스 코코라스 Panayiotis Kokoras : “Useless Box” for box operator and electronics • 클레멘스 폰 로이스너 Clemens von Reusner : “fleeting experience ” for Fixed media • 정주희 Juhee Chung : “Heterotopia VII” for Audio-visual • 젬 귀벤 Cem Guven : “Flurry Flare” for Audio-visual • 다니엘 다다모 Daniel D'Adamo : “Galileo” for Fixed media • 이동혁 Donghyuk Lee : “Endpoint” for Fixed media • 에파미논다스 파시아노스 : “Epameinondas Fassianos : “Echoes in Ascent” for Fixed media • 안은강 Eunkang An : “Illusion” for Fixed media |
|
Concert5 Fixed media Concert1 - 9월 6일(토) 7:30 PM / CKL스테이지(B1) • 페드람 디바 Pedram Diba : “Pazhvak Astaneh” for Viola and Electronics • 에스 화이틀리 Ess Whiteley : “noocambriidæ” for Video and Multichannel Audio • 릴리야 우가이 Liliya Ugay : “pull no more” for Harp and Electronics • 휴버트 하우 Hubert Howe : “Inharmonic Fantasy No. 19” for Fixed media • 조윤제 Younje Cho : “LUMAQUA” for Water and Live Electronics • 벤저민 브로닝 Benjamin Broening : “Memory Shifts” for Viola and Live Electronics • 도하나 Hana Do : “이끼 낀 동상 Statue couverte de mousse” for Audio-visual • 윤숙영 Y.Sookyoung : “퇴 T’we(退)” for Gayageum and Live Electronics |
|
Concert6 Fixed media Concert2 - 9월 7일(일) 3:00 PM / CKL스튜디오(B1) • 지아징 자오 Jiajing Zhao : “Drifting Voices” for Fixed media • 아담 스타노비치 Adam Stanovic : “Between Pictures” for Fixed media • 티라트 마줌더 Teerath Majumder : “Nor’wester” for Fixed media • 김범기 Bumki Kim : “숨비소리(Sumbisori)” for Audio-visual • 조이 이청 린 Zoe Yi-Cheng Lin : “3D Illusory Immersive Soundscape: Lava's Roaring Dance” for Fixed media • 폴 외를러스 Paul Oehlers: “Automaton“ for Fixed Media • 팩 헤이 알빈 륭 Pak Hei Alvin Leung : “Musical Chairs” for Fixed media |
|
Concert7 폐막 연주회 앙상블 날리시스 음악회- 9월 7일(일) 6:00 PM / CKL스테이지(B1) • 오예민 Yemin Oh : “Glitched Voices” for Two voices, Live Video and Electronics • 양민석 Minsuk Yang : “Kitchen Project” for Mixed Choir and Fixed Media • 박순영 Soonyoung Park : “너의 말이 울릴 때” for Vocal Ensemble and Electronics • 김자현 Jahyun Kim : “꿈처럼 이루어진 물질 stuff as dream” for Female Vocal and Electronics • 모토키 오쿠보 Motoki Ohkubo : “Murmuring Stream” for Vocal Ensemble, Dynamic Notation System and Video • 김지현 Jihyun Kim : “vague contour” for Voice, Clarinet, Violoncello and Electronics • 파나요티스 코코라스 Panayiotis Kokoras : “Sonic Vertigo” for 8 Amplified Voices (SSAATTBB) and Electronics |
Japanese Society for Sonic Arts (JSSA) - 콘서트2 9월 4일
Japanese Society for Sonic Arts (JSSA)는 일본을 대표하는 전자음악·컴퓨터 음악 관련 학술 단체로, 2009년 6월 나오토시 오사카(Osaka Naotoshi) 교수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당시 일본에는 작곡가 중심의 연구를 활발히 발표할 공식 플랫폼이 부족했으며, JSSA는 이를 보완하고자 탄생했다.
학회는 작곡가와 연구자가 연구 성과를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고, 음악 공연과 학술 발표를 무료로 병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를 구축함으로써 창작과 연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JSSA는 오픈 액세스 학술지 'Journal of Sonic Arts'를 발행하며, 악기, 음향, 인터랙티브 사운드, AI, 음악 인지 등 다양한 분야를 일본어와 영어로 다룬다.
논문 제출과 게재에 비용이 들지 않고, 저작권은 저자에게 귀속되며 Creative Commons(CC-BY-NC-ND) 라이선스가 적용된다.
이 밖에도 정기 연구회, 연주와 발표가 결합된 신규 이벤트, 해외 단체와의 공동 심포지엄(JSSA/EMSAN Day)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제적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날리시스 앙상블 Ensemble Knalycys - 폐막 연주회 9월 7일
2022년 창단된 현대 성악 앙상블 날리시스(감독 신지수, 최혜연)는 한국 및 세계의 폭넓은 현대 성악 레퍼토리를 전문적으로 선보이고자 하는 열정으로 뭉친 8인의 보컬리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날리시스는 현대 음악의 깊이와 다양성을 탐구하며, 2023년 범음악제를 시작으로 다양한 현대 작곡가들의 개인 작품 발표회 및 신작을 꾸준히 연주해 왔다.
앙상블 날리시스만의 재치 있고 특색 있는 음악적 해석은 청중들에게 현대 성악이 지닌 풍성하고 다채로운 매력을 전달하며, 새로운 상상력을 선사하고 있다.
2023.08.11 창단연주회, Kote 조선살롱
2023.11.07 범음악제, 일신홀
2023.12.15 최혜연 작품발표회, 일신홀
2025.04.0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오늘의 신작’ 음악극 쇼케이스, 아람누리극장
2025.09.01 전현석 작품발표회, 일신홀
202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오늘의 신작’ 선정 음악극 공동제작 및 출연 예정
SICMF2025 장소
@ CKL스테이지(B1 종각역 5번출구) :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40 CKL기업지원센터
SICMF2025 티켓
음악회(1회 공연): 20,000원(학생: 10,000원)
페스티벌 패스(전체 공연 입장): 30,000원(학생: 15,000원)
*페스티벌 패스를 구매하신 경우, 공연 시작 30분 전에 우선적으로 좌석권을 제공드립니다.
이후에는 일반 관객의 티켓 판매와 페스티벌 패스의 좌석권 교환이 전 좌석 소진 시까지 동시에 진행되오니, 패스를 구매하신 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SICMF2025 예매처
티켓 인터파크: tickets.interpark.com
문의처: 1544-1555, 한국전자음악협회 www.keams.org
www.facebook.com/keams.org, www.instagram.com/keams_official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