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서트

창극 콘서트로 만나는 다채로운 우리 소리국립창극단 창극콘서트 '토선생, 용궁가다'

이화미디어 2025. 9. 2. 20:06
반응형

판소리 수궁가를 테마로 선보이는 새로운 형식의 창극 콘서트

- 수궁가원전을 짜임새 있게 압축한 이야기를 해학과 풍자로 유쾌하게 풀어내

- 새타령, 뱃노래, 동해바다 등 친숙한 지역 민요로 음악적 다채로움 더해져

2024년 이후 전국 각지에서 공연, 검증된 재미로 큰 호응 얻어

- 다양한 문화 지원 사업 연계, 김포·용인·포천·의령·제주 등 전국에서 선보여

2025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의 젊은 에너지로 만나는 무대

- 토끼 역 김유진, 자라 역 송자연, 용왕 역 강나현 등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 주축

- 실력 있는 젊은 소리꾼들의 활기찬 에너지 선사

공연명 국립창극단 창극콘서트 '토선생, 용궁가다'
일시 2025925()~926()
1930
장소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주요
제작진
연출·극본 유은선
작창 한승석
음악감독 최영훈
안무 김주연
주요
출연진
2025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 외 객원 연주자
관람료 전석 20,000
관람연령 초등학생 이상 관람
소요시간 70(휴식없음)
예매 국립극장 02-2280-4114 www.ntok.go.kr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은 창극콘서트 '토선생, 용궁가다'925()부터 926() 양일간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국립창극단이 선보이는 새로운 형식의 창극 콘서트로, 판소리 수궁가원전을 짜임새 입게 압축해 우리 소리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한 공연이다. 올해는 2025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들을 주축으로 구성해 젊은 활기를 더했다.

 

창극콘서트 '토선생, 용궁가다'는 판소리 다섯 바탕 중 수궁가를 각색한 작품이다. 네 시간가량 소요되는 원전 분량을 70여 분으로 압축하고, 다양한 음악적 구성을 추가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신개념 창극콘서트로 재탄생시켰다.

 

병든 용왕을 위해 토끼의 간을 구하러 세상에 나온 자라가 토끼를 용궁으로 유인했으나 토끼가 재치를 발휘해 위기를 극복하는 내용을 해학과 풍자로 유쾌하게 풀어냈다.

 

작품의 연출과 극본은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이 맡아 원전의 해학과 풍자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했다. 음악은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 '귀토' '리어'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걷는 자' 국립창극단의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탄탄한 소리와 짜임새를 보여준 한승석이 작창으로 참여했다.

 

'토선생, 용궁가다'는 창극 콘서트라는 이름에 걸맞게 판소리와 민요를 아우르는, 풍성한 우리 음악의 향연을 선사한다. ‘상좌다툼’ ‘좌우나졸’ ‘범 내려온다’ ‘토끼화상’ ‘토끼팔란등 판소리 수궁가의 주요 눈대목을 모두 만날 수 있다.

 

소리꾼의 독창뿐만 아니라 합창, 장단에 맞춰 서로 가사를 주고받는 입체창 등 익숙한 대목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해 새로운 매력을 더했다.

 

판소리 외에도 남도민요 새타령’, 경기민요 뱃노래’, ‘자진뱃노래’, 신민요 동해바다등 친숙한 지역 민요까지 포함한 다채로운 우리 음악을 선보인다.

 

'토선생, 용궁가다'는 지난 2024년부터 다양한 문화 지원 사업을 통해 전국 각지 관객들을 만났다.

 

‘2024-2025 국립극장 지역 문화거점 공연사업으로 경기도 김포·음성·용인·경남 의령군 등에서 공연했고 올해 4 ‘2025 문화가 있는 날-구석구석 문화배달사업의 일환으로 제주도를 찾았다. 지금까지 총 6회의 공연으로 지역 관객에게 검증된 재미를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무대는 무엇보다 2025년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이 주축이 되는 공연이다. ‘청년교육단원은 차세대 K-컬쳐 주자를 발굴하기 위해 실력 있는 청년예술가를 선발, 국립예술단체 단원과 함께 전문적인 공연 제작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이번 '토선생, 용궁가다'는 토끼 역 김유진, 자라 역 송자연, 용왕 역 강나현 등 주요 배역까지 모두 청년교육단원이 맡아 그동안 쌓은 내공과 실력을 아낌없이 선보일 예정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역할로 출연하는 젊은 소리꾼들의 활기찬 노래와 생동감 넘치는 안무, 신명 나는 연주와 어우러져 더욱 풍성하고 생동감 넘치는 공연을 완성한다. 전석 2만원.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

 

주요 제작진 및 출연진 소개




연출극본 | 유은선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겸 단장


여성국악실내악단 다스름 대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
()국악방송 방송본부장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 외 다수





작창 | 한승석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교수


창극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걷는 자><귀토><변강쇠 점 찍고 옹녀> 작창작곡음악감독
<리어> 작창음악감독, <베니스의 상인들> 작창 외 다수


음반
월드뮤직 프로젝트 앨범 바리abandoned외 다수





토끼 | 김유진
2025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흥보가전수자

경상북도 무형유산 판소리 흥보가이수자


사사
정순임 채수정


수상
40회 동아국악콩쿠르 판소리 일반부 금상
1921C 한국음악프로젝트 은상




자라 | 송자연
2025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


사사
유수정 한승석


수상
45회 대한민국춘향국악대전 학생부 최우수상
12회 추담 전국국악경연대회 학생부 대상(교육부장관상)
31회 금파강도근 전국 판소리 고법 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국회의원상)
12회 추담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 부안군수상





용왕 | 강나현
2025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


사사
김금미 방성춘


수상
2024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동상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