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소극장 산울림 40주년 기념 공연! 대한민국 연극계의 전설, 산울림의 대표작 '고도를 기다리며'

이화미디어 2025. 9. 10. 00:34
반응형

공 연 명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
공연기간 2025년 9월 10일(수) ~ 10월 4일(토)
공 연 장 소극장 산울림
공연시간 평일 7시 30분 | 토, 일 및 공휴일 3시 | 화 쉼
티켓가격 전석 60,000원
관람연령 만 12세 이상
러닝타임 180분 (인터미션 15분 포함)
출연배우 이호성, 박상종, 정나진, 문성복, 문다원
사뮈엘 베케트
번      역 오증자
연      출 심재찬
스 태 프 총괄 프로듀서 _ 임수진 | 예술감독 _ 임수현 | 제작감독 _ 박선희 | 조연출 _ 송정희 | 무대 _ 박동우 | 조명 _ 김종호 | 의상 최원 | 분장 _ 김유선, 안혜영 | 무대감독 _ 박동욱, 김영욱 | 기획PD _ 임숙균 | 사진, 그래픽 _ 김솔 
주최/주관 산울림
예 매 처 NOL티켓 1544-1555
공연문의 02-334-5915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는 노벨문학상 수상자이자 세계 현대극의 흐름을 바꾼 작가 사뮈엘 베케트의 작품으로, 지난해 5월 타계한 故 임영웅 연출에 의해 1969년 국내에 처음 알려졌다. 

 

‘부조리극은 난해하다’는 고정관념을 깼다는 평을 받으며, 50년 간 약 1500회의 공연을 통해 22만 명의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2019년 명동예술극장에서의 50주년 기념 공연을 마지막으로 휴식기를 가졌던 산울림의 '고도를 기다리며'가 6년 만에 임영웅 연출가의 해석을 그대로 담아 다시 무대에 오른다.

 

POINT2. 부조리 연극의 고전, 베케트가 던지는 인생에 대한 질문

 

'고도를 기다리며'의 기다림은 언제나 현재진행형이다. 약속의 시간도, 장소도, 목적도, 심지어 대상도 불확실하다.

 

이러한 부조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고도를 기다려야해’라는 말은 마치 거역할 수 없는 운명의 주문처럼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를 다시 지루한 기다림의 현실로 불러들인다.

 

그리고 이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각자가 기다리고 있는 고도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POINT3. 56주년 맞은 산울림의 '고도를 기다리며', 역사를 함께 했던 배우 스태프들 참여

 

산울림과 오랜 인연을 맺어온 심재찬 연출을 필두로, 그동안 ‘산울림’, ‘고도를 기다리며’와 역사를 함께했던 배우 스태프들이 함께한다. 

 

무대 박동우, 조명 김종호, 의상 최원, 분장 김유선 등이 이번 프로덕션에도 함께하며 최고의 완성도를 갖춘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1994년부터 ‘고도를 기다리며’에 참여해 온 배우 이호성이 블라디미르 역을, 2005년부터 함께했던 배우 박상종이 에스트라공 역을 맡는다. 

 

포조 역으로는 2013년부터 합류한 배우 정나진이 출연하며, 럭키역에는 배우 문성복이, 소년 역에는 배우 문다원이 새롭게 캐스팅되었다.

 

Synopsis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누구 하나 오지도 가지도 않는군.

 

시골길, 앙상한 나무가 한 그루 서있을 뿐 아무것도 없다. 그 나무 아래에서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실없는 수작과 부질없는 행위를 반복하며 ‘고도’를 기다리고 있다.

그들은 고도가 누구인지, 그리고 왜 기다리는지도 알지 못한다.

때로는 우스꽝스럽고, 한편으로는 슬픈 이야기는 어느새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의 ‘고도’는 무엇이냐고. 

 

 제작진 소개

 

 | 사뮈엘 베케트

20세기 부조리 연극의 대표 작가. 인간의 부조리와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된 삶에 대한 <고도를 기다리며>를 통해 현대극의 흐름을 바꾸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196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대표작 

소설 <몰로이>, <말론은 죽다> 외 다수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 <엔드게임> 외 다수

 

수상 

1969 노벨문학상 

 

연출 | 심재찬

인간의 심리를 섬세하게 포착하는 연출과 사실적 무대 표현을 통해 인간 본위의 모습을 그려내는 연출가. 국립극단과 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등에서 예술행정가로도 활약하는 등 예술 생태계 전반에 의미 있는 발자취를 남겨왔다.

대표작

연극 <만선>, <앙상블>, <바냐아저씨> 외 다수

뮤지컬 <틱!틱!붐!!!>, <유린타운> 외 다수

 

수상

2022 보관문화훈장

2003 한국뮤지컬대상 외국베스트뮤지컬작품상 <유린타운>

2002 한국연극협회 올해의 좋은 연극 BEST7 선정 <양파>

1991 백상예술대상 신인연출상

외 다수 

 

원작 연출 | 임영웅

극단 산울림의 창단자이자 한평생 무대 위에 인간을 그려온 연출가. 60여 년 동안 수많은 연극, 뮤지컬 작품들을 연출, 제작하며 한국 공연예술의 초석을 다졌으며,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극찬받았다. 아내인 불문학자 오증자 교수와 함께 소극장 산울림을 건립하여 개관하고, 수많은 배우와 명작을 탄생시키며 한국 연극의 역사를 썼다.

 

대표작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 <위기의 여자>,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외 다수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 <꽃님이꽃님이!>, <갬블러외 다수

 

수상

2025 한국뮤지컬어워즈 공로상 | 2016 금관문화훈장 | 2007 예총예술문화상 연극 부문 대상 | 2007 더뮤지컬 어워즈 공로상 | 2004 보관문화훈장 | 2003 파라다이스상 문화예술상 | 2002 한국뮤지컬대상 연출상 | 2000 한국백상예술대상 연출상 | 1998 대통령표창 | 1995 대한민국예술원상 | 1986 동아연극상 연출상 | 1982 서울연극제 연출상 | 1969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연출상 

외 다수

 

◈ 출연진 소개


 
블라디미르 役 이호성
고도를 기다리며 1994.5, 폴란드1994, 1994.9, 2011, 2012, 2013, 2015, 2017, 2018, 2019
 
<연극>
사천의 선인
양갈래머리와 아이엠에프
올드위키드송
외 다수
        
에스트라공 役 박상종
고도를 기다리며 2005, 2006, 2007, 더블린2008, 2008, 일본2009, 의정부2009, 2009, 아르코2010, 2010, 2011, 2012, 2013, 2015, 2016, 2017, 2018
<연극>
나는 광주에 없었다
만선
비목
 다수
 
 
 
포조 役 정나진
고도를 기다리며 2013, 2015, 2016, 2019
 
<연극>
만선
아들에게
오슬로에서 온 남자
외 다수
        
럭키 役 문성복
 
<연극>
만선
출입국사무소의 오이디푸스
이 불안한 집
외 다수
 
 
 
 
 
 

소년 役 문다원
 
<낭독공연>
죽음이 찢어졌다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