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2025년 하반기를 뜨겁게 만들 극단 산수유의 흥행작 〈고트(GOTT)〉, 다시 관객 여러분을 찾아오다.

이화미디어 2025. 9. 21. 23:13
반응형

극단산수유 제25회 정기공연 고트 GOTT

 

극단 산수유의 25번째 정기공연 소극장 산울림에서 1025일부터 112일까지

초연 당시 티켓 오픈 나흘만에 전석 매진된 고트(GOTT)재공연

개인의 선택사(존엄사)를 둘러싼 삶과 죽음, 인간과 국가에 대한 고찰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연극 고트(GOTT)는 극단 산수유의 25번째 정기공연으로 작년 초연 당시 티켓 오픈 나흘만에 전석 매진된 흥행작이다. 그 놀라운 성과의 바통을 이어, 오는 1025부터 112일까지 소극장 산울림에서 다시 관객들을 만난다.

 

스크린과 무대를 넘나들며 카리스마 있는 연기를 보여주는 예수정, 신현종, 이상직, 김중기, 최광일, 유병훈, 오일영, 신용진이 출연한다. 티켓은 NOL 티켓에서 구매할 수 있다.

 

선택사 조력을 통한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고찰.

 

고트(GOTT)는 소위 존엄사로 알려진 선택사 조력을 논하는 작품이다. 신체 건강한 사람에게 사망에 이르도록 약물을 처방하는 법안이 윤리적으로 옳은 결정인가를 두고 벌이는 토론극이다.

 

작품은 선택사 조력이라는 시의적인 주제를 통해서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에게 생의 고통과 삶의 의미, 사람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페르디난트 폰 시라흐, 현대 독일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고트(GOTT)는 독일의 변호사이자 작가 페르디난트 폰 시라흐(Ferdinand von Schirach) 두 번째 극작품이다. 작품은 여러 나라에서 활발히 공연되고 있다. 그는 소설, 희곡, 시나리오 등 장르를 넘나들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 독일에서 가장 각광 받는 작가로 자리를 잡았다.

 

 

“나는 그냥 조용히 죽고 싶을 뿐이에요.”

우리 삶은 누구의 것이며, 우리의 죽음은 누가 결정할 수 있을까?

 

은퇴한 건축가 게르트너는 3년 전 아내를 떠나보낸 후 자신도 생을 마감하고자 한다. 그가 원하는 것은 오직 한 가지. 펜토바르비탈 나트륨 15그램(사망조력기관에서 사용하는 약물). 의사들은 그의 자살을 도와야 하는가?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도 의학적 조력 자살을 실행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 인간은 스스로 죽을 권리를 가지고 있는가? 우리의 생명은 누가 소유하는가?

 

삶의 지속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은 한국 사회에서도 현실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2018연명 의료 결정법시행 이후, 존엄한 죽음을 선택하겠다는 서명을 담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사람이 300만 명을 넘었다.

 

이는 성인 전체 인구의 약 6.8%에 해당하며, 여성 노인의 경우 4명 중 1명이 연명 의료 중단을 선택했다. ‘존엄한 죽음에 대한 개인의 권리를 인정하려는 사회적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작품은 뜨겁고 치열하게 펼쳐지는 윤리 논쟁과 토론을 통해, 우리 사회가 선택사(존엄사)’를 앞으로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극 후반부에는 실시간 찬반 투표가 진행된다.

 

관객들이 직접 투표를 하는 행위를 통해 관찰자의 시선을 거두고, 삶과 죽음의 대한 고찰에 의미를 더욱 확장 시킨다.

 

선과 선의 충돌’, ‘참과 참의 대립

인간 본성의 복잡함과 도덕적 선택의 다양성

 

고트(GOTT)는 선과 선의 충돌, 참과 참의 대립, 즉 저마다 옳은 가치로 팽팽하게 맞서며 합의 과정에서 서로의 차이를 알아가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우리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국가와 사회가 죽음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등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또한 개인의 자유와 국가의 권한, 시민으로서의 자유와 공동체의 합의, 현실 세계에서의 복잡한 윤리적 선택과 결과에 대해 고민하게 만든다.

 

한국 사회는 법이 제정되면 그 문제에 대한 논의가 끝난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작품 속 배경인 독일은 선택사 조력이 합법화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토론과 공청회를 통해 국민적 합의를 이루어간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 사회가 제도와 법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고민해야 하는지, 그 해결을 위해 사회적 합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운다.

 

 공연명 : 고트(GOTT)
 기간 : 2025 10 25() 2025 11 02()
 시간 : 평일 오후 7 30 / 주말 오후 4 (금요일 공연 없음)  8
 장소 : 소극장 산울림
 주최ㆍ제작 : 극단 산수유
 후원 : 서울문화재단
 관람연령 :  13 (중학생 이상)
 러닝타임 : 130
 관람료 : 40,000
 예매 : NOL티켓
 문의 : 010-5818-4597
 작가 : 페르디난트 폰 시라흐 (FERDINAND VON SCHIRACH)

 

 연출 : 류주연
 드라마터그 : 박구용
 무대 : 이희순
 의상 : 최원
 분장 : 이동민
 그래픽 : 김솔 (보통현상)
 기획 : 김서아 최호재 방경미

 번역 : A-in Oh
 조명 디자인 : 박성희
 음악 디자인 : 류승현
 프로듀서 : 김용식
 영상디자인 : 장주희
 조연출 : 유가영, 오륜

 출연 :
예수정, 신현종, 이상직, 김중기, 최광일, 유병훈, 오일영, 신용진

 

2년 전 부인과 사별한 게르트너는 사망조력(조력사망)을 통해 생을 마감하려 한다.

 

게르트너는 의약품 의료기기 연방 연구소에 사망조력(조력사망)을 위한 처방전을 시행해 줄 것을 요청하지만 몸과 정신이 건강한 게르트너의 청원은 기각된다.

 

윤리위원회는 의사, 변호사, 법학자, 의학자, 종교인 등의 전문가와 이 사안에 대해 토론한다. 팽팽한 논쟁 끝에 위원장은 잠깐의 휴정과 관객 투표를 시행한다. 투표 결과의 발표와 함께 위원장의 최후의 변론이 이어지고 윤리위원회는 폐회한다.




작가 페르디난트 폰 시라흐
(FERDINAND VON SCHIRACH)



[수상]
2021 페르디난트 폰 시라흐(Ferdinand von Schirach)의 칸네시리즈 페스티벌, 최우수 각본상 및 디올 대상 Faith
2018 리카르다 허치 상
2017Rose d'Or, 테러를 위한 당신의 평결
2016 Tabou의 후보 Prix Médicis
2015 스토리와 영화 "Volksfest"(ZDF)의 작가로서의 업적으로 바이에른 텔레비전 상
2014 혼야 다이쇼(Honya Taishō) - 콜리니 사건(The Collini Case)으로
"국제 문학" 부문 일본 서점 대상
(스티븐 킹, 레이첼 조이스와 함께 2) 외 다수


[주요작품]
서적
<Crime> <Guilt> <콜리니 사건> <칼 토르버그> <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왜 살인자에게 무죄를 선고했을까?>, <누구나> 외 다수


연극
Terror (2015)



연출 류주연
류주연
극단 산수유 대표 / 연출가


[수상]
2022 24회 김상열 연극상
2019 37회 영희 연극상
2017 4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연극부문 최우수상
2017 월간 한국연극공연 베스트7 - <12인의 성난 사람들>
2017 공연과 이론 작품상 - <12인의 성난 사람들>
2010 47회 동아연극상 신인 연출상 - <기묘여행>


[주요 작품]
연극 <>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후회하는 자들> <기묘여행> 외 다수



예수정 - Biegler, 비글러, 변호사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 <화전가> <앙상블>
<하얀 토끼 빨간 토끼> <하나코> 외 다수

신현종 - Richard Gärtner, 리하르트 게르트너
연극 <화전> <세일즈맨의 죽음> <고래>
<정의의 사람들> <달빛간이역> 외 다수
이상직 - Thiel, , 신학전문자문위원
연극 <브리타니쿠스> <파우스트> <귀족놀이>
<오이디푸스> <바냐아저씨> 외 다수







김중기 - Sperling, 슈페르링, 의학전문자문위원
연극 <크루서블-도가니> <광부화가들> <햇빛샤워> <거기> <환도열차> 외 다수
최광일 - Keller, 켈러, 윤리위원회 위원
연극 <불역쾌재> <시련> <아버지>
<별무리>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외 다수

유병훈 - 윤리위원회 위원장
연극 <벚꽃동산> <금성여인숙> <조씨고아>
<더드레서> <스웨트> 외 다수









오일영 - Brandt, 브란트, 안과 의사
연극 <> <12인의 성난 사람들> <옥이>
<기억의 지속> <우로보로스> 외 다수

신용진 - Litten, 리텐, 법률전문자문위원
연극 <아들에게> <> <공포가 시작된다>
<기묘여행> <12인의 성난 사람들> 외 다수

 

극단 산수유 

 

극단 산수유는 창조적 열정을 가진 젊은 연극인들의 모임이다. 

 

2008년 창단한 극단 산수유는 인간에 대한 통찰과 세상에 대한 반문을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창작활동으로 무대화하고자 한다. 

 

수년간 여러 작품 속에서 호흡을 맞춰온 단원들은 다양한 개성을 자랑하며, 대표이자 상임연출인 류주연은 예리한 통찰력과 작품 분석력으로 우수한 작품을 향한 욕구를 추구하고 있다.

 

[극단 연혁]

2025<헬로 나의 섹슈얼리티> 이주영 작 / 이현경 연출 / 예술공간 혜화

2025<12인의 성난 사람들> 레지날드 로즈 작 / 류주연 연출 / 세명대학교 민송아트홀

2024<즐거운 우리집> 김나영 작 / 김경빈 연출 / 시온아트홀

2024<라스트 씨어터 맨> 정상미 작 / 김경빈 연출 / 드림시어터

2024<12인의 성난 사람들> 레지날드 로즈 작 / 류주연 연출 / 세명대학교 민송아트홀

2023<> 와즈디 무아와드 작 / 류주연 연출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23<즐거운 우리 집> 김나영 작 / 김경빈 연출 / 노작홍사용 문학관 산유화 극장

2023<12인의 성난 사람들> 레지날드 로즈 작 / 류주연 연출 / 미마지 아트센터 눈빛극장

2022<바다 한가운데서> 스와보미르 므로제크 작 / 김경빈 연출 / 우리 소극장

2022<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김나영 작 / 류주연 연출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22<공포가 시작된다> 토시노부 코죠우 작 / 류주연 연출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21<종로구 창신동> 이지혜 작 / 서유덕 연출 / 국민대학교 대극장(비대면 송출)

2021<공포가 시작된다> 토시노부 코죠우 작 / 류주연 연출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21<누란누란> 홍창수 작 / 류주연 연출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20<총독의 소리 : 국민적 인간의 생산> 최인훈 원작 / 고해종 연출 / 연우소극장

2019<후회하는 자들> 마르쿠스린딘 작 / 류주연 연출 / 두산아트센터 Space111

2019<오만한 후손들> 이양구 원작 / 고해종 각색 / 류주연 연출 / 남산예술센터

2019<마산> 김경빈 작·연출 / 연우소극장

2019<무빙스토리> 공동창작 / 류주연 연출 / 의정부 예술의전당 소극장

2019<12인의 성난 사람들> 레지날드 로즈 작 / 류주연 연출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18<기묘여행> 코죠우 토시노부 작 / 류주연 연출 / 동양예술극장 3

2018<완빤치 쓰리 강냉이> 최민수/김경빈/김여래 연출 / 파랑씨어터

2018<바알간 산수유나무> 서유덕 작연출 / 연우소극장

2017<경남 창녕군 길곡면> 프란츠 크사버크뢰츠 작 / 류주연 연출 / 동숭아트센터 소극장

2017<12인의 성난 사람들> 레지날드 로즈 작 / 류주연 연출 / 미마지 아트센터 물빛극장

2017<고비> 이양구 작 / 류주연 연출 / 여행자극장

2016<금지된 장난> 산수유시지프 공동창작/ 류주연 연출/ 연우소극장

2016<사소한 물음> 산수유시지프 공동창작 / 류주연 연출/ 열린극장

2015<하퍼리건> 사이먼스티븐스 작/ 류주연 연출/ 선돌극장

2014<괴물> 이승원 작 / 류주연 연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14<청중> 바츨라프하벨 작 / 류주연 연출/ 서강대 메리홀(극단 두비춤과 공동제작)

2014<허물> 스쿠다노리히코 작 / 류주연 연출/ 명동예술극장(한일교류전-낭독공연)

2013<동물없는 연극> 장 미셸리브 작 / 류주연 연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13<주머니 속 선인장> 안나 크로게루스 작 / 류주연 연출/ 정미소극장

2012<동물없는 연극> 장 미셸리브 작 / 류주연 연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12<기묘여행> 코죠우 토시노부 작 / 류주연 연출/ 아우르스폿(일본 동경)

2011<마지막 여행> 윤미애 작 / 류주연 연출/ 게릴라 소극장

2010<냉동인간> 이시원 작 / 류주연 연출/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2010<경남 창녕군 길곡면> 프란츠 크사버크뢰츠 작/ 류주연 연출/ 동숭아트센터 소극장

2010<기묘여행> 코죠우 토시노부 작 / 류주연 연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09<경남 창녕군 길곡면> 프란츠 크사버크뢰츠 작/ 류주연 연출/ 연우소극장

2008<, 그 여자를 만나다> 지하련 원작 / 류주연 연출/ 연우소극장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