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CDF공예·디자인 공모전시 신진작가부문 최설지(CHOI Seolji)작가《환영의 순간 The Moment of Illusion》
-10.1~10.26, 인사동 KCDF윈도우갤러리, 도자 작가 최설지(CHOI Seolji)개인전 -
- 단단함과 유연함의 사이, 환영의 도자조형 -
- 비정형 도자로 표현한 유동하는 자아 -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은 작가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2025 KCDF 공예‧디자인 공모전시 신진부문’에 선정된 도예작가 최설지(CHOI Seolji)의 개인전 《환영의 순간_The Moment of Illusion》을 오는 10월 1일부터 10월 26일까지 인사동 KCDF갤러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설지 작가는 자아의 본질을 ‘유동성’으로 바라보며, 이번 전시에서 움직이며 덧없이 사라지기 쉬운 순간의 자아를 비정형의 ‘환영(幻影)’적인 형상으로 포착해낸다.
작가에게 ‘환영’은 타인의 시선 속에서 만들어진 여러 모습의 ‘나’를 탐구하는 개념이다. 작업 초기에는 부정적 의미로 출발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물결과 빛이 드러내는 자연의 리듬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아와 세계를 성찰하는 시선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작업형식에도 반영된다. 최설지 작가는 도자의 단단함과 직물의 유연함을 결합해, 고정된 물질에 유동성과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작품은 약 2cm 정도의 도자 스팽글(spangle)을 하나하나 빚는 일에서 시작된다.
가마에서 구워진 스팽글은 백토와 흑토의 은은한 색감을 가지며, 직물 위에 배열된 후 손바느질을 통해 면에서 입체로 변형된다. 색의 농담과 스팽글의 중첩은 시각적 율동감을 만들어내며, 흘러내리는 듯한 비정형의 형태는 자아의 끊임없는 변화를 상기시킨다.
그는 작품에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되는 자아의 변화이자 진화를 은유적으로 담아낸다. 무광의 도자 스팽글 표면은 빛을 반사하지 않아 형태와 배열 그 자체에 집중하게 하며, 관람객에게 ‘흐르는 자아, 변화하는 자아’의 경험을 전한다.
이번 전시에서 벽면 설치작품을 비롯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조형물을 통해, 고정된 자아를 넘어 매 순간 사라지고 다시 생성되는 자아를 공감하도록 이끈다.
공진원 전주희 공예진흥본부장은 “최설지 작가는 수년간 실험하고 있는 재료인 점토와 섬유의 성질을 결합하여, 섬유처럼 유연한 시각효과를 지닌 도자조형물에 자아의 변화와 진화라는 주제를 담아내고 있다.
관람객에게 이번 전시는 재료가 지닌 물질적 성질과 표현에 대한 기존관념을 새롭게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공진원 누리집www.kcd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