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공예가들이 풀어낸 일상과 예술의 다채로운 풍경, 서울문화재단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작가 35인의 기획전, 오는 28일 서울공예박물관에서 '공예풍:경' 개최
▶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예술가 기획전 '공예풍:경', 오는 28일부터 서울공예박물관서 개최
▶ 서울문화재단과 서울공예박물관의 두 번째 협업...동시대 공예의 새로운 흐름 제시
▶ 도자·금속·섬유·아트퍼니처 등 생활 속 공예의 미감을 만끽할 70여 점 신작 공개
▶ 전시관람 이벤트·공예포럼·아티스트 토크·도슨트까지 풍성한 부대행사 마련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 신당창작아케이드는 2025년 입주예술가 기획전시 '공예풍:경'을 오는 28일(화)부터 11월 9일(일)까지 13일간 서울공예박물관(종로구 안국동)에서 개최한다.
16기 입주예술가 35인이 참여해 도자, 금속, 섬유, 디자인, 기타공예 등 다양한 장르의 70여 점 신작을 선보인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하는 기획전시는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예술가들의 창작 성과를 시민과 공유하고, 실험적 시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
특히 이번 전시는 서울문화재단과 서울공예박물관이 지난해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두 번째로 선보이는 기획전시로, 공립 공예 전문기관과 창작지원기관이 상호 협력을 통해 동시대 공예의 흐름을 제시한다.
이번 전시의 주제인 ‘공예풍:경(工藝風:景)’은 젊은 공예작가들의 창작 활동이 불러일으키는 새로운 ‘바람(風)’이 시대의 공예 ‘풍경(景)’을 만들어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공예의 본질과 예술성을 새롭게 조명하며, 젊은 공예가들의 실험과 가능성을 함께 보여준다.
참여 작가는 2025년 신당창작아케이드 16기 입주예술가 공모에 선정된 △강고운(도자), △강인규(디자인), △권혜인(도자), △김도영(기타공예), △김도윤(금속), △김동욱(섬유), △김두봉(금속), △김리호(디자인), △김정현(도자), △김현지(기타공예), △류정우(기타공예), △박정언(도자), △서예린(기타공예), △서충교(금속), △송인욱(기타공예), △신예원(기타공예), △신우철(디자인), △신제영(도자), △안은경(금속), △안은선(섬유), △윤지훈(도자), △이명희(금속), △이소명(디자인), △이소진(섬유), △이시평(디자인), △이정빈(도자), △임재현(도자), △전나형(디자인), △조예린(섬유), △주진형(도자), △채민정(도자), △채범석(디자인), △최인경(섬유), △탁하린(섬유), △한우현(기타공예) 등 35명(가나다순)이다.
전시와 더불어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된다.
▲공예의 가치와 미래를 조망하는 ‘공예포럼’
▲작가와 관객이 직접 만나는 ‘아티스트 릴레이 토크’
▲작품 속 이야기를 깊이 이해하는 ‘도슨트 프로그램’
▲SNS 전시 관람 인증 이벤트 ‘나만의 시선이 머문 풍경’
등이 준비돼 전시를 더욱 다채롭게 즐길 수 있다.
특히, 올해 처음 기획된 공예포럼은 ‘시대의 공예, 그 가치와 미래’라는 주제로 오는 31일(금) 오후 3시 서울공예박물관 교육동 강당에서 열린다. 1부 ‘공예의 가치: 축적과 변화’에서는
△장연순 작가(이화여대 섬유예술학과 명예교수),
△전용일 작가(국민대학교 금속공예과 교수)
가 각각 섬유와 금속 분야에서 쌓아온 연구와 창작 경험을 토대로 주제발제를 이어간다.
이어지는 2부 ‘공예의 확장: 미래를 여는 가능성’에서는
△구병준(PPS 대표),
△안강은(이네 아트매니지먼트 대표),
△김민정(우란문화재단 프로젝트 리더)
이 패널로 참여해 예술성과 대중성, 해외 트렌드, 전시 기획 등의 공예의 미래를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번 포럼은 공예의 현재를 점검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한편 지난 7월 청주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가 주최한 2025 청주국제공예공모전’에서 신당창작아케이드의 현·전 입주작가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특히 국제 공예 부문에서 이시평 작가를 비롯한 역대 입주작가 15인이 수상하는 쾌거를 거두며, 공예·디자인 전문 창작공간으로서 신당창작아케이드의 위상을 입증했다.
서울문화재단은 앞으로도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예술가들이 창작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문화재단 송형종 대표이사는 “이번 전시는 젊은 작가들이 만들어내는 공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한자리에서 보여주는 기회”라며, “서울문화재단은 앞으로도 공예 작가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공예풍:경' 전시 관련 정보는 서울문화재단 누리집(www.sfac.or.kr) 또는 신당창작아케이드 인스타그램(@sdarcade)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2232-8831~5)
* 신당창작아케이드는 지난 2009년 서울시 최초의 공예·디자인 전문 창작공간으로 서울중앙시장 지하에 문을 열었다. 도예, 금속, 섬유, 기타공예, 디자인 등 5개 부분의 작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창작하고 있으며, 개관 후 16년 동안 588명의 입주예술가를 배출하는 등 한국 공예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 전시제목 : 공예풍:경(工藝風:景)
■ 전시기간 : 2025년 10월 28일(화)~11월 9일(일) 13일간 (*월요일 휴관)
- 관람시간: 10:00 ~ 18:00 (평일, 주말 동일) ※ 매주 금요일은 21:00까지 야간개관
* 관계자 오프닝: 10.27.(월) 오후 3시
■ 전시장소 : 서울공예박물관(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3길 4(안국동))
■ 참여작가 : 신당창작아케이드 2025년(16기) 입주 예술가 35인 (홈페이지 링크 참조)
■ 관 람 료 : 무료
■ 주 최 : 서울문화재단(www.sfac.or.kr)
■ 주 관 : 서울문화재단(신당창작아케이드), 서울공예박물관
■ 문 의 : 신당창작아케이드 02)2232-8831~5
인스타그램 @sdarcade
부대행사 *자세한 일정은 인스타그램(@sdarcade) 참고
■ 릴레이 아티스트 토크 : 전시기간 중 열리는 참여 작가들과의 릴레이 소통의 자리
■ 도슨트 타임 : 대시민 작품해설 프로그램 *별도 신청 가능
■ 공예 포럼 : 공예의 가치와 미래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간, <시대의 공예, 그 가치와 미래>
순번 | 작가명 | 분야 | 개인작품명1 | 개인작품명2 |
1 | 전나형 | 디자인 | 아주 보통의 이유 | 이처럼 사소한 것들 |
2 | 이소명 | 디자인 | “@” 시리즈 _ 알003 | “@” 시리즈 _ 알004 |
3 | 조예린 | 섬유 | 빛의 토템 | 빛의 토템 |
4 | 서충교 | 금속 | HIPSTOOL 24 | Blooming traces 2 |
5 | 김현지 | 기타공예 | 겹의 언어 I | 겹의 언어 II |
6 | 신제영 | 도자 | 少女_循環 | Hormesis (Serene Sadness) |
7 | 안은선 | 섬유 | 겹의 호흡_숨의 결 | 겹의 호흡_흐름의 결 |
8 | 이명희 | 금속 | 축적된 시간 | 이어짐의 자리 |
9 | 리호 | 디자인 | 유머 오브 언캐니 | 뷰티 오브 언캐니 |
10 | 김동욱 | 섬유 | P-AKS74U | P-M18A1 |
11 | 강인규 | 디자인 | Tendril 14 | tendril 15 |
12 | 신우철 | 디자인 | 나무 | 새 |
13 | 임재현 | 도자 | Pleats series <Organic> | Peats series <Transformed Solids> |
14 | 이정빈 | 도자 | 코듀로이 바스켓#001 | 코듀로이 바스켓#002 |
15 | 이소진 | 섬유 | Slow Gathering: Containers | <Slow Gathering: Containers> |
16 | 한우현 | 기타공예 | 윤슬 시리즈_병풍 | 윤슬 시리즈_커피 테이블 |
17 | 강고운 | 도자 | 흔적의 흐름 | 흔적의 흐름 _ plate |
18 | 서예린 | 기타공예 | 덧씌워진 무늬_레이스 | 움직이는 무늬들 |
19 | 최인경 | 섬유 | 타인의 초상_3 | 타인의 초상_4 |
20 | 권혜인 | 도자 | 숨결의 태동 | 고요하게 피는 꽃 |
21 | 안은경 | 금속 | 균형의 숨 1 | 균형의 숨 2 |
22 | 김정현 | 도자 | 안식 | 안식 |
23 | 김두봉 | 금속 | 본질 | 존재 |
24 | 채범석 | 디자인 | 버티컬 파사드 프로토타입 01 | 버티컬 파사드 프로토타입 02 |
25 | 송인욱 | 기타공예 | 안개 | 안개 |
26 | 김도영 | 기타공예 | 우리 | 위로 |
27 | 김도윤 | 금속 | Louver : Necklace [001] | Louver : Bangle series |
28 | 채민정 | 도자 | 사유의 풍경 | 사유의 풍경 |
29 | 윤지훈 | 도자 | 게이트키퍼 | 픽스 시리즈_2 |
30 | 탁하린 | 섬유 | 당신도 이방인입니다. No.3 | 이방인은 사각형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 |
31 | 이시평 | 디자인 | 스플릿 로그 01 | 스플릿 로그 02 |
32 | 박정언 | 도자 | 의자 | 안에서 밖으로 |
파이프프레임-선반 | 파고다 램프-05 | |||
기타공예 | ||||
신예원 | ||||
33 | ||||
부유하는 잔재들 - 떠있는 심연 | 퇴적의 기억-땅에 스며든 시간 | |||
도자 | ||||
주진형 | ||||
34 | ||||
잇다_09 | 잇다_10 | |||
기타공예 | ||||
류정우 | ||||
35 |
도자 | ![]() |
신제영 SHIN, JEYEONG <Hormesis(Serene Sadness)> 2025 도자 13×100×15cm 2025, 《INTERWOVEN FOOTSTEPS》 SASS 갤러리 / 신당창작아케이드 서울 2025, 《여백의 방》 S팩토리, 서울 2025, 《Loveable Decadence》 공간황금향, 서울 2025, 《어쩌다 마주친 공예》 노들서가, 서울 2024, 《현대도예 새로운 지평》 영암 하정웅 미술관, 영암도기 박물관 |
![]() |
채민정 CHAE, MINJEONG <사유의 풍경> 2025 도자 60×60×60cm 2024 뚝섬미술관 《사랑의 단상》, 성수, 뚝섬 미술관 2024 서인갤러리 《서인정원박람회》, 성수, 서인 갤러리 2023 《공예 트렌드 페어 공예매개관 신진작가 채민정》 COEX, 2023 《Ceramic Art Exhibition》, 명동, 롯데 명동 L7 호텔 |
|
![]() |
주진형 JOO, JINHYEONG <부유하는 잔재들 – 떠있는 심연> 2025 소멸 점토 파편, 레진 40×43×43cm 2025 《Layers of Floating Time》 갤러리 hoM 2025 청주국제공예공모전 <물성의 서사> 청주공예비엔날레 2025 《빛아, 아! 빛》 나인원 한남 리테일(고메이 494 한남) 2025 《Oasis》 솔루나 리빙 2025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입선 |
|
디자인 | ![]() |
전나형 <아주 보통의 이유> 2025 종이, 혼합재료 100×100×30cm 2025 오!재미동 갤러리 ’금의환향‘ 프로젝트, 《한번은 ...》 전나형 개인전, 오!재미동 갤러리, 서울 2023 《La Commedia, comiche: Inferno of Dante》 전나형 개인전, 오재미동 갤러리, KARTOON, 대상주식회사 후원 2022 《I, Drawing/Jeon, Nahyoung 1st solo exhibition》 전나형 개인전,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20 iJungle Illustration Awards 2019, NEW TALENT - MERIT AWARD 2019 K-Arts 2019 홍보 콘텐츠 공모전 최우수상, 서울 |
![]() |
이시평 <스플릿 로그 I> 2025 산화 마감 스테인리스 스틸 각 144×36×36cm 2025 홍익대학교 대학원 목조형가구학과 졸업 2025 청주국제공예공모전 대상 202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청주, 대한민국 |
|
섬유 | ![]() |
탁하린 TAK, HARIN <당신도 이방인입니다. No.3> 2025 실, 풀 116.5×80×6cm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섬유예술전공 박사과정 수료 Université Paris 1 (파리1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석사 및 학사 졸업 2025 학고재 아트센터, 일상 비일상의 틈 by LG U+, 문래예술공장 외 단체전 다수 2024 《L'Étranger à Séoul Ⅴ (서울의 이방인 5)》, 갤러리 그리다, 서울 2024 개인전, 《하아얀: L'Étranger (이방인)》, 솅겐 갤러리, 광주 |
금속 | ![]() |
서충교 SUH, CHUNGGYO <HIPSTOOL 24> 2025 스테인리스 스틸 65.5x61x45cm 2025 《창작의 정원 Garden of Arts》 DDP 둘레길 2025 쇠MADA 제 40회 정기회원전 《쇠가 뜨거울 때》 kcdf갤러리 2024 《STOOL STOOL》 다산 현대 아울렛 SPACE 1 2024 《거울-숲(Forest of Mirror)》 코너갤러리 2024 《가구찬가》 갤러리 은 |
![]() |
안은경 AN, EUNKYUNG <균형의 숨 1, 2> 2025 황동, 친환경 수지, 옻칠 각 30×33×20cm, 35x25x14cm 2025 《디자인마이애미 인 시추_창작의 빛:한국을 비추다》 DDP 이간수문전시장, 서울 2025 DBEW, 《옻칠 Design Beyond East and West》 ADI 디자인뮤지엄, 밀라노 2024 《오버랩 OVERLAP, 안은경개인전》 LJL 아트스페이스, 서울 2023 《잇다_전통과 현대를 융합하는 공예품, 안은경개인전》 예올북촌가, 서울 |
|
기타 공예 / 목공 |
![]() |
신예원 SHIN, YEWON <파고다 램프-05> 2025 주름관, 폴리카프로락톤, 케이블 타이 130×27×27cm 2025 《Geeky Land(괴짜전) 2025》, K현대미술관 2025 《Turn Table_Track 6》 피노크갤러리 2025 《주름진 도시 Wrinkled City》 서울공예박물관 윈도우갤러리 2024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영디자이너 프로모션》 삼성 코엑스(COEX) 2024 은평공예공모전 《형형색색(形形色色)》 삼각산금암미술관 |
![]() |
![]() |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