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서트

한국전자음악의 어제와 오늘, 다매체예술단 ARS, 대구 콘서트하우스 챔버홀에서 11월 14(목), 15(금), 16일(토) 공연~!

이화미디어 2025. 10. 21. 21:50
반응형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공연 개요

공연명: 한국전자음악의 어제와 오늘 2025

일시: 2025년 11월 14(목), 15(금), 16일(토)

장소: 대구 콘서트하우스 챔버홀

주최, 주관: 다매체예술단 ARS

후원: ARKO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원로예술인 공연지원

예술 감독: 김용규

연주: 원로 작곡가, 다매체예술단 ARS

일시: 2025. 11. 29(토) 오후6시, 2025. 11. 30(일) 오후4시, 6시

 

문의: 대구콘서트하우스: 053-250-1400

김용규(YongGyu Gregory Kim): gregorikim@daum.net, 010-7725-9997

 

공연 특징

 

ARKO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원로예술인 공연지원 한국전자음악의 어제와 오늘 2025”은 한국 전자(컴퓨터)음악의 어제와, 현재, 미래를 조명하여 한국 전자음악의 역사를 보여주는 공연이다.

 

공연은 20251129()~30() 이틀에 걸쳐 대구콘서트하우스 챔버홀에서 개최된다. 공연은 2개의 콘서트와 한국 전자음악의 역사를 보여주는 1개의 세미나로 구성되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초기 한국음악 작곡에 중요한 역할을 한 현재 원로 작곡가들의 역할과 작품을 중점적으로 조명한다. 이를 이어받은 현재 작곡가들의 작품도 공연하여 한국 음악 변천과정을 살펴본다.

 

원로 작곡가와 현역 작곡가들이 공연에서 작품을 직접 컨트롤하여 공연 한다.

 

원로 작곡가들에 이어 오늘날 한국 전자음악의 역량을 보여주는 현재 활동 작곡가들의 작품도 선별하여 현재 한국의 전자, 컴퓨터 음악 세계를 보여준다.

 

한국 전자음악의 초기 대표 작곡가들의 작품을 통하여 한국 전자음악의 도입과정과 역사를 살펴보고 황성호 작곡가와 안두진 작곡가의 세미나를 통하여 전자음악 발달 역사를 이해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오늘날 전자음악 약 77년의 역사를 맞이하여 다원화된 최신경향의 컴퓨터음악도 소개한다. 현재 크게 변화된 미디어 음악예술 세계를 예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참여 원로 작곡가로는 황성호(서울대교수 역임), 진규영(영남대 교수역임), 이돈응(서울대교수 역), 안두진(한양대), 김용규(대구국제컴퓨터음악제 감독), 김유리(울산대), 유대안(구미필하모닉오케스트라 지휘자) 등이 참여하고 현역 작곡가는 임종우(서울대), 이병무(한국예술종합학교), 문성준(추계예술대학교) 등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저명한 작곡가들이 참여한다.

 

연주자 역시 한국 음악의 주요 원로 예술가 김한기(바이올린, 창원대), 김헌일(지휘, 클라리넷), 등이 참여 하며 현역 연주자들과 협연한다. 연주는 다매체예술단 ARS 앙상블에서 협연한다.

 

이 공연은 2025ARKO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원로예술인 공연지원 사업에서 지원하며 다매체예술단 ARS’가 주관한다.

한국전자음악의 어제와 오늘 2025 프로그램

* 일부 프로그램은 변경될 수 있음

1

콘서트 1: 테잎(TAPE, 구체음악)

1129() 18시 대구콘서트하우스 챔버홀

작곡가: 황성호, 김유리, 유대안, 안두진, 이병무, 김용규

연주: ‘다매체예술단 ARS’, 컴퓨터: 원로 작곡가

 

유대안 -”A trip to Venus/금성 여행", MIDI, 1995, 2ch.

컴퓨터 유대안

김유리, 피아노와 전자음향을 위한 폭풍”, 10

피아노 김채린, 컴퓨터 김유리/

안두진, -갈대의 노래: A song of reeds, 10’-Piano, 바이올린, 전자 음향

바이올린 김한기, 피아노 김채린, 컴퓨터 안두진

이병무,(테잎)/컴퓨터 이병무 이병무 4채널 테이프를 위한 ” (2015) “Tae” for 4-ch. Tape (2015), 곡 길이 : 810

컴퓨터: 이병무

김용규, Multimediaconcerto No. 25 for Chamber Ensemble and Computer "To the Andromeda", 2019, 12

지휘 김헌일, 플룻 오은혜, 바이올린 김한기, 김혜령, 클라리넷 황은진, 첼로 이언, 피아노 김채린, 컴퓨터 김용규

 

2

세미나: “한국전자음악의 어제와 오늘

1130() 16시 대구콘서트하우스 챔버홀

주제: “한국전자음악의 어제와 오늘

발제: 황성호, 안두진,

대담: 김유리

 

콘서트 2: 라이브 일렉트로닉스-(기악과 컴퓨터 협연)

1130() 18시 대구콘서트하우스 챔버홀

작곡가: 황성호, 문성준, 진규영, 안두진, 이돈응, 임종우

연주: ‘다매체예술단 ARS’, 컴퓨터: 원로 작곡가

 

1. 황성호-Silhouette for Piano and Electronic Sound (1998), 테잎

연주 컴퓨터 황성호 약10

2. 문성준 ‘Sound of dust’ for Violoncello and Electronics

첼로, 이언, 컴퓨터 문성준 약10

3. 진규영 Time Travel 10’40”/

컴퓨터 진규영

4. 이돈응/컴퓨터 이돈응/ 하모니커로봇, 드럼로봇/즉흥적 미래 환상곡 II, 자동연주로봇과 라이브 컴퓨터 음악의 융합, (스네어드럼 연주로봇, 하모니카 연주로봇, 파이프 마림바 연주로봇), 15

연주, 컴퓨터: 이돈응

5. 임종우 "Shade II" for viola & live-electronics in real-time,

비올라 라세원, 컴퓨터: 임종우

 

다매체예술단 ARS/MULTIMEDIA ARTS GROUP ARS

 

다매체예술단ARS는 대구국제컴퓨터음악제 주관단체이다. 2006년 창단된 멀티미디어음악 창작, 공연 단체이다.

 

순수음악, 무용,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과 컴퓨터, 영상 등 현대 신매체들을 사용하여 예술의 표현범위를 넓혀가는 단체로, 국내외 광범위한 분야의 뛰어난 기량을 가진 예술가들이 참가하고 있다.

 

신매체예술 대중속으로 2010’, ‘우연성음악 축제 2012’, ‘전람회의 음악 2013~2017’, ‘통합미디어협주곡 2016, 2017’, ‘대구국제컴퓨터음악제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등 다매체예술단 ARS는 뉴미디어 아트의 창작뿐만 아니라 유럽, 미국, 남미, 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의 신예술 작품들을 공연하였다.

 

예술 감독

 

김용규((YongGyu Gregory Kim)

작곡가, 지휘자, 미디어 아티스트

 

김용규는 계명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 대학원에서 컴퓨터음악을 전공하였다.

 

그는 2000년대 초부터 발달한 실시간 음악에 관심을 가지고 다매체협주곡장르를 개발하였다.

 

그의 실시간 다매체 협주곡은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일본, 한국 등에서 공연되었다.

 

2008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원으로 김용규 다매체 종합예술음악연주회를 비롯하여 아쟁과 컴퓨터 서울연주회”, 서울시 소년소녀합창단과 멀티미디어 크리스마스 연주회“, 2009년 전주 시립국악단의 멀티미디어협주곡”, 2010년에는 대구문화재단 지원으로 신매체예술 대중속으로 2010”, 2011년에는 KBS 대구방송국에서 김용규 미디어 음악전”, 2012년 존 케이지탄생 100주년기념 우연성음악 축제”, 2013년부터 전람회의 음악 2013~ 2015”, 2016통합미디어협주곡등을 통하여 다원예술 작품을 창작 공연하였다.

 

2017년 대구시립교향악단 주최 뉴사운드 오브 대구

서 통합미디어협주곡 제26안드로메다를 향하여를 발표하여 컴퓨터와 오케스트라의 협주곡을 최초로 실현하였다.

 

ICMC 국제컴퓨터음악 컨퍼런스 2018에서 첼로와 멀티미디어를 위한 작품을, 2021김용규 원격 협주곡 콘서트를 통하여 뮌헨, 서울, 대구를 연결하는 인터랙티브 원격 협주곡을 실현하였다. 2024년 영국 버밍엄대학교 리서치위크에서 김용규 다매체협주곡 연주회를 공연하였다.

 

저서로 ‘21세기의 컴퓨터음악’, ‘클릭, 클래식등이 있다. 무용과 오페라칼럼니스트, 대구현대음악제 상임고문, ‘다매체예술단 ARS’ 단장, DICMF 대구국제컴퓨터음악제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참여 작곡가

 

황성호 (Hwang Sung-Ho, b. 1955)

 

서울대학교, 브뤼셀 왕립음악원, 우트레흐트 음악원에서 작곡, 음악이론, 전자음악을 전공한 그는 1993년 한국전자음악협회 (KEAMS)를 창립,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를 시작했다. 추계예술대학,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다 2020년 정년퇴임했다. 또한 한국작곡가협회 이사장으로 작곡계를 이끌었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이다.

그의 작품은 ICMC (홍콩, 베이징), 스프링 인 아바나 (쿠바), 산타페, 뉴욕, 교토, 모스크바, 브레멘, 베를린 등지에서 연주되었다. 저서로는 전자음악의 이해소리, 그 너머의 음악 Reading Beethoven등이 있다.

 

 

 

 

 

이돈응 (Donoung Lee)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전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전 한국전자음악협회 회장

전 한국작곡가협회 이사장

전 한국작곡가협회 ACL 이사장

 

 

 

 

 

 

 

 

진규영( Chin, Kyu-Yung)

한국 작곡가협회() 이사장 및 국제현대음악협회(ISCM) 한국지부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명예 교수, 통영 국제음악제 재단 부 이사장, 대구 국제현대음악제 고문, 대구 MBC 관현악단 상임작곡가, 서울 국제음악제 조직위원.

1970년에 동아 콩쿨작곡부문에 입상했고, 1990년에는 대한민국 작곡상” ,2005년에는 한국음악상, 2008년에는 예술대상을 받았다.

 

 

 

 

 

이병무(Byung-moo Lee)

이병무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와 독일 엣센 폴크방 국립 예술대학 작곡과에서 강석희, 니콜라우스 A. 후버, 디륵 라이트를 사사했다. 그는 소리 재료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관점에 의한 소리의 다차원적 표현을 추구한다. 그의 작품은 한국, 독일, 일본, 포르투갈, 프랑스, 싱가폴, 스웨덴, 미국의 여러 음악회와 음악제에서 콜로르 현악사중주단, 앙상블 모데른, 앙상블 소리, 앙상블 이멕스, 앙상블 서플러스, 앙상블 프로젝트21앤드, 앙상블 팀프, 앙상블 미장, 앙상블 아인스 등에 의해 연주 되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작곡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전자음악협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문성준(Seong-Joon Moon)

문성준은 서울대학교, 베를린 HdK, 베를린 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교에서 작곡을 공부하였다.

그의 작품은 범음악제,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A.C.L 음악제, World New Music Days, ICMC 등 여러 나라의 다양한 현대음악 공연에서 연주되었다.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작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안두진(Doo-jin Ahn)

안두진은 작곡가 녹음기술자로도 활동했다.

지금은 서울미래예술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작곡가협회 이사 이다.

그동안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Conference 2018 Chairman, 한국전자음악협회 회장 및 서울컴퓨터음악제 예술감독 등 여러가지 일을 했다.

작품은 ICMC, SCIMF(Seoul Computer Music Festival), 서울, 대구, New York, Paris, Beijing, Havana, 등 지구별 여러 도시에서 발표되었다.

 

 

 

 

임종우(Jongwoo YIM)

임종우는 20223월부터 서울대학교 작곡과교수로 재직 중인 임종우는 한양대학교 작곡과교수 및 대학원 전자음악작곡전공교수, CREAMA전자음악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2019년부터 ISCM 한국지부 회장과 PAN Music Festival 음악감독 및 집행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그는 WOCMAT Taiwan, Composer's reading in Kazan Russia, Rice University Texas USA, ACMP Toky Japan 초청작곡가로 초청되었고, 프랑스 문화통신부 위촉작곡가, Radio FranceFestival Présences, INAGRM 위촉작곡가, 서울시향 아르스노바 위촉작곡가, MetaDuo 위촉작곡가, Daniel Kientzy와 루마니아국립오케스트라 위촉작곡가, Project21AND 위촉작곡가, Ensemble Eins 위촉작곡가, TIMF Ensemble 위촉작곡가, 새로운예술의해2000 위촉작곡가로 선정되었다. 그의 작품은 다수의 국제음악제를 통해 작품이 발표되었으며, 국내외 유수한 연주자와 연주단체를 통해 작품이 초연되었다.

 

김유리(Yoo-ri Kim)

김유리는 대구가톨릭대학교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Lübeck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하였다. 시인 클라우스 기념 프로젝트에 참가 하였고 브람스 페스티벌에서 작품을 위촉 받았다. 또한 북독일 방송국(NDR) 초청으로 작품을 발표했다. 독일 Pohssel 장학재단 콩쿨에서 현악오케스트라소리로 대상수상하였으며 1994년에 귀국하여 개인 작곡발표회를 가졌을 뿐 아니라 독일, 중국, 폴란드, 일본 등지에서도 초청 작품 발표했다. 2007년 아창제(. 창작관현악축제)에서 관현악을 위한 로 공모에 당선되었다. 2018,2019년 오작교 프로젝트에 전속작곡가로 활동했으며 대구국제현대음악제 감독과 대구작곡가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모던앙상블단장 그리고 영남필오케스트라 전속작곡가로 활동하고 있다.

 

 

 

유 대 안(Daean Ryu)

)날뫼민속보존회 이사장, 대구경북예술가곡회 이사

영남작곡가협회 이사, 대구작곡가협회 이사, 대구시합창연합회 회장 역임

대구시문화예술인현창사업 자문위원, 대구서구문화융성 위원 역임

인동역사문화연구회 자문위원, 중등음악교과서 편찬위원 역임(성안당)

인동아리랑! 아라리 한마당축제 작곡 및 기획 연출자(1~6)

계명대, 대구교육대, 대구예술대, 구미1대학, 대신대 외래교수 역임

구미필하모닉오케스트라 지휘자, 구미아리랑코러스 지휘자

한국민요학회, 민족음악학회, 세계음악학회 회원

계명대 시민대학 외래교수.

 

 

 

 

김용규((YongGyu Gregory Kim)

감독 프로필 참고

 

연주-다매체예술단 ARS

 

지휘 김헌일(Hunil Kim)

김헌일은 계명대 음악공연예술대학, 독일 베를린 국립음악대학, 미국 미드웨스트대학교(교회음악)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학시절 많은 연주회를 통해 경험을 쌓았고 베를린 클라리넷 앙상블 단원으로 활동했다. 특히 국내외 현대음악제를 통해 현대음악 전문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현대기법을 이용한 자작곡인 ‘MOSAIK’ for Solo Clarinet(1996), ‘Life of Jesus’ for Solo Clarinet(2017)을 발표했다.

이밖에도 헝가리PECS오케스트라, 대전상록오케스트라, ARS클라리넷4중주단, 대구국제오페라하우 오케스트라(DIOO)와 협연했다.

 

악장, 바이올린 김혜령(Hye ryung Kim, Violin)

모스크바 국립 차이코프스키 음악원 학, 석사 통합 졸업

모스크바 슬라브 국제 음악 콩쿨 2

이탈리아 영아트스트 음악 콩쿨 그랑프리

유럽과 러시아, 아시아에서 독주회, 실내악 연주, 오케스트라와 협연

현대 작곡가들의 작품 초연과 레코딩 녹음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독일, 동아시아 국제 음악 페스티벌 등 초청 연주

2014, 2016 자이온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객원악장

2015 대구예술발전소 텐토픽 5기 입주작가

) 다매체예술단 ARS 악장, 국립창원대 출강, 대구시립교향악단 차석단원, 아스콜티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악장

 

바이올린 김한기 (Han-Ki Kim)

계명대학교 음악대학,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조선일보 제40회 신인음악회출연.

대구, 창원시립교향악단, Michigan State University 오케스트라악장역임.

14회 난파음악제/대구직할시승격기념 작곡공모수상

이무지치(I Musici)의 위촉 작, 편곡자.

2012K-Classic이 사랑하는 한국을 대표하는 12인의 작곡가에 선정됨.

2024K-Classic 위촉 BEST 작곡가로 선정.

2014년 대구음악상수상, 2018년 대한민국 최고국민대상 수상(안중근장학회).

캐나다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방문교수.

홍조근정훈장,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학장역임.

: 국립 창원대학교 명예교수.

 

Sewon Rah, Viola 라세원, 비올라

서울대학교 재학 중 도독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Diplom"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Konzertexamen" 졸업

Komische Oper Berlin 연구단원역임

대전시립교향악단, 경기도립필하모닉, 청주시립교향악단, 충남도립교향악단 등 객원수석역임

오스트리아 클랑슈푸렌 슈바쯔, 프랑스 파리, 리옹, 마르세유, 홍콩, 일본, 슬로바키아 등 다수의 국제 현대음악제 초청연주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가천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현재 예원, 서울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경기예술고등학교, 인천예술고등학교 출강

Ensemble TIMF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정단원, We soloists 멤버

 

 

첼로, 이언(드미트리 리)/Un Lee(Dmitri Lee),

독일 뮌헨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및 석사 과정 졸업, 러시아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국립 음악원 졸업 동 대학 고음악 바로크 첼로 졸업. 다수 러시아 전국/국제 음악 콩쿠르 입상,Stuttgarter Kammerorchester, 등 다수 유럽 오케스트라와 협연. Schleswig-Holstein,등 다수 유럽 페스티벌에서 연주

-Nigel Kennedy 초청 순회연주 Berliner Philharmonie Hall, Frankfurt Alte Opera,Hamburg Laeiszhalle,Munich Hercules Hall 등다수 유럽 무대에서 연주

) 이언 첼로 연구소 대표

 

 

 

 

플룻, 오은혜/Eun Hae Oh, Flute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대학교 박사졸업

오하이오 볼링그린 주립대학교 및 노스 텍사스대학 연주자과정 수료

텍사스텍 대학 석사 졸업

동테네시 주립대학 학사졸업

홍콩 국제 플루트협회 국제 콩쿠르 우승 및 베스트 이탈리안 스타일 연주 특별상 “Stile Italiano” 수상 및 센트럴 오하이오 플루트협회, 샌디에고 플루트 협회 콩쿠르 등 입상.

2018년 서울 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 공모 선정 현대음악 관련 설문과 독주회 기획 및 연주.

 

피아니스트 김채린(Chaelin Kim)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전공 졸업 (B.A)

-독일 칼스루에 국립음대 피아노과 석사졸업 (M.M)

-독일 칼스루에 국립음대 실내악과(Piano-Trio)전문연주자과정 졸업

-이탈리아 시칠리아 문화재단 초청연주

-독일 Baden-Würtemberg주 교수협의회 초청 연주

-이태리 아미그달라 국제음악콩쿨 그랑프리,

도쿄 피아노두오 국제콩쿨 입상

-독일 칼스루에 국립음대 오페라과 반주강사 역임

)경북예고,부산여대 출강

다매체현대음악예술단 ARS 수석 피아니스트,탱고브릿지 멤버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