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WHAT IS LOVE? 2025 국립오페라단 정기공연 Ⅳ '트리스탄과 이졸데' 바그너 궁극의 음악극, 국내 첫 무대!우주선 안에서 펼쳐지는 '무한한 우주, 무한한 사랑'

이화미디어 2025. 11. 10. 19:34
반응형

 

멀티버스 속 다시 태어난 바그너의 세계

2025.12.4. 목~ 12.7. 일 15:00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국립오페라단(단장 겸 예술감독 최상호) 오는 12월4일(목)부터 12월7일(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바그너의 대작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국내 초연한다.

 

이번 공연은 2024년 '탄호이저'로 시작된 '바그너 시리즈'의 두 번째 무대로, 바그너 예술의 정점이라 불리는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통해 내면의 깊은 욕망과 초월적 사랑을 탐구하는 여정을 이어간다.

 

서울시립교향악단과 공동 주최하고 예술의전당이 후원하는 이번 무대는 '사랑과 죽음'이라는 보편적 키워드를 음악으로 승화시킨 바그너의 예술세계를 국내 관객들에게 처음 선보이는 역사적 무대가 될 것이다. 

 

특히 서울시향이 13년 만에 오페라 연주에 나서며, 세계적인 '바그너 스페셜리스트' 얍 판 츠베덴 음악감독 지휘하는 만큼 섬세한 긴장감과 압도적 음향미가 기대된다.  

 

바그너 10년의 집념이 빚은 낭만의 결정체
사랑이 완성되는 6시간의 황홀한 
우주여행

'트리스탄과 이졸데'는 현대음악의 시작에 결정적 영향을 준 바그너의 대표작으로, 조성의 해체를 예고한 혁신적인 화성과 더불어, 인간의 사랑과 욕망을 철학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트리스탄과 이졸데'는 독일 켈트 신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담고 있다. 코른웰의 왕 마르케의 조카인 트리스탄은 아일랜드 공주인 이졸데를 왕의 신부로 데려오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

 

이졸데는 과거 자신의 약혼자를 죽인 자가 트리스탄임을 알게 되고, 굴욕적인 결혼을 하느니 죽음을 택하고자 트리스탄과 함께 독약을 마시려고 한다. 그러나 시녀 브랑게네가 그것을 사랑의 묘약으로 바꿔 버리고, 둘은 지독한 사랑에 빠지게 된다.

 

밀회를 이어가던 이들의 관계는 왕의 심복인 멜롯에 의해 발각되고, 트리스탄은 결투를 벌이다 치명상을 입는다. 트리스탄은 고통 속에서 다시 이졸데를 만나게 되자 그녀의 품에서 숨을 거둔다. 

 

시대가 변해도 거부할 수 없는 러브 스토리

광활한 음악의 우주로 안내할 메르키의 연출

 

이번 공연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전막이 무대화되는 만큼 바그너 예술의 정수를 구현하기 위해 세계적인 제작진들이 뭉쳤다. 연출을 맡은 스위스 출신 슈테판 메르키는 2023년 코트부스 국립극장에서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선보이며 유럽 전역에서 주목 받았다.

 

그는 이번 프로덕션에 관해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죽음이 사랑의 종말이 아니라 '진정한 사랑의 자유'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해석하고, 원작의 바다 위 항해를 '우주로의 여정'으로 표현하기로 했다.

 

무한한 세계로 나가며 사랑을 가두고 자유를 제한했던 세계를 뒤로 하고 자유로운, 새로운 곳을 향해 나아가는 용기를 담으려고 한다”라고 설명했다. 

 

연출 의도는 무대와 의상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무대는 거대한 우주선 형태로 그려지며 무대 중앙의 나선형 구조물은 바그너 특유의 이분법적 세계관과 현실과 또 다른 세계의 경계를 허무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예정이다.

 

또한 별을 표현하기 위한 조명, 거울 등을 활용하여 구원의 이미지를 시각화할 계획이다.

 

의상에는 우주복, 방어복, 해군복에서 영감 받아 '대비'라는 개념을 시각화했다. 인물의 내면과 사회적 억압의 대비, 원작의 고전적 실루엣과 현대적 소재의 대비를 함께 담았다. 

 

극 후반부로 가면 액체가 흐르는 듯한 표현을 가미하여 새로운 세계를 마주했을 때 순간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했다.

 

무대 위 트리스탄의 모든 고뇌 담는 헬덴테너

사랑의 색채와 울림을 완성하는 소프라노

 

국내 초연 무대는 바그네리안의 마음을 사로잡을 스페셜리스트들이 대거 참여한다. 트리스탄 역에는 당대 최고의 헬덴테너, 스튜어트 스켈톤이 맡는다.

 

'트리스탄과 이졸데'는 그의 대표 레파토리로 “어두운 음색을 갖고 트리스탄의 복잡한 감정을 설득력 있게 들려줬다”는 평을 받았다.

 

그는 바그너의 '발퀴레'를 얍 판 츠베덴이 지휘하는 홍콩 필하모닉과 음반으로 녹음하고, 베를린 필하모닉과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협연하는 등 전세계 바그네리안의 사랑을 받고 있는 테너다.

 

그와 호흡을 맞출 이졸데는 풍부한 표현력을 가진 세계적인 소프라노 캐서린 포스터가 맡는다. 그녀는 조산사, 간호사로 근무하다 뒤늦게 성악에 입문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다.

이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6년 연속 브륀힐데 역을 맡아 기립 받수를 이끌어낸 바 있으며 2022년부터 이졸데 역할을 꾸준히 맡아왔다.

 

2023년 메르키 연출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에서도 이졸데 역을 소화했으며 이 당시 “신비로운 동화 속 생물처럼 연주하고, 사랑하고, 분노하고, 고통받는 존재로 분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2023년에는 테너 브라이언 레지스터와 호흡을 맞췄지만 이번 프로덕션에서는 스튜어트와 함께 새로운 시너지를 선보인다. 

 

또다른 트리스탄에는 테너 브라이언 레지스터가 출연한다. 헬덴테너 영역에서 보기 드문 바리톤풍 음색과 극적인 표현력을 자랑하는 그는 2023년 메르키 연출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두고 평론가들로부터 “괴물같은 연기”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졸데의 또다른 캐스팅은 체코 출신의 드라마틱 소프라노 엘리슈카 바이소바다. 메조소프라노로 데뷔했으나 2018년부터 드라마틱 소프라노로 전향하여 '토스카', '투란도트', '나부코' 등을 거쳐 바그너 레파토리를 연이어 소화하고 있다.

 

그녀의 폭발적인 에너지와 섬세한 감정선은 국내 초연 무대에 신선한 긴장감을 더할 것이다. 

 

이번 무대에는 국립오페라단이 발굴한 신예 성악가도 함께 한다. 지난 8월에 열린 제 24회 국립오페라단 성악콩쿠르 금상 수상자인 테너 이재명이 마르케 왕의 심복, 멜롯 역으로 출연해, 젊은 에너지를 발산할 예정이다. 

 

'트리스탄과 이졸데'는 2026년 3월, 공연영상화서비스인 '크노마이오페라'(https://www.knomyopera.org/ott/vodList) 홈페이지를 통해서 고품질의 VOD로 다시 만날 수 있다.

공연명 국립오페라단 '트리스탄과 이졸데'
일시 2025.12.4. 목~ 12.7. 일 15:00     
러닝타임 1막 90분, 인터미션 40분, 2막 90분, 인터미션 30분, 3막 90분 
(상기 시간은 공연 진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장소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지휘 얍 판 츠베덴
연출 슈테판 메르키
출연
연주 및 출연
티켓 
역할 12.4. 목
12.6. 토
12.5. 금
12.6. 일
트리스탄(Ten.) 스튜어트 스켈톤 Stuart Skelton 브라이언 레지스터 Bryan Register
이졸데(Sop.) 캐서린 포스터 Catherine Foster 엘리슈카 바이소바
Eliška Weissová
브랑게네(M.Sop.)  톤 쿰메르볼드 
Tone Kummervold
김효나                                                                         
쿠르베날(Bar.) 레오나르도 이 노동용
마르케 왕(Bass) 박종민
멜롯(Ten.) 이재명
목동, 
젊은 선원(목소리)(Ten.)
김재열
타수(Bar.) 김영훈
서울시립교향악단, 국립오페라단 노이오페라코러스
R석 18만원, S석 15만원, A석 12만원, B석 9만원, C석 7만원, D석 5만원
문의 국립오페라단 1588-2514

 

KNO 2025 'Tristan und Isolde' 제작진 및 출연진 프로필

지휘 Conductor 얍 판 츠베덴 Jaap van Zweden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나 줄리어드 음악원 학생이던 19세에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최연소 악장으로 임명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베를린 슈타츠카펠레, 빈 필하모닉, 미국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등 유수 교향악단 지휘
홍콩 필하모닉과 홍콩에서 초연한 바그너 <니벨룽의 반지> 음반 발매(낙소스 레이블), 뉴욕 필하모닉과 세계 초연한 데이비드 랭의 오페라 <국가의 죄수(2020)>, 그래미상 후보에 오른 줄리아 울프의 오라토리오 <내 입 안의 불(2019)> 녹음(데카 골드 레이블)
바그너 <로엔그린>,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파르지팔> 등을 음반녹음했으며 이중 <파르지팔>은 2012년 에디슨 최고의 오페라 음반상 수상
뉴욕 필하모닉(2018-2024) 음악감독 및 홍콩 필하모닉 음악감독(2012-2024) 재직
홍콩 필하모닉 재직 중 2019년 영국 클래식 전문잡지 그라모폰에서 올해의 오케스트라 선정
1997년 자폐아 가족을 지원하는 파파게노 재단 설립
2026년 하반기부터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 재직 예정
현 서울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 대만 에버그린 심포니 오케스트라 상주 음악가
 
주요작품 
<발퀴레>, <로엔그린>, <트리스탄과 이졸데>, <파르지팔>,<뉘른베르크의 명가수>, <아르미다>, <오텔로>, <아틸라>, <나비 부인>, <돈 키호테>,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라 트라비아타> ,<피델리오> 외 다수
연출 Stage Director 슈테판 메르키 Stephan Märki
스위스 출신 극장장 및 연출가
독일 뮌헨의 루트 폰 체르보니 연기학교 졸업
배우 및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며, 독일 오프 씨어터 운동의 선구자로서 팀 테아터 뮌헨 창단
1997년 한스 오토 극장장으로 취임 이후 오스트리아 빈 막스 라인하르트 세미나 교수로 재직, 독일 국립극장 바이마르 극장장 부임
스위스 콘체르 트 테아터 베른, 브란덴부르크 주 코트부스 주립극장 예술감독 재직
 
주요작품
<트리스탄과 이졸데>, <로엔그린>, <엘렉트라>, <카르멘>, <돈 카를로>, <토스카> 외 다수 

 

트리스탄 Tristan(Ten.) A 스튜어트 스켈톤 Stuart Skelton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구스타보 두다멜 지휘의 <오텔로> 오텔로, 라 스칼라 극장 정명훈 지휘의 <피델리오> 플로레스탄,  베를린 도이체 오퍼에서 도날드 러니클스 지휘의 <발퀴레> 자크문트 등 여러 유명 오페라 극장의 주역 활동 
바이에른 주립 오페라, 빈 국립 오페라, 도쿄 신국립극장, 잉글리시 네셔널 오페라 등에서 <피터 그라임스> 주역으로 활동
2014년 국제오페라어워즈 “올해의 남자 성악가” 선정, 2010년 호주 오페라어워즈 <피터그라임스>로 “로버트 헬프만 상” 수상 
 
주요작품
<트리스탄과 이졸데>_트리스탄, <발퀴레>_지크문트, <파르지팔>_파르지팔, <피터 그라임스>_피터 그라임스, <피델리오>_플로레스탄, <오텔로>_오텔로, <트리스탄과 이졸데>_쿠르베날, <삼손과 데릴라>_삼손 외 다수 
 
 
 
 
 
트리스탄 Tristan(Ten.) B 브라이언 레지스터 Bryan Register
2012년 리더크란츠 성악 콩쿠르 2위, 2006년 설리반 재단 및 리치아 알바네세/푸치니 콩쿠르, 2008년 거다 리스너 콩쿠르 우승
맨허튼 음악학교 비르기트 닐손 장학금 수혜
콧부스 주립극장, 산타페, 볼로냐, 브뤼셀, 도쿄 니카이 오페라에서 <트리스탄과 이졸데> 트리스탄 역으로 활동
 
주요작품
<트리스탄과 이졸데>_트리스탄, <파르지팔>_파르지팔, <방황하는 네덜란드인>_에릭, <피델리오>_플로레스탄, <루살카>_왕자, <로엔그린>_로엔그린, <발퀴레>_지크문트, <신들의 황혼>_지크프리트 외 다수 
이졸데 Isolde(Sop.) A 캐서린 포스터 Catherine Foster

 
 
웨일스 국립오페라, 잉글리시 네셔널 오페라에서 <마술피리> 밤의 여왕으로 데뷔
로열 버밍엄 음악원 명예 펠로우십을 받았으며, 런던 바그너협회에서 바그너 작품에 대한 헌신으로 레지널드 구달 상 수상, 2022년 빅토리아 오페라 <엘렉트라> 엘렉트라 역으로 호주 그린 룸 수상 
2023/24시즌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발퀴레> 브륀힐데로 성공적으로 무대에 오르며 세계적인 바그너 스페셜리스트로 활동
 
주요작품
<트리스탄과 이졸데>_이졸데, <투란도트>_투란도트, <발퀴레>_브륀힐데, <지크프리트>_브륀힐데, <엘렉트라>_엘렉트라, <나부코>_아비게일, <토스카>_플로리아 토스카, <피델리오>_레오노레, <돈 카를로>_엘리자베타, <라 보엠>_미미 외 다수 
 
 
이졸데 Isolde(Sop.) B 엘리쉬카 바이소바 Eliška Weissová
 
 
 
 
브르노 음악원, 프라하 음악 아카데미 졸업 
2004년 안토닌 드보르작 국제 성악 콩쿠르 1등상, 2006 슬로베키아 미쿨라스 슈나이더-트르나브스키 성악 콩쿠르 3등상 수상 
2018년 브라티슬라바 국립극장 <일 타바로> 조르제타 역으로 소프라노 전환 후 빈 국립 오페라, 프라하 국립극장, 함부르크 국립오페라, 웨일스 국립오페라, 렌 오페라, 슬로바키아 국립극장 등 주요 오페라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트리스탄과 이졸데>_이졸데, <탄호이저>_베누스, <로엔그린>_오르트루트, <투란도트>_투란도트, <나부코>_아비게일, <일 트로바토레>_아주체나, <세 개의 오렌지에 대한 사랑>_파타 모르가나, <피가로의 결혼>_마르첼리나, <카르멘>_메르세데스, <루살카>_예지바바, <엘렉트라>_엘렉트라 외 다수   
 
 
 
 
브랑게네 Brangäne(M.Sop.) A 톤 쿰메르볼드 Tone Kummervold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NTNU) 및 스타방에르 대학교(UIS), 이탈리아 프로시노네 음악원(L. Refice)에서 수학
2009년 노르웨이 국립 오페라 <루살카> 세번째 나무의 정령 역으로 데뷔
2012/13 노르웨이 국립 오페라 솔리스트 앙상블 활동
 
주요작품
<죽음의 도시>_브리기타, <노르마>_클로틸데, <카르멘>_카르멘, <나비부인>_수잔나, <라 트라비아타>_플로라, <방황하는 네덜란드인>_마리,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_롤라, <잔니 스키키>_치타, <예브게닌 오네긴>_올가, <호프만의 이야기>_니클라우스 외 다수
브랑게네 Brangäne(M.Sop.) B 김효나 Hyona Kim 
 
 
 
 
2018-2023 독일 도르트문트 오페라극장 소속 솔리스트 
뉴잉글랜드 심포닉 앙상블과 함께 비발디 글로리아 알토 솔로 카네기홀 데뷔
샌프란시스코 오페라, 뉴욕시티오페라, 루마니아 국립오페라, 오페라 캐롤라이나 등 주요 오페라극장에서 주역으로 활동
2024/25 시즌 덴마크 왕립오페라, LA 오페라, 캐나다 오페라 컴퍼니 <나비부인> 스즈키 역, 오페라 메인(Maine)에서 <아이다> 암네리스 역
2025/26 시즌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아일랜드 국립오페라 <나비부인> 스즈키 역, LA 오페라에서 <팔스타프> 퀴클리 부인 역 출연 예정
 
주요작품
<나비부인>_스즈키, <일 트로바토레>_아주체나, <로엔그린> _오르트루트, <탄호이저>_비너스, <닉슨 인 차이나>_낸시 탕, <서부의 아가씨>_바우클레, <프레데공드>_프레데공드, <아이다> _암네리스, <돈 카를로>_에볼리 외 다수
 
 
 
 
쿠르베날 Kurwenal(Bar.) A 레오나르도 이 Leonardo Lee
독일 베를린 도이치 오퍼, 칼스루에 국립극장, 에센 알토 오페라, 카쎌 국립극장, 스위스 베르비어 페스티벌, 이탈리아 파도바 오페라, 한국 국립오페라단 등에서 주역으로 출연
올덴부르크 국립극장, 브레멘 극장, 코부르크 주립극장, 킬 극장, 오스나브뤼크 극장, 파리 필 하모니, 프랑스 La Cercle De L‘Harmonie 오케스트라, BBC 방송교향악단,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NDR 방송교향악단, SWR 방송교향악단, 조지아 트빌리시 국립 오케스트라, 루마니아 국립 심포니, 산마리노 심포니, 성남시향 등 출연 및 협연
현 독일 칼스루에 국립 극장 바리톤 주역 솔리스트, 외 다수극장 객원 활동 중
 
주요작품
<라인의 황금>,<발퀴레>_보탄_알베리히, <지크프리트>,<신들의 황혼>_알베리히, <리골레토>_리골레토, <맥베스>_맥베스, <가면무도회>_레나토, <라 트라비아타>_제르몽, <아이다>_아모나스로, <토스카>_스카르피아, <람메르무어의 루치아>_엔리코 아쉬톤, <살로메>_요하난, <팔리아치>_토니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_알피오, <외투>_미켈레 외 다수
쿠르베날 Kurwenal(Bar.) B 노동용 Dong Yong NOH
수원대 성악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오페라전공 졸업, 프랑스 베르사유 국립음악원 음악사최우수 졸업, 프랑스 베르사유 국립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 졸업
프랑스 클레르몽페랑 국제콩쿠르 우승, 이탈리아 피에로 카푸칠리 국제콩쿠르 1위, 오스트리아 그란디보치 국제콩쿠르 1위 및 청중상, 스페인 발라구에르 국제콩쿠르 1위 및 청중상, 이탈리아 이즈마엘 볼토리니 국제콩쿠르 1위, 프랑스 비본느국제콩쿠르 1위, 프랑스 레오폴드 벨랑 국제콩쿠르 1위 등 국제 콩쿠르 입상
2015년 이탈리아 베르디 오페라 페스티벌 리골레토 역 데뷔, 프랑스 제랄드 필립 극장, 프랑스 아비뇽 오페라, 랭스 오페라, 비쉬 오페라, 클레르몽페랑 오페라, 마씨 오페라, 생세레 오페라 페스티벌, 이탈리아 타오르미나 고대 원형극장, 이탈리아 카프리 오페라 페스티벌 등 주요 극장 및 페스티벌 출연
현 유럽에서 주역 가수로 활발히 활동
 
주요작품
<리골레토>_리골레토, <맥베스>_맥베스, <나부코>_나부코, <라 트라비아타>_제르몽, <아이다>_아모나스로, <팔리아치>_토니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_알피오 외 다수
 
마르케 왕 König Marke(Bass) 박종민 Jongmin Park
 
한국예술종합학교 재학 중 도이(獨伊) 라 스칼라 극장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및 동대학원 졸업
문화체육관광부 표창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대한민국오페라대상 ‘이인선 상’,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 1위, BBC 카디프 국제콩쿠르 가곡 부문 우승, 빌바오 국제콩쿠르 1위, 스텔라 마리스 국제콩쿠르 1위, 국립오페라단 콩쿠르 금상 등 다수의 콩쿠르 우승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마드리드 왕립극장, 베를린 국립 오페라 극장, 런던 코벤트 가든 왕립극장,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베로나 아레나 원형극장 등
빈 국립오페라 전속 주역가수 역임, 함부르크 국립오페라 전속가수 역임
현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 중
 
주요작품
〈시몬 보카네그라〉_피에스코, 〈나부코〉_자카리아, 〈맥베스〉_방코, 〈아이다〉_람피스, 〈뉘른베르크의 명가수〉_포그너, 〈탄호이저〉_ 헤르만, 〈트리스탄과 이졸데〉_마르케, 〈발퀴레〉_훈딩, 〈라인의 황금〉_파졸트, 파프너, 〈피가로의 결혼〉_피가로, 〈돈 조반니〉 _레포렐로, 〈마술피리〉_자라스트로, 〈청교도〉_죠르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_라이몬도, 〈루살카〉_보드닉 외 다수
 
멜롯 Melot(Ten.)  이재명 Daniel J. Lee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교 제이콥스음악대학 성악과 전문연주자 및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미국 아스펜 뮤직 페스티벌 스튜디오 아티스트 역임
미국 캔자스시티 리릭 오페라단 레지던트 아티스트 역임
국립오페라단성악콩쿠르 금상, 대구국제성악콩쿠르 2위, 양수화성악콩쿠르 1위, SD서울국제성악콩쿠르 3위, 중앙음악콩쿠르 3위, 성정음악콩쿠르 은상, 수리음악콩쿠르 2위, 음악춘추콩쿠르 1위.
현 충남예고 출강
 
주요작품
<코지 판 투테>_페란도, <돈 조반니>_돈 오타비오, <피가로의 결혼>_돈 바질리오, <사랑의 묘약>_네모리노, <라 론디네>_루제로, <라 보엠>_로돌포, <로미오와 줄리엣>_로미오, <투란도트>_퐁
목동 Ein Hirt(Ten.)
젊은 선원(목소리) Stimme eines jungen Seemanns
김재열 Jaeyeol Kim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성악과(오페라성악) 졸업
총신대학교 교회음악과(성악) 졸업
제 6회 모차르트 한국콩쿨 지부대회 및 본부대회 성악부 1위
제 61회 음악교육신문사 콩쿠르 성악 일반부 2위
2024 두남재 한국가곡 대축제 in 당진 한국가곡 콩쿠르 일반부 입상
현 국립오페라단 청년교육단원
타수 Ein Steuermann (Bar.)  김영훈 Young-hoon Kim 
서울대학교 성악과 졸업
국립 오페라스튜디오 7,8기 청년단원
제30회 수리음악콩쿠르 대상
제45회 난파전국음악콩쿠르 대상
제7회 아름다운 김해로 전국성악 경연대회 대상
현 국립오페라단 청년교육단원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