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작발표회] 국립정동극장 '소춘대유희_백년광대'

뮤지컬

by 이화미디어 2021. 10. 5. 15:11

본문

반응형

'소춘대유희_백년광대'의 오방신. 정동극장을 100년동안 지킨 신이라는 설정이 흥미롭다.

[플레이뉴스 박순영기자] 국립정동극장 2021 두번째 작품인 <소춘대유희_백년광대> 제작발표회가 5일 오후2시 서울 정동길 정동극장에서 열렸다.

 

10월 22일부터 11월 7일까지 국립정동극장에서 공연되는 <소춘대유희_백년광대>는 1900년대 정동을 기반으로 하는 ‘원각사’의 역사적 의미와 예술 정신을 계승하며 설립된 ‘국립정동극장’이 최초 근대식 유료공연이었던 ‘소춘대유희’ 를 모티브 하여 2021년 코로나를 겪고 있는 오늘의 우리에게 웃음과 위안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작품이다. 

 

공연에서는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우리 근대 전통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전통 공연 퍼포먼스와 멀티프로젝션 맵핑, 매쉬 홀로그램, 크로마키, 딥페이크 등 실감형 기술을 결합하여 시도한다.

 

이날 제작발표회는 제작진 설명과 배우들의 작품 시연으로 이루어졌다. 국립정동극장 김희철 대표이사는 "정동극장 예술단은 '연희'라는 부분을 국립정동극장 예술단의 정체성으로 규정하고 있다"라면서,"이번 <소춘대유희_백년광대>가 우리 극장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작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연희분야에 있는 많은 장인들을 모셔서 작품들을 할 예정이다"라고 이번 작품과 극장의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이수현 총괄프로듀서는 "이번 작품은 새로운 기반의 컨텐츠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정동예술극장은 지금껏 선보인 <적벽>, <소춘광대>등 전통예술에 특화된 제작노하우를 가진 공연장이다. 이번 <소춘대유희>에는 1900년대 정동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근대예술의 다양한 모습이 담겨진다. 이것으로 지리적, 역사적, 예술적 탐구들이 새로운 연희장르로써 태어나기 때문에,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스토리텔링, 연희, 기예적인 면을 보실 수 있다"라고 작품을 소개했다.

 

안경모 연출은 "코로나 시대에 웃음을 잃어가고 있는데, 한껏 웃을 수 있는 작품을 만드는 게 공연예술인의 임무라고 생각한다"라면서 "국립정동극장의 전신인 '원각사'의 대표 작품이 '소춘대유희'였다. 1900년대 당시 콜레라로 공연이 어려움을 겪었던 모습이 지금 코로나와 닮았다. 이 곳 정동이 역사 속에 켜켜이 공존하고 있는 것처럼 과거를 지운 현재가 아니라 퇴적층처럼 쌓여 존재하고, 당대와 만날 수 있는 작품으로 하고 싶었다"고 작품의도를 밝혔다.

 

강보람 작가는 "소춘대유희를 처음 의뢰받았을 때 역사적인 것을 풀어내고 또 정동극장 정체성에 맞게 풀어내는 문제였다"라면서, "1902년 12월, 국가적인 행사를 하려고 모였다가 콜레라가 퍼지면서 광대들이 경비라도 벌 수 있는 공연을 만들겠다 해서 만든 것이 '소춘대유희'였다. 광대의 본질에 대해서도 중점을 두어 당시의 판소리, 궁중무용, 재주를 지금의 관객들과 잘 만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엮었다.

 

유재헌 아트디렉터는 "이번 공연에서는 관객의 몰입을 위해 극장구조를 바꿨다. 좌우측을 갤러리로 무대와 객석을 섞고 영상 미디어도 중앙 허공에 준비된다. 100여년의 가상의 역사를 만들어야 하는데, 중세시대 영국 셰익스피어 그로브 시어터나 개화기 일본 가부키 극장 등이 지금까지 존재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상상하며 만들어봤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디어 특이점은 빛의 사용이다. 조명과 영상을 같이 섞어서 영상이 조명이 되기도 하고 조명이 영상이 되기도 한다. 버추얼로 해서 디지털처럼 가상과 현실을 오갈 수 있는 연 출효과를 관객은 느낄 수 있다. 매체나 미디어가 하이테크가 쓰인다고 해서 그런 것들이 전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녹아나도록 했다"고 기술에 대해 말했다.

 

신창열 음악감독은 "판소리는 1800년대 이후부터 발전하고 있는 진보적인 음악이었는데, 일제강점기 때문에 단절되었다. 시간의 개념을 뒤바꿔서 100년 전의 예술인들이 진보적인 것을 했다는 측면으로 음악적 질감, 색감으로 표현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또 하나 주목할 점은 비주얼아트의 공간감에 맞춰 사운드도 7.1채널로 믹스를 해서 입체적인 사운드로 제작하고 있다. 과거와 현재에 대한 시간의 개념, 선 하나를 건너면 100년전으로 돌아가 수 있고, 넘어오면 돌아올 수 있는 것을 비주얼 아트와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음악과 기술의 접목을 설명했다.

 

공동안무를 맡은 김윤수 안무가는 "일단 <소춘대유희_백년광대>의 대본에 감탄했다. 광대와 예술인들을 통해서 위기를 극복해냈는지를 잘 녹여낸 대본이었다. 과거의 춤양식을 잘 녹여내고 작품의 후미에 가서는 정동극장이 어떤 예술적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는지를 춤으로 만들어내야하는 난이도가 높은 작품이었다. 하지만 대본과 구현에서 여러가지로 즐거운 작업이었다. 10월 말 공연까지 지금은 심화단계이고, 막이 올라갈 때 여러분과 함께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공동안무의 국립정동극장 이규운 지도위원은 "우리 예술단은 한국전통예술을 동시대의 예술로 창작하는 단체입니다. 따라서 이번 공연은 저희에게 중요한 작품이 될 것 같습니다. 현재의 소춘대유희로 창작되었고 정동극장 예술단의 방향성에 맞게 잘 구성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라고 의미를 다시 설명한 다음 "제가 맡고 있는 부분은 농악의 상모 놀음입니다. 음양오행의 의미를 갖고 있어서, 이것을 현대적으로 살리기 위해 상모의 모를 던지고 초리만을 가지고 작업했습니다. 정동극장이 처음 선보이는 기법일 것 같고요. 매년 정기공연과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예술 한국을 대표하는 연희단체로 우뚝 설 것입니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소춘대유희_백년광대>는 2021년의 소춘대유희를 복원하고 공연하는 정동예술단의 단장 '이순백'이 신입단원 '두리'와 함께 100년 전 시대로 가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을 그린다. 100년 동안 극장을 지키는 극장신, 그리고 신비한 아이 '두리'가 나타나 소리, 춤, 연희하는 광대 대선배들인 극장신들과 함께 어우러지고 돌아오면서 관객들과 만나 이 시대의 어떤 광대로 성장했을지 자못 기대된다. 공연은 10월 22일부터 11월 7일까지. 

 

'소춘대유희_백년광대' 제작진 포토타임.

mazlae@hanmail.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