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축 제 명 | 2025 제16회 여우락 페스티벌(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
일 시 | 2025년 7월 4일(금)~7월 26일(토), 평일 19:30, 주말 15:00 | |
장 소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하늘극장 | |
관 람 료 | 전석 3만원 | |
관람연령 | 8세 이상 관람가 | |
라인업공개 | 4.25(금) 14:00 전체 라인업 공개 *국립극장 홈페이지 등 | |
티켓오픈 | 5.20(화) 패키지 티켓 / 5.22(목) 개별 티켓 오픈 | |
문 의 | 국립극장 02-2280-4114 |
- ‘혁신과 파격’ 이희문 예술감독 선임, 색다른 콘셉트로 변화 꾀해
- 인순이·최백호 등 세대와 장르 아우르는 아티스트와 함께 하는 ‘민요의 재발견’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2025 '여우락 페스티벌'(이하 '여우락')을 오는 7월 4일(금)부터 26일(토)까지 국립극장 하늘극장과 달오름극장에서 개최한다.
국립극장을 대표하는 여름 음악 축제 '여우락'은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의 줄임말로, 한국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와 소통하며 경계를 허무는 창의적인 무대를 선보여 왔다.
2010년 시작된 이래 총 관객 수 8만 2천여 명, 평균 객석 점유율 90%를 기록하며, 매해 전통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재해석을 통해 한국음악의 지형을 확장해 왔다.
2025 '여우락'은 마니아층뿐만 아니라 더 많은 대중이 우리 음악을 보다 즐겁고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정서적 접근성을 높이고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다.
그 출발점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민요 소리꾼이자 연출가 이희문이 2025 '여우락'의 예술감독으로 새롭게 합류했다.
이희문은 전통 민요의 틀을 깨고 독창적인 감각으로 민요를 재해석해 온 전방위 아티스트로, 전통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2017년에는 미국 NPR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Tiny Desk Concert)’에 아시아 아티스트 최초로 출연해 세계 음악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SXSW 뮤직 페스티벌과 뉴욕 링컨센터 페스티벌 등 유수의 해외 무대에도 초청돼 우리 음악의 저변을 확장했다.
이희문 예술감독은 2014년부터 '여우락'과 오랜 인연을 이어왔다. '제비․여름․민요'(2014), '한국남자'(2016), '씽씽락락'(2017), '13인의 달아나 밴드'(2019) 등 매 공연 참신한 기획과 연출로 화제를 모으며 독보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올해 '여우락' 역시 개성 넘치는 감각을 바탕으로, 기존에 볼 수 없던 다채로운 콘셉트와 색다른 변화를 선사한다.
2025 '여우락'은 ‘민요의 재발견’을 화두로, 개막작과 폐막작을 포함해 총 12개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축제는 결국 재미있어야 한다’라는 이희문 감독의 기조 아래, '여우락'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창적인 콘셉트의 무대를 펼쳐낸다.
국립극장은 ‘요상한 민요 나라’로 변신하고, 참여 아티스트들은 민요의 정신을 지키는 수호자,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금술사, 상상력을 더하는 마법사로 초대돼 무대에 오른다.
이희문을 비롯해 대중가수 최백호와 인순이, 재즈 보컬리스트 웅산, 현대무용단 모던테이블, 인디밴드 까데호, 클래식 크로스오버 그룹 레이어스 클래식 등 각 세대와 장르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들이 저마다의 음악 언어로 민요를 새롭게 해석한다.
젊은 국악 연주자와 명창들도 대거 합류해 총 180여 명이라는 역대 최다 출연진이 함께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음악 축제를 완성해 나간다.
이희문 감독은 “민요는 지금 시대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음악이며, 그 진정한 힘은 사람과 사람을 잇는 데 있다”라며, “이번 '여우락'은 모두가 기꺼이 빠져들 수 있는, 낯설고도 매혹적인 음악의 세계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박인건 국립극장장은 “이희문 예술감독의 독창적인 감각과 혁신적인 기획이 더해져, 2025 '여우락 페스티벌'이 보다 폭넓은 연령층이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다가갈 것”이라며 기대감을 전했다.
2025 '여우락 페스티벌'의 전체 라인업은 4월 25일 국립극장 공식 홈페이지 및 SNS 채널을 통해 공개된다.
5월 20일에는 총 12개 공연을 모두 관람할 수 있는 ‘올패스 패키지’ 티켓이 60% 할인된 가격(14만 4천 원)으로 판매되며, 5월 22일부터는 개별 공연 티켓이 순차적으로 오픈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와 국립극장 및 '여우락' 공식 SNS(@yeowoorak)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국립극장 고객지원센터 02-2280-4114
![]() |
![]() |
2014년 여우락 페스티벌 <제비․여름․민요> |
2016년 여우락 페스티벌 <한국남자> |
![]() |
![]() |
2017년 여우락 페스티벌 <씽씽락락> |
2019년 여우락 페스티벌 <13인의 달아나 밴드> |
예술감독 | 이희문
전통과 파격을 오가며 민요의 새로운 상상을 열어가는 예술가
이희문은 국가무형유산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이자, 전통예술의 동시대적 확장을 꾸준히 모색해온 아티스트다.
경기민요라는 뿌리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한 그는,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대담한 실험을 통해 한국 전통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방대한 경기민요 레퍼토리를 토대로 전통 성악의 미학을 재조명하며, 이를 현대 공연예술의 중심 무대로 이끌어내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을 통해 ‘소리’를 듣고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며, 관객과의 새로운 접점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또한 경서도 민요와 전통 양식의 재해석을 위해 다양한 뮤지션들과 협업하며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했다.
전통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실험을 통해 전통예술의 미래를 제시하는 동시에, 경기민요 프로젝트 ‘깊은사랑’ 3부작의 제작 과정을 담은 ‘깊은사랑 디렉토리’ 출간을 비롯하여 낫얼롱(NOT ALONE), 낯선 이방인, 미뇨(MINYO), 아티스트 작업실 등 다양한 영상 작업을 통해 무대 공연을 넘어 전통공연의 매체 확장 가능성 또한 깊이 있게 탐구하고 있다.
주요 이력
現 이희문컴퍼니 대표 / 예술감독
국가무형유산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고주랑, 이춘희, 김광숙, 이금미, 김호성, 박상옥 사사
주요 수상 내역
2021 서울특별시 문화상 국악 부문 수상
2015 문화예술발전유공자 포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14 KBS 국악대상 민요상
2010 제16회 전국민요경창대회 종합부문 대통령상
2006 제26회 온나라 국악경연대회 민요 부문 문화부장관상
주요 제작 작품
2025 이희문프로젝트 <요(謠)>
2024 이희문 쏭폼 스토리즈 Ⅱ <강남무지개>
2023 이희문프로젝트 <오방신과 – SPANGLE>
2022 이희문 쏭폼 스토리즈 Ⅰ<강남오아시스>
2019 이희문 프로젝트 <오방신과>, 프로젝트 <날>
2018 깊은사랑 시리즈 <민요삼천리>
2017 깊은사랑 시리즈 <사계축>
2016 오더메이드시리즈 <탐>, 경기Jazz프로젝트 <한국남자>, 깊은사랑 시리즈 <깊은사랑>
2014 오더메이드시리즈 <쾌>
2013 오더메이드시리즈 <잡>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2025 THAT’S KOREA: 오늘전통창업〉 미국 애틀랜타에서 첫 해외 유통프로모션 성황리 종료 (0) | 2025.04.23 |
---|---|
2025 어린이문화대상 동화부문 신인상에 평택시문화재단 지원사업 선정작박선영 작가 『가비와 달랑달랑 달랑구』 선정 (2) | 2025.04.23 |
경기아트센터 조직혁신위원회 킥오프(KICK-OFF)! (0) | 2025.04.21 |
“안전한 공간에서 고품격 문화예술 즐기세요”서울문화재단, 시 문화예술기관 최초로 안전 인증 획득 (0) | 2025.04.20 |
차별화된 교육 철학을 담은 예술의전당 프리미엄 아카데미,성인을 위한 ‘묵향에 빠진 토요일’,어린이를 위한 ‘Hello M:E’ 론칭! (2) | 2025.04.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