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15일 오픈, 메인 전시 ‘DDP디자인페어’ ‘29CM’와 공동 주최로 핫한 브랜드 총출동
– 디자인 미래와 트렌드 조명 ‘디자인 콘퍼런스’, 김정운··장동선·노희영 등 다양한 전문가 참여
– 디자이너 100명 이상이 참여한 특별전시 통해 서울의 디자인 경쟁력과 위상, 트렌드 확인
– 전시·콘퍼런스·마켓·시민참여형 이벤트가 어우러져 도심 디자인플랫폼의 진수 보여줘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서울의 심장부,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가 다시 한번 도시 전체를 디자인 축제로 물들인다.
바로 오늘 10월 15일(수)부터 26일(일)까지 열리는 서울디자인위크는 전시·콘퍼런스·마켓·시민 참여 프로그램이 어우러진 도심형 축제로 개막되었다. ‘디자인의 성지이자 팝업의 장’ DDP가 지닌 본질을 가장 잘 응축해 보여주는 행사다.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대표이사 차강희, 이하 재단)이 주최하는〈서울디자인위크>는 2014년 DDP 개관과 함께 시작해 올해 12회를 맞는다.
서울디자인위크는 전시·콘퍼런스·마켓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이 디자인을 가깝게 느끼고, 디자이너가 철학과 경험을 공유하며, 디자인을 산업의 관점으로 끌어올리는 장을 만들어왔다.
DDP디자인페어, 29CM와 손잡고 인기 브랜드 총출동
올해 주제는 ‘디자인, 디자이너, 디자인라이프(Design, Designer, Design Life)’로,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디자인이 개인의 삶, 산업, 도시 문화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가능성을 조명한다.
이번 행사의 중심은 10월 15일(수)부터 19일(일)까지 5일간 열리는 ‘DDP디자인페어’이다. 올해는 무신사 계열 ‘29CM’와 협업해 디자인 취향이 확실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등 70여 개가 참여했다.
기존 페어가 공급자 중심의 부스 운영에 머물렀다면, 이번 전시는 관객을 라이프 디자이너로 재정의한다. 참여 브랜드를
▲인생이 맥시멀리스트
▲쉼 예찬론자
▲고요한 미식가
▲낭만적 실용주의자
로 나눠 관객이 자신의 취향에 따라 브랜드 전시관을 둘러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DDP디자인페어에 처음 들어서면 제일 먼저 서울디자인재단이 10명의 디자이너와 함께 꾸민 주제관이 나온다. 양태오, 문승지, 이석우, 조홍래, 이재민, 전채리, 백종환, 유보라, 석준웅, 모춘소호 등 10명의 디자이너가 자신의 디자인에 영감을 주는 물건을 선보인다.
서울디자인위크 주제관을 지나면 29CM가 아파트 컨셉으로 꾸민 브랜드관을 만나볼 수 있다. 이어 컬러풀한 디자인이 특징인 인생이 맥시멀리스트 존이 나오는데, 이곳에서는 서울디자인재단의 ‘서울디자인창업센터’ 입주기업으로 시작해 29CM 대표 패브릭 브랜드로 성장한 ‘핀카’를 눈여겨볼 만하다.
일상 속 여가를 강조한 쉼 예찬론자 존에서는 한남과 도산에서 독특한 쇼룸 디자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식스티세컨즈’가 꾸민 부스가 눈에 띈다.
세련된 식문화를 선도하는 고요한 미식가 존에서는 ‘무자기’, ‘챕터원’ 등 리빙페어 인기 브랜드들이 DDP디자인페어만을 위한 독특한 부스를 선보인다.
1인 가구 취향존을 내세우는 낭만적 실용주의자 존에서는 올리브오일을 넘어 디자인 브랜드로 주목받는 ‘이야이야앤프렌즈’가 기다리고 있다.
19개 디자인 전공 대학생팀이 농심, LG전자 등 기업과 협업해 새로운 디자인 솔루션을 선보이는 ‘영디자이너 특별관’도 마련돼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기업‧대학생‧전문 멘토가 원팀으로 참여하여 약 4개월간 실질적인 제품 개발 과정을 함께 수행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으로, 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현실로 구현한 모범 사례다.
국민대학교와 장난감 재활용 기업 ‘코끼리공장’이 협업한 부스에서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가구 디자인을 볼 수 있고, 홍익대학교와 조명 브랜드 ‘아고’의 협업 부스에서는 공구 없이 한 번의 동작으로 고정·이동이 가능한 조명 제품이 기다리고 있다.
디자인 콘퍼런스: AI 시대 디자이너의 역할과 개인의 취향에 대한 논의
올해 컨퍼런스의 슬로건은 ‘서울의 트렌드와 창조적 인사이트를 마주하는 시간’으로 오는 10월17일(금)과 18일(토)에는 서울디자인위크의 ‘디자인 콘퍼런스’가 열린다.
첫째 날인 17일에는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시각 디자이너 전채리, 공간 디자이너 백종환, 광고기획자 송재원, 애니메이션 감독 장성호, 뇌과학자 장동선이 ‘AI 시대 디자이너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해석과 전망’을 주제로 강연한다.
다음날에는 비주얼 디렉터 노희영, 편집매장 ‘포인트오브뷰’ 대표 김재원, 가구 브랜드 ‘잭슨카멜레온’ 대표 황두현, 칼럼니스트 김도훈, 영화사 ‘찬란’ 대표 이지혜, ‘최인아책방’ 대표 최인아가 ‘AI 시대 취향에 대한 관점과 해법의 재정의’를 주제로 강연한다.
디자인철학과 취향, 산업을 담은 특별 전시
이번 서울디자인위크에는 이 시대 서울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 중인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철학과 취향을 엿볼 수 있는 전시도 열렸다.
10월 15일부터 26일까지 DDP 디자인랩 4층 잔디사랑방에서 열리는 ‘시팅서울(Seating Seoul)’은 송봉규, 잭슨홍, 전산, 하지훈 등 100명의 디자이너가 만든 100개의 의자를 선보인다.
1,500도 이상의 쇳물을 틀에 부어 굳히는 주물 성형 방식으로 제작된 송봉규 디자이너의 ‘아이언 캐스트 스툴’, 문장부호 ‘슬래시(/)’를 모티프로 삼아 디자인한 잭슨홍 디자이너의 ‘슬래시’를 비롯한 다양한 의자를 만나볼 수 있다.
같은 기간 이간수문전시장에서는 가전부터 자동차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동 중인 디자인 스튜디오 12개가 초기 스케치부터 완성품까지 디자인의 전 과정을 소개하는 ‘어펜딕스’ 전시가 열린다.
○ DDP디자인페어가 열리는 아트홀 내부에서도 디자이너의 취향을 엿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이석우, 양태오, 문승지 등 유명 디자이너 10명이 각자의 취향을 담아 선택한 물건을 관객 앞에 내놓으며 ‘디자인 라이프’에 대한 생각을 풀어놓는다.
서울 디자인산업 스펙트럼 : 디자이너와 기업의 성장 스토리
이와 함께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이 한 해 동안 지원한 4개 디자인산업의 개발 과정과 결과물도 10월 15일(수)부터 26일(일)까지 ‘서울디자인산업 스펙트럼’이라는 이름으로 전시된다.
DDP 뮤지엄 둘레길과 둘레길갤러리에서는 ‘중소기업 산업디자인 개발 지원 사업’, ‘디자인 커리어업 프로젝트’, ‘지속 가능한 디자인 제품·서비스 판로개척 지원사업’, ‘약자동행 디자인산업 활성화 사업’에 참여한 디자이너, 디자인 기업, 중소·중견기업의 디자인 개발 과정과 성장 스토리를 연속성과 차별성 측면에서 포착하여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보여준다.
시민과 함께 만드는 디자인축제, 서울디자인위크
서울디자인위크 기간 중 DDP 전역과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디자인 이벤트가 열리며 축제 분위기가 고조된다.
서울디자인위크 기간 중 2주간 주말(금~일)마다 빈티지 의류부터 디자인 소품, 먹거리가 어우러진 ‘디자인마켓’이 열린다.
DDP 어울림광장에는 페어 참여 브랜드인 ‘이야이야앤프렌즈’와 전시 참여 스튜디오인 ‘클리오 디자인’이 포토존을 만들어 DDP를 찾는 시민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했으며, ‘닥터포헤어’, ‘롱블랙’ 등의 팝업스토어에서도 시민 이벤트가 준비돼 있다.
서울디자인위크에 참여한 디자이너 100명의 설문을 통해 선정된 서울의 디자인명소 150곳도 공개된다.
‘서울디자인스폿’은 각각 ‘외국인이 서울의 디자인 취향을 느낄 수 있는 곳’, ‘학생들이 디자인 지식을 배울 수 있는 곳’ , ‘디자이너가 디자인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곳’으로 나뉘어 선정되었으며, 공간소개 플랫폼 ‘헤이팝’과 함께 스탬프투어 이벤트도 진행한다.
서울디자인재단 차강희 대표이사는 “서울디자인위크는 서울의 세련된 취향과 K-디자인의 힘을 세계에 증명하는 자리”라며 “특히 올해는 AI, 지속가능성, 라이프스타일 등 미래 디자인의 흐름을 선도하는 축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DDP디자인페어
○ 일시: 2025. 10. 15.(수) ~19.(일) / 5일간
○ 장소: DDP 아트홀
○ 구성: 서울디자인위크 주제관, 29CM 주제관, 68개 브랜드 부스,
영디자이너 특별관
○ 참여 브랜드
구 분 | 참여 브랜드 / 대학 및 기업 |
①인생이 맥시멀리스트 존 - 화려함과 과감한 표현을 선호하는 취향존 |
모모스커피, 에그보이, 꼴레, 핀카, 언차티드에스테틱퀘스트, 리튼, 사브르, 슬립타이트오브젝트, 동구밭, 플레인팟, 고그린오브젝트, 아에이오우, 타월로지스트, 뚜누, 위키노, 킨제네라, 드롭드롭드롭, 제이디홈드레싱 |
②쉼 예찬론자 존 일상 속 여가와 주말의 소소한 휴식을 중시하는 취향 존 |
컬렛트, 모로모로, 에프에프 컬렉티브, 알로소, 호텔파리칠, 루메나, 탈로리피, 식스티세컨즈, TWB, 오끼뜨, 햅, CPTS, 마켓올슨, 더 그란, 모서리, 웨이베러시스, 꽁티드툴레아, 프람 |
③고요한 미식가 존 조용한 미식을 즐기는 소비자를 위한 쥐향존 |
데어, 리빙크리에이터, 라치우드캐나다, 코코라커, 유니슨웨어, 모머위켄드, 무자기, 헤리터, 챕터원, 이오테, 인소일, 아이워너고홈, 센느파리 |
④낭만적 실용주의자 존 실용성과 심미성을 추구하는 1인 취향 가구존 |
롬버스랩, 브랜든, 조스라운지, 심, 까비네, 노미아, 비비홈, 언스, 쿼시, 스튜디오플루, 라버리, 쿼시, 이야이야앤프렌즈, 스틸웍스, ATCR, GBH, 모스, 오롤리데이, 더반베를린 |
⑤영디자이너 특별관 대학생 디자이너와 기업이 함께 만드는 영디자이너 특별전시 |
홍익대학교 x 농심, 건국대학교 x 한국교통안전공단, 경희대학교 x GC녹십자웰빙, 경희대학교 x 그린오션스, 계원예술대학교 x 에몬스, 계원예술대학교 x 윤앤코, 국립공주대학교 x 피아즈, 국민대학교 x 코끼리공장, 국민대학교 x 대한적십자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x 아티랩, 세종대학교 x KG모빌리티, 창원대학교 x 케이랩스, 한양대학교 x 로우로우, 한양대학교 x LG전자, 홍익대학교 x 레인보우로보틱스, 홍익대학교 x 아고, 홍익대학교 x 밧드야, 계원예술대학교 x 아임반, 연세대학교 x 공공디자인이즘 |
□ 디자인콘퍼런스
○ 일시: 2025. 10. 17.(금) ~18.(토) / 양일간
○ 장소: DDP 디자인랩 3층 디자인홀
① (Day 1) 2025. 10. 17.(금) / 10:20~16:30
- 키워드 : Design & Designer
- 주 제 : 인공지능의 시대, 디자이너를 지켜라
AI 시대 디자이너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해석과 전망
구분 | 시간 | 세션 주제 | 연 사 |
개회사 | 10:20~10:30 (10') |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개회사 | |
세션1 | 10:30~11:20 (50') |
<기술과 디자인은 상생하는가> | |
AI 시대의 창조와 디자인 | 김정운(문화심리학자) | ||
점 심 | 11:20~13:00 (100') |
점심 휴식 | |
세션2 | 13:00~15:00 (100') |
<디자이너는 사라질 것인가> | |
발표1 | 13:00~13:20 (20') |
아이덴티티 디자이너의 사유와 해석, 그리고 조형 | 전채리(CFC 대표) |
발표2 | 13:20~13:40 (20') |
감정과 관계를 담아내는 공간 | 백종환(WGNB 대표) |
발표3 | 13:40~14:00 (20') |
디자이너는 좋됐(겠)다 | 송재원(스튜디오 ‘좋’ 대표) |
토론 | 14:00~15:00 (60') |
패널 토론 | 모더레이터(최태혁 콘텐츠 디렉터 + 연사 3인) |
세션3 | 15:10~16:30 (80') |
<디자인, 디자이너에 대한 기대> | |
발표1 | 15:10~15:50 (40') |
감각의 시대: 기술 이후, 인간이 만드는 경험 |
장성호 (킹 오브 킹스 감독) |
발표2 | 15:50~16:30 (40') |
인공지능은 창작할 수 없는 인간성? | 장동선 (뇌과학자) |
② (Day 2) 2025. 10. 18.(토) / 10:30~16:30
- 키워드 : Design Life
- 주 제 : 인공지능 시대, 취향을 지켜라
취향에 대한 관점과 해법의 재정의
구분 | 시간 | 세션 주제 | 연 사 |
세션1 | 10:30~11:20 (50') |
<취향을 발견해야 하는 이유> | |
브랜드 경험의 새로운 공식 |
노희영(총괄 비주얼 디렉터) | ||
점 심 | 11:20~13:00 (100') |
점심 휴식 | |
세션2 | 13:00~15:00 (100') |
<취향을 찾아가는 과정> | |
발표1 | 13:00~13:20 (20') |
취향이 내 것이 되는 과정 | 김재원(포인트오브뷰 대표) |
발표2 | 13:20~13:40 (20') |
넓게 보고 깊게 만드는 창작의 기술 | 황두현(잭슨카멜레온 공동창업자) |
발표3 | 13:40~14:00 (20') |
서울의 취향이란 누가 만들어가는 것일까? | 김도훈(칼럼니스트) |
토론 | 14:00~15:00 (60') |
패널 토론 | 모더레이터(최태혁 콘텐츠 디렉터 + 연사 3인) |
세션3 | 15:10~16:30 (80') |
<올바른 선택 삭제가 만든 취향> | |
발표1 | 15:10~15:50 (40') |
서로 다른 취향 속, 관객을 설득하는 방법 | 이지혜(영화사 ‘찬란’ 대표) |
발표2 | 15:50~16:30 (40') |
AI 시대와 취향의 홍수 속에서 나만의 가치를 지키는 법 | 최인아(’최인아책방’ 대표) |
단위 :KRW(원) | ||
일정 | 1일권 | |
정가 | 단체 / 10인 이상 (추가 10% 할인) |
|
가격 | 100,000 | 90,000 |
○ 가격구성
일정 | 양일권 | |
정가 | 단체 / 10인 이상 (추가 10% 할인) |
|
가격 | 200,000 | 180,000 |
○ 판매처 : 29CM, 네이버
□ 서울디자인위크 특별전시 ① <시팅서울(Seating Seoul)>
○ 일시: 2025. 10. 15.(수) ~26.(일) / 12일간
- 2025. 10. 15.(수)~25.(토) 10:00~20:00
- 2025. 10. 26.(일) 10:00~18:00
○ 장소: DDP 디자인랩 4층 잔디사랑방
○ 참여 디자이너(100인)
연번 | 디자이너 | 연번 | 디자이너 | 연번 | 디자이너 | 연번 | 디자이너 |
1 | 강영민 | 26 | 김희규 | 51 | 양승빈 | 76 | 임정주 |
2 | 고재효 | 27 | 류윤하 | 52 | 양은솔 | 77 | 장민욱 |
3 | 곽철안 | 28 | 류종대 | 53 | 양정모 | 78 | 잭슨홍 |
4 | 권의현 | 29 | 문석진 | 54 | 양태오 | 79 | 전병휘 |
5 | 김균철 | 30 | 문승지 | 55 | 엠마뉴엘 울프스 | 80 | 전산 |
6 | 김기현 | 31 | 박성제 | 56 | 오세환 | 81 | 정그림 |
7 | 김동훈 | 32 | 박재성 | 57 | 오현석 | 82 | 정보영 |
8 | 김민창 | 33 | 박종선 | 58 | 왕현민 | 83 | 정우열 |
9 | 김병섭 | 34 | 박진일 | 59 | 유상명 | 84 | 정우진 |
10 | 김상규 | 35 | 박현정 | 60 | 유정민 | 85 | 정유빈 |
11 | 김세중 | 36 | 방효빈 | 61 | 윤태인 | 86 | 정재운 |
12 | 김승현 | 37 | 백남언 | 62 | 이기용 | 87 | 조규엽 |
13 | 김예진 | 38 | 백승한 | 63 | 이삼웅 | 88 | 조용진 |
14 | 김유석 | 39 | 백승헌 | 64 | 이상혁 | 89 | 최근식 |
15 | 김윤환 | 40 | 서정화 | 65 | 이성용 | 90 | 최도영 |
16 | 김은학 | 41 | 설수빈 | 66 | 이시산 | 91 | 최민수 |
17 | 김정섭 | 42 | 성정기 | 67 | 이영현 | 92 | 최성일 |
18 | 김지선 | 43 | 소동호 | 68 | 이일우 | 93 | 최예찬 |
19 | 김지원 | 44 | 손태선 | 69 | 이재하 | 94 | 최원서 |
20 | 김지윤 | 45 | 송기두 | 70 | 이주희 | 95 | 최종하 |
21 | 김진식 | 46 | 송도림 | 71 | 이학민 | 96 | 최중호 |
22 | 김찬혁 | 47 | 송봉규 | 72 | 이혁진 | 97 | 최형문 |
23 | 김하늘 | 48 | 승효상 | 73 | 이형규 | 98 | 하지훈 |
24 | 김현성 | 49 | 심승연 | 74 | 이화주 | 99 | 허준혁 |
25 | 김현종 | 50 | 양성원 | 75 | 임동균 | 100 | 황형신 |
○ 주요 전시 상품
작품명 | 디자이너명 | 이미지 | 작품설명 |
아이언 캐스트 스툴 | 송봉규 | ![]() |
2016년 11월, 40여 년간 주물 제조에 매진해 온 대한특수금속과 협업해 주물 성형 기법을 기반으로 한 리빙 브랜드 M을 론칭했다. 함께 선보인 금속 스툴은 1,500도 이상의 쇳물을 틀에 부어 굳히는 주물 성형 방식으로 제작됐다. |
슬래시 | 책슨홍 | ![]() |
문장부호 ‘슬래시(/)’를 모티프로 삼아 디자인했다. 1.6mm 두께의 강판을 절곡해 교차시키는 구조로, 안락함과 서늘함이 공존하는 정서를 전한다. |
컬러 스툴 시리즈 3 | 전산 | ![]() |
다양한 컬러의 판재를 사용해 면 분할 형식으로 구성한 스툴이다. 격자 또는 포켓 구조 설계를 적용해 피스나 타카 없이 클램프로 조립해 완성했다. |
나주의자 | 하지훈 | ![]() |
좌식 문화를 대표하는 가구인 소반을 모티프로 디자인했다. 나주 소반의 구조적 미학을 의자에 적용해 한국적 미감을 담은 의자로 완성했다. |
타리 라운지 체어 | 문승지 | ![]() |
원기둥의 형태를 최소한으로 가공해 구조에 활용한 간결한 디자인의 라운지 체어다. 커다란 벽을 지탱하는 기둥처럼 등판을 받쳐주는 기울어진 원기둥 뒷다리가 특징이다. 동글동글하고 포근한 인상을 주면서도, 하단에는 지붕보를 받친 듯한 구조감이 돋보인다. |
□ 서울디자인위크 특별전시 ② <어펜딕스(Appendix)>
○ 일시: 2025. 10. 15.(수) ~26.(일) / 12일간
- 2025. 10. 15.(수)~25.(토) 10:00~20:00
- 2025. 10. 26.(일) 10:00~18:00
○ 장소: DDP 이간수문전시장 1F~B1
○ 참여 스튜디오(12개)
연번 | 스튜디오 | 연번 | 스튜디오 | 연번 | 스튜디오 | 연번 | 스튜디오 |
1 | 슈퍼픽션 | 4 | BARE | 7 | BKID | 10 | KLIO DESIGN |
2 | 워크스 | 5 | BEBOP. | 8 | JADEN CHO | 11 | SF-SO |
3 | 최중호 스튜디오 |
6 | be formative | 9 | Jiyoun Kim StudioTM | 12 | USEFUL WORKSHOP |
□ 팝업 전시
○ 일시: 2025. 10. 15.(수) ~26.(일) / 12일간
○ 장소: DDP 어울림광장
○ 참여 기업(9개)
연번 | 기업 | 연번 | 기업 | 연번 | 기업 |
1 | KLIO DESIGN | 4 | 디자인본오 | 7 | 닥터포헤어 |
2 | 서울디자인창업센터 | 5 | 이야이야앤프렌즈 | 8 | 그린칩스 |
3 | 롱블랙 | 6 | 인어피스 | 9 | 테일로디 |
□ 서울디자인스폿
○ 일시: 2025. 10. 15.(수) ~11. 16.(일) / 33일간
○ 장소: 서울 전역
공간소개 플랫폼 ‘헤이팝’에서 150여 개 서울디자인스폿 공개 예정(10.13.(월))
□ 서울디자인위크 공간 조성도
![]() |
서울디자인위크 개막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한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 |
서울디자인위크 메인행사인 DDP디자인페어 전시장을 시민들이 관람하고 있다 |
![]() |
서울디자인위크 DDP디자인페어를 시민들이 관람하고 있다 |
![]() |
서울디자인위크 메인행사인 DDP디자인페어를 관람하기 위해 시민들이 줄을 서고 있다 |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해암 장춘철 명장, 나전칠기의 매력 감상하는 "바다로 부터 나오는 빛" 세지화랑에서 개인전 (0) | 2025.10.04 |
---|---|
2025 KCDF공예·디자인 공모전시 신진작가부문 최설지(CHOI Seolji)작가《환영의 순간 The Moment of Illusion》 (1) | 2025.10.02 |
김종영 초대展“달항아리, 조선의 달빛을 품다” 장은선갤러리에서 10.15 (수) ~ 10.30 (목)까지 (0) | 2025.09.27 |
옛 서울역 준공 100주년 기념 특별전 (0) | 2025.09.27 |
가을 정취 속, ‘우리’의 의미와 ‘소망’을 담다평택시 통합 30주년 기념 기획전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우리》 개최 (0) | 2025.09.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