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일제강점기 ‘판소리 전설’ 명창 김초향과의 재회

콘서트

by 이화미디어 2021. 11. 12. 22:14

본문

반응형

잊혀진 전설, 김초향 명창의 판소리 재현 프로젝트1 초향 포스터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경서도소리포럼, 11131950~60년대 미공개 판소리 시연회 개최

 

소리꾼 박은정·송혜원·박지수 출연 심청가·춘향가주요 대목 재현

 

경서도 소리 포럼(대표 김문성)은 오는 1113() 서울 강남구 한국문화의 집 코우스에서 초향을 공연한다.

 

한국문화재재단 후원으로 열리는 잊혀진 전설 김초향 명창의 판소리 재현 프로젝트-초향공연은 대구 출신으로 조선성악연구회 설립의 기틀을 마련하는 등 일제강점기 판소리 발전에 크게 기여했던 명창 김초향(1900~1983)1950~60년대 판소리를 재현하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초향은 일제강점기에 판소리사상 최고의 여류 명창으로 손꼽히는 이화중선(1899~1943)과 쌍벽을 이뤘으며, 판소리 인간문화재 박록주(1905~1979)가 손꼽은 소리꾼이었다.

 

김초향은 한창 활동할 40대 중반에 소리를 그만두고 남편과 함께 대전에 정착했다. 그 바람에 세상에는 SP 시대의 소리꾼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김초향(왼쪽)명창과 1931년 삼여류명창때 박월정과 함께. 김문성 평론가 제공

실제로 1940년 이후 김초향의 판소리 관련 대외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없었다.

그러나 최근 1950~60년대 대전 지역에서 김초향에게 판소리를 배우거나 문화재관리국의 판소리 사전 조사 때 녹음된 자료 일부가 확인되면서 김초향의 광복 후 족적도 함께 확인되었다.

 

이날 공연에서는 그가 대전에서 제자들을 통해 남긴 판소리 자료 등이 공개된다.

먼저 김초향의 삶과 시연회 개최 과정이 영상을 통해 간략히 소개된다.

이후 김경희 총괄 연구원(전 부산국립국악원장)이 시연회가 가지는 의미와 김초향의 판소리 세계를 알기 쉽게 해설한다.

 

본격적인 공연에 들어서면 먼저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이수자 박은정 명창이 김초향의 심청가'심봉사 자탄 대목', '심청이 선인 따라가는 대목', '범피중류 대목'을 시연한다.

'
범피중류 대목'은 김초향의 주특기로서 빅타, 콜럼비아 레코드 등에서 녹음된 바 있다.

 

이어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7호 동초제 춘향가이수자 송혜원 명창이 김초향의 춘향가'박석틔'부터 '어사 장모 상봉 대목'까지를 시연한다.

김초향(왼쪽)명창과 매일신보 1914년 예단일백인 김초향 편 14세. 김문성 평론가 제공

'어사 장모 상봉 대목'은 김초향이 일제강점기에 여러 차례 음반으로 녹음할 만큼 특장 대목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이화여대에 재학 중이며 초등학생 시절 판소리 신동으로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박지수 소리꾼이 김초향의 춘향가'이별가 대목'과 단가 '운담풍경'을 시연한다.

 

이보형에 따르면 '운담풍경'은 김초향이 가야금 명인 강태홍과 함께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김초향의 1950~60년대 음원은 시연 실황과 함께 연구용 자료로서 음반으로 제작·배포될 예정이다.

 

김경희 전 부산국립국악원장은 김초향이 나이 60대에 녹음한 탓에 전성기에 비해 기력이 다소 떨어진 듯한 느낌은 있지만, 우조 중심으로 부르는 판소리의 기백이 올곧게 담겨 있어 대구 판소리의 맥을 다시 잇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문성 경서도소리포럼 대표는 김초향은 1980년대까지 생존해 있었음에도 판소리계, 국악계가 그를 포용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했다고 반성하고 국악에 크게 기여하고도 그에 맞는 평가나 대우를 받지 못한 예술인에게 국악계가 더 많은 관심을 두는 계기가 되고, 국악이 지나치게 퓨전화하는 시대에 전통성의 본질을 다시 한번 상기해보는 무대가 될 것이라며 이번 시연회의 의미를 설명했다.

 

문화재청·한국문화재재단의 후원을 받아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 일환으로 열리는 이번 시연회는 백신 접종을 완료한 일반 시민만 사전 이메일(osu687@hanmail.net) 접수를 통해서만 입장 관람할 수 있다.

한편 시연회 영상은 유튜브 무형 유산TV 등을 통해 11월말 공개된다.

잊혀진 전설, 김초향 명창 판소리 재현 프로젝트 출연진 사진

'김초향의 생애'

 

김초향은 1900년 대구 성내에서 태어나 14세에 상경해 극장 장안사소속 배우로 활동하게 된다. 정정렬, 송만갑, 이동백 등에게서 판소리를 사사했으며, 특히 심청가'범피중류 대목', 춘향가'이별가 대목''어사 장모 상봉 대목'을 뛰어나게 잘 불렀으며, 동편소리 흥보가에도 뛰어났다. 또한 단가 '운담풍경'을 직접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1931년에는 조선음률협회가 중심이 된 여성 중심 공연인 3여류 명창대회에 후배 박록주, 장안사 동료인 박월정과 함께 참여해 3년간 전국 투어를 다녔으며, 조선성악연구회 설립을 발기하는 등 판소리 발전에 기여했다.

빅타, 콜럼비아, 오케 레코드 등에 판소리 춘향가, 흥보가, 심청가등을 녹음했다.

 

1940년대 이후 종교에 귀의해 대전 천복사를 시주했으며, 공주 갑부 김갑순의 후원으로 대전극장을 인수해 운영하는 등 대전의 초기 여성 CEO로서도 활동했다.

 

1956년 가야금산조 명인인 함동정월이 대전으로 내려와 대전국악원을 개원하면서 판소리 성악 사범을 맡아줄 것을 권유하자 남편 몰래 판소리를 가르치기도 했다.

 

또한 1960년대 충남국악원 개원 때에도 많은 역할을 했다. 1964년 판소리 무형문화재 지정과 관련하여 사전조사를 통해 김초향의 판소리가 알려지기도 했으나 실제 보유자 인정조사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1970년대 대전 대흥동에 찾아온 잡지사 기자와 인터뷰한 내용이 사생활 중심으로 보도되면서 대외 활동을 모두 접었으며, 1983년 노환으로 대전 대흥동 자택에서 작고했다.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