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뷰] 신동일의 '피가로의 이혼'

오페라

by 이화미디어 2023. 2. 4. 11:00

본문

반응형

오페라 피가로의 이혼 제작진이 무대인사를 하고 있다.

신동일의 '피가로의 이혼'

 

글: 성용원(작곡가)

 

피가로, 수잔나, 케루비노와 바리나가 나오는 모차르트의 고금의 명작 <피가로의 결혼> 속편격이라기 할 수 있는 <피가로의 이혼>의 2023년 2월 3일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의 초연에 다녀왔다. 네 명의 캐릭터들의 시선으로 엮어진 네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소극장 오페라 또는 음악을 중심으로 극을 구성하는 뮤직 떼아뜨레라 할 수 있었다.

 

결혼한 지 20년이 되어 콩깍지가 벗겨질 대로 벗겨진 중년부부에게 닥친 이혼 위기를 21세기 한국의 부부들에 빗대었다. 서곡 없이 곧바로 각각의 인물들에 의한 BGM(라이트 모티브라 하기에는 너무 방대하고 나오는 빈도가 적으니)에 의해 이야기가 펼쳐진다.

부분부분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이 오마주되고 관련 맺어지고 있으며 5장이라고 할 수 있는 '네 명의 시선'에서는 교향곡 40번 1악장이 쓰였다. 영화 <쇼생크 탈출>의 명장면에 나온 '편지의 2중창'은 선율도 가사도 반복된다. <피가로의 결혼>의 1막 첫 2중창 '다섯, 열'이 심지어 조도 사장조로 똑같이 <피가로의 이혼> 첫 부분에 인용되었고 '용서의 합창'이 나오면서 해피엔딩을 예감케하지만 모차르트는 거지까지였다.

나머지는 순수 신동일의 창작이다. 그러니 모차르트 현대판 리메이크네, 재해석이네 현지화 등의 감상 포인트는 전부 잘못 짚은 셈이다. 고전을 차용한 신동일의 순수 창작오페라다.

 

대중은 오페라라고 하면 막연해하고 극장의 문턱을 넘지 않는다. 티켓값만 으레 10만 원을 초월하고 식자들이나 돈 있는 사람들이 잘 차려 입고 가서 즐기는 일상과 무관한 허영이라는 인식을 어떻게 하면 타파시키냐가 오페라 생존의 첫걸음인데 오페라는 언어, 문화, 교육의 차이에 기반한 고급예술인 것도 사실이다.

헤겔은 예술 장르나 양식(Style)은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상태와 연관해 발생한다고 하였다. 위대한 예술 작품의 기준은 그때그때의 내용을 얼마나 포괄적으로 깊이 그리고 직관적으로 표현하는가에 달려 있다. 어느 정도 적합한 형식을 예술가가 선택, 사용했느냐가 작품 내용의 척도가 된다.

말하자면 한 장르의 올바른 선택에 대한 척도는 바로 역사적인 내용이며 그렇기 때문에 역사와 기술의 일정한 발전 단계에서 다양한 장르가 발생하고 이들이 변화되거나 사라진 후에 또 다른 장르가 발생한다고 하였다. 기술적 수단의 계속적인 혁신과 개선이 예술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하는 추동력이었다.

일 년에 수십 편 제작되는 한국의 오페라계에서 공급자의 여러 열약한 조건과 사정은 일반 청중들의 고려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미 화려한 볼거리와 시각적인 효과, 자극에 눈높이가 오를 만큼 올라버린 대중들의 입맛에 맞출 수는 없다.

무대가 화려한 것도 아니요, 볼거리가 많은 것도 아니요, 안무와 무용이 아이돌 가수같이 압도적인 것도 아니요 조명이 현란한 것도 아니요 그리고 무엇보다 음악의 양식이 취향에 맞는 것도 아니니 어느 거 하나 매력적이고 대중의 구미를 당길만한 요소는 없다.

 

고전적인 형태의 오페라가 현대적인 모습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시도는 오페라라는 장르의 생존을 위해 당연한 흐름이다. 현대적인 음향 시스템, 다양한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기 성악가의 섭외, 관객들에게 보다 가깝게 다가가기 위한 극 중 배경의 현대화 등 대중에게 접근하기 위한 수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와중에 이미 한국의 오페라는 생존을 위해 시도하지 않은 방법이 없다 할 수 있을 정도로 자구노력을 다해왔다. 서울오페라앙상블의 라벨 번안 오페라 <개구쟁이와 마법>에서는 언어의 장벽이 없이 무대과 객석이 소통이 되고 내용도 서울 한복판의 아파트에 살고 있는 한 아이의 좌충우돌을 통해 ‘학교보다는 학원이 먼저라는 오늘의 현실 속에서 사교육에 지친 아이의 일상을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알게 해 준다는 지극히 한국적인 문제를 다루었으며 더뮤즈오페라단은 반스의 오페라를 <요리사 랄프의 꿈> 이란 제목으로 각색하여 오페라 감상의 부담을 주는 중압감에서의 탈피. ‘한국형 가족오페라’로 언어만의 변환이 아닌 이 땅과 현실에 맞는 토속화가 무엇보다 의의가 크고 강한 공감대를 형성을 위한 노력과 성과라 할 수 있다.

또한 대학로만 가봐도 넘치는 공연예술에 틱톡, 유튜브에서는 새롭고 자극적인 대중문화 콘텐츠들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가운데 오페라는 회귀와 파격 사이를 끝없이 오갈 뿐이다. 안중근을 다룬 뮤지컬 <영웅>은 영화화까지 되었고 한국 최고의 주크박스형 뮤지컬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도 작년에 개봉하여 100만 관객을 찍은 와중에 오페라가 과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까?

 

값비싼 티켓을 구매하여 정해진 시간까지 극장을 찾아가 온전히 몇 시간을 투자해 오페라를 관람한 신규 고객에게 냉대 받고 관객 확산이 안된다면 그건 이미 예술형식이 자신에게 적절하지 않은 요구에 부응하려는 현상 그 자체가 그 예술형식의 위기를 방증한다. 오페라의 미래는 결코 밝다고 말할 수 없다.

예술가로서 유일하게 위안으로 삼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현대의 대중문화와 달리 오페라의 경우 이미 ‘고전’으로서의 입지를 다진 상황이므로 대중들의 새로운 관심을 받지는 못할지라도 완전한 절명(絶命)에 이르는 일은 없을 거라는 기로에 서있다. 신동일의 <피가로의 이혼> 내에 깔린 싱커페이션의 리듬에 맞춰 오페라, 더 나아가 한국 공연업계에도 산들바람이 불어왔으면 좋겠다.

mazlae@hanmail.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