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포함 총 13개국 참가, 공연 38편 소개
‘광란의 유턴’ 주제로 현 시대를 성찰한다!
국내외 단체 초청, 국제합작, 기획제작 등 다양한 라인업!
![]() |
축제명 | 제28회 서울세계무용축제 |
축제일시 | 2025년 9월 10(수)~9월 28일(일) | |
공연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은평문화예술회관,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청년예술청, KOCCA 콘텐츠문화광장 스테이지66,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소극장 | |
후원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 |
협력 | 서울어텀페스타, 은평문화재단, 서울남산국악당, 청년예술청, DGartes, 주한 이스라엘대사관, Performing Arts Hub Norway(PAHN), NATIONALES PERFORMANCE NETZ, Adam Mickiewicz Institute, 일본국제교류기금, SAI Festival, Comunidad de Madrid, 전문무용수지원센터, 사파리스팟, 어스어스 |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유네스코 국제무용협회(CID-UNESCO) 한국본부가 주최하는 제28회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2025, 시댄스2025, 예술감독 이종호)가 9월 10일(수)부터 28일(일)까지 서울시내 주요 공연장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한국 포함 13개국이 참가, 18건, 25회의 공연을 통해 38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광란의 유턴’ 특집
▲국제합작
▲해외초청
▲국내초청
▲기획제작
등 다채로운 라인업을 펼쳐보일 예정이다. 공연은 서울남산국악당, 은평문화예술회관,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청년예술청, KOCCA 콘텐츠문화광장 스테이지66,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 및 소극장 등 다양한 곳에서 열린다.
접근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다양한 워크숍과 예술가와의 대화 등 부대행사도 마련되어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지친 시민들이 마음의 편안함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도 준비된다.
이를 통해 현대무용이 단순한 관람을 넘어 마음의 안정과 내면의 평화를 되찾는 치유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대한민국 명작무협회 - '2025명작무뎐_죽림구현도(竹林九賢圖)'
8인의 무용가(김수현, 김평호, 안나경, 이주희, 이희자, 임성옥, 전은경, 정혜진)가 전통춤을 오늘의 감각으로 되살리며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무대, 대한민국명작무협회의 '2025명작무뎐_죽림구현도(竹林九賢圖)'가 9월 11일(목), 12일(금) 양일간 서울남산국악당(Seoul Namsan Gukakdang)에서 공연된다.
100년 전, 춤이 무대 위에 올랐던 순간은 하나의 일탈이자 시대를 향한 창조적 도전이었다.
'2025명작무뎐_죽림구현도(竹林九賢圖)'는 바로 그 창작 정신을 오늘의 감각으로 되살리는 시도이다.
대한민국명작무협회는 춤의 본질적 가치와 시대적 의미를 되새기며, 대한무용협회가 지정한 20개의 명작무 중 9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통과 현대, 원본과 창작을 넘나드는 무대를 보여준다.
조택원의 '가사호접', 최현의 '비상', 김백봉의 '화관무' 등 원형을 보존한 명작무 본[原本]과, 배정혜의 '풍류장고', 국수호의 '장한가' 등 창작으로 재탄생한 명작무 창[創作]이 어우러져 감정과 직관, 이미지와 확장을 탐색하는 시간으로 관객을 이끈다.
공연 제목 ‘죽림구현도’는 고대 청담(淸談)의 미학을 상징하는 ‘죽림칠현도’에서 착안되었으며, 춤으로 삶과 시대를 사유했던 선비의 정신을 오늘의 무대 위에 구현하고자 한다.
신명의 바람 따라 호접의 날갯짓이 깨어나고, 청풍과 명월이 춤사위에 물들며 영혼의 춤이 시작된다.
이 무대는 시대가 빚어낸 춤의 정신을 단순한 재현이 아닌 창작의 시선으로 재해석하며, 스승의 유산 위에 세워진 또 하나의 새로운 예술적 답변이다.
무대 위에 펼쳐지는 찬미의 춤은 곧, 춤이라는 좋은 친구와 함께 걷는 한국무용의 또 다른 백 년을 여는 첫걸음이다.
![]() |
|||
김수현 | 김평호 | 안나경 | 이주희 |
![]() |
|||
이희자 | 임성옥 | 전은경 | 정혜진 |
8인의 무용가(김수현, 김평호, 안나경, 이주희, 이희자, 임성옥, 전은경, 정혜진)가 전통춤을 오늘의 감각으로 되살리며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무대, 대한민국명작무협회의 '2025명작무뎐_죽림구현도(竹林九賢圖)'가 9월 11일(목), 12일(금) 양일간 서울남산국악당(Seoul Namsan Gukakdang)에서 공연된다.
100년 전, 춤이 무대 위에 올랐던 순간은 하나의 일탈이자 시대를 향한 창조적 도전이었다.
'2025명작무뎐_죽림구현도(竹林九賢圖)'는 바로 그 창작 정신을 오늘의 감각으로 되살리는 시도이다. 대한민국명작무협회는 춤의 본질적 가치와 시대적 의미를 되새기며, 대한무용협회가 지정한 20개의 명작무 중 9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통과 현대, 원본과 창작을 넘나드는 무대를 보여준다.
조택원의 '가사호접', 최현의 '비상', 김백봉의 '화관무' 등 원형을 보존한 명작무 본[原本]과, 배정혜의 '풍류장고', 국수호의 '장한가' 등 창작으로 재탄생한 명작무 창[創作]이 어우러져 감정과 직관, 이미지와 확장을 탐색하는 시간으로 관객을 이끈다.
공연 제목 ‘죽림구현도’는 고대 청담(淸談)의 미학을 상징하는 ‘죽림칠현도’에서 착안되었으며, 춤으로 삶과 시대를 사유했던 선비의 정신을 오늘의 무대 위에 구현하고자 한다. 신명의 바람 따라 호접의 날갯짓이 깨어나고, 청풍과 명월이 춤사위에 물들며 영혼의 춤이 시작된다.
이 무대는 시대가 빚어낸 춤의 정신을 단순한 재현이 아닌 창작의 시선으로 재해석하며, 스승의 유산 위에 세워진 또 하나의 새로운 예술적 답변이다. 무대 위에 펼쳐지는 찬미의 춤은 곧, 춤이라는 좋은 친구와 함께 걷는 한국무용의 또 다른 백 년을 여는 첫걸음이다.
⬛ 동래학춤보존회 - '예(禮)의 깃: 동래학춤, 시대를 잇다'
![]() |
동래학춤 ⓒ 동래학춤보존회 |
동래학춤보존회의 '예(禮)의 깃: 동래학춤, 시대를 잇다'가 9월 13일(토) 서울남산국악당(Seoul Namsan Gukakdang)에서 공연된다.
동래학춤보존회는 부산광역시 무형유산 제3호로 지정된 동래학춤의 보존과 전승, 보급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단체이며, 동래학춤은 부산 동래 지역을 중심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통춤으로, 학의 기품이 특징이다.
검정 갓과 흰 도포자락의 움직임이 마치 학이 나는 모습을 연상케 하며, 1972년 9월 19일 부산광역시 무형유산 제3호로 지정되었다.
'예(禮)의 깃: 동래학춤, 시대를 잇다'는 부산시 무형유산 제3호 동래학춤의 정신을 현대 무대 위에 재해석한 창작공연이다. 청학과 백학, 일무, 동래학춤, 창작무로 구성된 이 공연은 ‘예(禮)’라는 전통의 근본 가치를 중심축으로 하여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하나의 서사를 풀어낸다.
하늘과 조상을 상징하는 청학, 현실과 인간을 상징하는 백학의 갈등은 ‘예’를 품은 동래학춤의 고요하고 절제된 춤사위를 통해 조화로 나아가며, 일무는 조상에 대한 경의와 세상의 평화를 기원하는 의식으로 펼쳐진다.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시댄스)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시댄스)는 1998년 제13차 유네스코 국제무용협회(CID-UNESCO) 세계총회 서울 유치를 계기로 탄생했다.
지난 27년간 아시아와 유럽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중남미 등을 포함한 외국 452개, 국내 611개 단체 및 무용예술가들의 다양한 공연을 선보였다.
외국의 최정상급 단체와 라이징 스타를 한국 관객에게 소개하고 한국의 무용가를 해외에 진출시키는 가교 역할을 하며 국내 최대 규모, 최고 수준의 국제무용 페스티벌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시댄스의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무용을 해외에 진출시킨 횟수는 그간 약 90회에 이른다.
시댄스는 매년 가을 서울 시내 주요 공연장 등 곳곳에서 전 세계 최정상급 무용단 및 국내 무용단의 초청공연, 국가 간 합작 프로젝트 및 다양한 부대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객 호응도 및 축제 컬렉션, 운영 노하우 면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대형 국제 문화예술행사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올해는 새로운 시도들을 통해 무용을 전공자만이 아닌 많은 시민들이 접할 수 있도록 워크숍, 야외공연, 키즈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준비 중이다.
시댄스 이종호 예술감독은 올해 특집 주제를 ‘광란의 유턴’으로 정한 데 대해 “일견 추상적으로 보이는 무용예술도 얼마든지 사회정치적 이슈를 다룰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드리고 싶었다”면서 “특히 외국 안무가들에 비해 사회정치 현실에 소극적인 우리 안무가들에게도 일정한 자극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감독은 또 예술축제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 “한국 정부의 문화예술 지원은 가히 선진국 수준인데, 유난히 ‘민간이 운영하는 순수예술축제’에 대해서는 중장기적인 육성책도, 과감한 지원도 찾아보기 어렵다.
축제도 도서관이나 오페라하우스처럼 한 국가의 문화 인프라라는 점을 주시, 세계에 내놓을 수 있는 ‘국가대표급 고품격 대형 순수예술축제’의 육성을 위해 민관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28회 서울세계무용축제 (SIDance2025) 개요'
⬛ 일 시 : 2025년 9월 10일(수) - 9월 28일(일)
⬛ 장 소 : 서울남산국악당, 은평문화예술회관,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청년예술청, KOCCA 콘텐츠문화광장 스테이지66,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소극장
⬛ 규 모 : 총 13개국 참가. 18건, 25회의 공연을 통해 38편의 작품 소개
⬛ 후 원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 협 력 : 서울어텀페스타, 은평문화재단, 서울남산국악당, 청년예술청, DGartes, 주한 이스라엘대사관, Performing Arts Hub Norway(PAHN), NATIONALES PERFORMANCE NETZ, Adam Mickiewicz Institute, 일본국제교류기금, SAI Festival, Comunidad de Madrid, 전문무용수지원센터, 사파리스팟, 어스어스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아르코 썸 페스타 – 대한민국무용대축제안무가 매칭 프로젝트 제27회 생생 춤 페스티벌 개최... (6) | 2025.08.13 |
---|---|
제34회 전국무용제 ‘찾아가는 춤서비스’, 0시 축제와 함께하며 문화 소외지역까지 감동 확산 (4) | 2025.08.12 |
제34회 전국무용제와 0시 축제의 만남! 대전 0시 축제를 찾은 전국무용제 찾아가는 춤서비스 (3) | 2025.08.09 |
경기아트센터, 광복80주년 기념 항일투쟁 춤극 ‘세 영웅’최재형고려인민족학교 아리랑무용단 초청공연 (2) | 2025.08.09 |
'제28회 크리틱스초이스댄스페스티벌' 최우수안무자 박수윤, 우수안무자 이해니, 크리틱스초이스프론티어 김민 선정 (4) | 2025.08.0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