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4~9.8, 파리 메종&오브제에서 《한지, 순환의 표상》전시
- 9.9, 한지교류세미나에서 복원·예술·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한지 활용가능성 제시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은 오는 9월 4일부터 8일까지 세계 최대규모 디자인박람회 <파리 메종&오브제> 한지홍보관에서 《한지, 순환의 표상》 전시를 열고, 전통한지의 가치와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선보인다.
한지(韓紙)는 닥나무 껍질을 주원료로 전통방식으로 제작되는 한국고유의 종이로, 통기성과 습도 조절기능이 뛰어나 ‘살아 숨 쉬는 종이’라 불린다.
섬유질의 독특한 물성과 결이 있는 매끄러움 덕분에 예로부터 시·서·화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그 고유성을 살려 현대 조형예술의 표현재료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한지, 순환의 표상》 전시는 자연의 재료와 한국고유의 기법으로 만들어진 종이인 한지를 조명하며, 건축(인테리어), 예술, 공예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는 한지의 존속가능성을 담아낸다.
또한 9월 9일에는 주프랑스한국문화원과 공동으로 《일상의 유산, 한지》 세미나를 개최한다. 총 4명의 연사가 참여하여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한지의 전통과 현재, 그리고 무한한 미래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간송미술문화재단 유물관리팀 이선형 팀장과 국민대학교 김미정 교수가 ‘전통한지 제작과정과 유물복원 사례’를 발표한다. 김 교수는 영국 대영박물관 히라야마 스튜디오에서 보존전문가로 활동하며, 140년간 보관되어 있던 조선시대 회화를 복원해 전시로 선보인 바 있다.
이어 참우리건설 김원천 소장은 ‘생활공간 속 함께하는 한지’를 주제로, 한옥부터 현대 건축까지 우리 일상 속에서 함께해 온 한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프랑스 사진가 장-샤를 구트네(Jean Charles Gutner)는 한국 전통한지에 작품을 프린트하는 자신의 작업을 중심으로, 한지의 예술적 확장과 활용가능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공진원 장동광 원장은 “한지는 동양역사에서 지·필·묵의 바탕으로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종이에 머무르지 않고, 부채·함·서랍장 등 다채로운 생활용품을 만들어 온 소중한 한국의 전통재료이자 생활 속 유산”이라며, “2026년 한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기원하며, 이번 행사가 한지의 우수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아트인동산, Ahmad Shariff 작가 "예술을 통해 희망을 찾다" 초청 개인전 (0) | 2025.08.29 |
---|---|
AI와 미래를 담은 '서울라이트 DDP 2025 가을' 개막 (3) | 2025.08.29 |
임근우 초대展“고고학적 기상도, 10일(수) ~ 26일 (금) 장은선갤러리에서 전시 (1) | 2025.08.29 |
내면의 이면 (Layers of the Self )김미숙 윤기원 2인전 (4) | 2025.08.27 |
서숙양 작가, 순금으로 응축된 생명의 에너지 "빛의 흐름" 특별 초대전 (0) | 2025.08.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