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문화재단 청년예술청(서대문구) 화이트갤러리서 27일 개막, 10월 26일까지 두 달여간 계속
▶ 거대한 도시 속 ‘미완’의 존재 넘어 ‘나’만의 좌표를 재구성하는 작업...‘새로운 지도’ 그려나간다
▶ 유망 전시기획자 유지원 큐레이터 선임, 실험적·도전적 젊은 창작자 5인과 함께 동시대 담론 제시
▶ 아티스트 토크, 리서처 토크 등 세 차례 연계 행사 비롯 전시 아카이빙 북까지, 다양한 기획 이어져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 청년예술청은 8월 27일(수)부터 10월 26일(일)까지 2개월여 간에 걸쳐 개관 5주년 기획 전시 '침입자들 Infiltrators'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화이트갤러리를 재정비한 후 처음 선보이는 기획 전시다.
청년예술청은 청년예술인이 자유로운 상상과 도전, 때로는 실패를 발판 삼아 성장의 계기로 만드는 ‘창작 실험 플랫폼’을 표방하며 2020년 8월에 개관했다.
개관 당시 전시 공간 ‘화이트룸(49㎡)’이 있었지만 공간 크기의 제약으로 활용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적극 개선하여 올해 초 ‘화이트갤러리(109㎡)’로 구조를 변경했다. 이번 기획 전시는 이 공간에서 청년예술청의 지난 5년을 돌아보고 나아갈 방향성을 담았다.
설치, 영상,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전시를 구성하여 실험적 창작 플랫폼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번 전시에서 청년예술청은 지난 5년을 되짚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전시 기획에 담아내 ‘다매체적 실험과 창작이 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공간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번 기획전 '침입자들 Infiltrators'은 만 39세 이하 시각예술 분야 청년예술인 중 도시라는 거대한 구조 속에서 자신만의 좌표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젊은 창작자 5명을 초청했다.
이들의 창작 활동이 도시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양상을 조망하고, 청년예술이 비단 성장 서사에 소모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입체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청년예술가의 시선으로 도시의 인프라를 활용·교란·전환하며 우리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지도를 그려나간다.
다양한 매체를 가로질러 견고해 보이는 세상을 제멋대로 해석하거나 불화하고, 이 세대에게 도시가 허락 혹은 금지한 자리가 어디인지 더듬어보는 감각을 통해 청년의 위치성을 역으로 발견해낸다.
전시에 소개되는 작품
▲배전함을 임시적인 생태계로 보고 도시의 인프라가 인간 및 비인간과 중층적으로 얽히는 모습을 상상하는 '새들이 늘어진 전깃줄에 앉아있다'(곽소진, 2025)
▲자신이 직접 구성한 ‘태엽나팔’을 착용하고 자신의 신체로 도시를 통과하며 낯설게 체화하는 영상 작업 '태엽나팔 가방'(김지수, 2025)
▲이질적인 금속 부품과 신체를 맞닿게 해 도시에 거주하는 몸의 비가역성을 드러내는 '철남 수트'(이동현, 2025)
▲차도로 뛰어든 두꺼비와 그를 살리기 위한 인간의 선의가 도시에서 어떻게 만나게 되는지 재연하는 '두꺼비춤'(이주연, 2022)
▲반복되는 사운드, 인스턴트 텍스트 등을 재배치한 영상을 통해 현대적 자아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벤트'(이하령, 2025)
등은 도시와 관계 맺는 다양한 전략을 전시공간으로 소환한다.
'침입자들 Infiltrators'의 전시 기획자로 선임된 유지원 큐레이터는 리움미술관,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등에서 큐레토리얼 실무를 수행해 왔을 뿐 아니라 실험적 매체를 다루는 신진 작가 중심의 기획을 선보이며 주목받는 청년예술가다.
미술 글쓰기 콜렉티브 ‘옐로우 펜 클럽’의 일원이자 프로그램·전시 공간 YPC SPACE의 공동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유구한 역사와 첨예한 이해관계로 이뤄진 거대 도시 ‘서울’에서 ‘젊은 예술가’라는 조건이 어떠한 방식으로 도시와 얽히는지를 면밀히 주목하며, 나아가 그들이 도시 안에서 위치를 쟁취해 내는 전술의 가능성을 소개한다.
전시 기간 동안 세 차례의 연계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기획자와 참여 작가가 인프라스트럭처, 모빌리티, 비언어적 감각 등 출품된 작품을 둘러싼 담론을 나누는 아티스트 토크, 참여 작가 및 연구자가 함께하는 리서처 토크가 진행된다.
또한 큐레토리얼 에세이, 전시 전경, 작품 설명뿐 아니라 참여자들이 ‘청년과 도시’를 주제로 자유롭게 구성한 텍스트와 이미지를 담은 전시 아카이빙 북이 10월 중순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10월 26일(일)까지 청년예술청 화이트갤러리에서 관람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청년예술청 누리집(www.sapy.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참여작가]
■ 곽소진(b.1993, 서울. 서울 활동)
곽소진은 영상, 퍼포먼스, 조각,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가로질러 활동한다. 그의 작업은 일상 속 산책과 주변 환경에 대한 관찰, 그리고 우연히 마주치는 순간에서 촉발된 리서치를 바탕으로 한다.
특히, 몸과 카메라, 대상과 장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상호적이고 행위 중심적인 실천으로써 촬영에 관심을 둔다. 개인전 《Cloud to Ground》(리플레이스 한남, 서울, 2025), 《오-마이-갓-이-건-끔찍해-제발-멈추지-마세요》 (문래예술공장, 서울, 2022), 《검은새 검은색》(TINC, 서울, 2021), 단체전 《도끼와 모조머리들》(인사미술공간, 서울, 2020), 기획전
《초록 전율》(부산현대미술관, 부산, 2025), 옵/신 포커스(OB/SCENE Focus, 부산, 2024), 프리즈 필름(Frieze Film, 서울, 2023) 등에서 소개되었으며 2024년에는 시슬리 젊은 작가상을 수상했다.
■ 김지수(b.1996, 옥천. 서울 활동)
김지수는 시청각적 기능이나 효과를 탑재한 장치를 제작, 착용하여 신체의 움직임을 재발견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주로 오브제와 영상을 통해 장치와 접목됨으로써 재조직되는 신체의 경험을 소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상적’ 신체의 이상적인 움직임을 전제로 한 환경과 충돌하고 뒤섞이는 몸들을 탐구한다.
개인전 《보트 아래》(칼슘, 서울, 2021)과 단체전 《ADOPT ADAPT》(Hall 1, 서울, 2022)에서 작품을 선 보이고, 그룹 활동 '칼슘'(2020-), '팀디포(2019-2021) 등에 참여한 바 있다.
■ 이동현(b.1993, 춘천. 서울 활동)
이동현은 몸을 발화의 매개체로 삼아 말로 전하기 어려운 기억들을 물질로 변환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몸에 새겨진 기억들을 다시 꺼내보는 과정에서 시선이 교차하는 장소로서 신체를 인식하고, 나아가 신체의 내밀함이 시선의 응집과 확산을 통해 공간과 연결되는 방식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신체의 국소 부위, 구멍 등 미시적 부분에 집중하여 신체 내부 감각이 바깥과 연결되는 다양한 양상을 드로잉, 퍼포먼스, 조각, 영상 작업 등으로 가시화한다.
개인전 《주머니 유치원》(스페이스 카다로그, 서울, 2024)을 선보였고, 2인전 《극화아기》(수치, 서울, 2022) 및 단체전 《Bony》(뮤지엄헤드, 서울, 2021), 《플립매치》(공간형, 서울, 2020) 등에 참여했다.
■ 이주연(b.1993, 부산. 서울 활동)
이주연은 서울에서 활동하는 무빙 이미지 작가다.
사회적 고립, 국경을 넘는 친밀감, 노동 불안정, 기술 발전, 산업 독성학과 몸 정치학을 포괄한 광범위한 리서치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분석적이면서도 시적인 논픽션 영상 작품을 연출한다.
서울독립영화제, 서울국제대안영상페스티벌, 오픈 시티 다큐멘터리 페스티벌, 주영한국문화원, YPC SPACE, 요크 에스테티카 아트 프라이즈, 서울실험영화페스티벌, LUX, 반짝다큐페스티발, 서울시립미술관 세마코랄, 뮤지엄헤드 등에 작품이 소개된 바 있다.
■ 이하령(b.2000, 서울. 서울 활동)
이하령은 단 한 사람의 창작이 미칠 수 있는 파급에 관심을 가지고 음악과 미술 현장에서 활동한다. 운명, 노력, 동경심과 같은 감정을 작업과 삶에 실시간으로 동반되는 반응이자 재료로 삼는다.
이하령의 조각, 음악, 영상은 실어증의 상태, 방언이 가져다주는 ‘말그대로’의 감각을 경유하여 매체의 감정적 기복을 구현하는 일에 복무한다. 골똘함, 이상함의 감정을 상기하는 샘플링 기반의 작곡, DJ 믹스, 뮤직비디오처럼 여러 요소들이 포개어져 있지만 서로에게 무관심한 채로 평행하게 흘러가는 상태 등을 참조한다.
언제나 다른 생각에 의한 부산물일 뿐인, 그저 의지력에 대한 징표로서의 작업의 양식에 관심이 있다.
단체전 《Gig》(수치, 서울, 2024), 《Trajectorial Lungs》(화이트노이즈, 서울, 2022), 《바깥 일기》(YPC SPACE, 서울, 2022)와 상영회 《toes in a cave》(청년예술청, 서울, 2024), 《Mother Screening vol. 1》(마더오프라인, 서울, 2023) 등에 참여했다.
[기획자]
■ 유지원(b.1991, 대전. 서울 활동)
유지원은 서울을 중심으로 큐레이터, 비평가, 통번역가로 활동한다. 제도권과 독립 현장, 콜렉티브 실천을 넘나들며, 신체, 인프라스트럭처, 비인간 존재들이 공존하는 사건으로서의 큐레토리얼 장을 탐구한다.
특히 아시아 전역을 가로질러 현지 기반의 집단적인 지식에 기반한 대화를 지향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더불어 평론, 사변적 텍스트, 번역을 통해 다양한 언어와 문화권, 분야와 물질적 기반을 가로지르는 글쓰기를 지속한다.
포스트휴먼·퀴어·크립 인식론, 이론적 정전과 자리매김된 지식 사이의 긴장 속에서 작업하며, 사회적 현실이자 예술적 전략으로서의 수행/퍼포먼스에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제11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의 어시스턴트 큐레이터(2019-2021)를 거쳐, 리움미술관에서 큐레이터(2022-2025)로 재직하며 《김범: 바위가 되는 법》(2023), 《아트 스펙트럼 2024: 드림 스크린》(2024) 등을 기획·진행했다.
미술 글쓰기 콜렉티브 ‘옐로우 펜 클럽’의 멤버(2016-)이자 프로그램·전시 공간 YPC SPACE (2022- )의 공동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성균관대학교의 겸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아트인동산, Ahmad Shariff 작가 "예술을 통해 희망을 찾다" 초청 개인전 (0) | 2025.08.29 |
---|---|
AI와 미래를 담은 '서울라이트 DDP 2025 가을' 개막 (2) | 2025.08.29 |
전통의 유산, 한지 - 파리에서 선보인다 (1) | 2025.08.29 |
임근우 초대展“고고학적 기상도, 10일(수) ~ 26일 (금) 장은선갤러리에서 전시 (1) | 2025.08.29 |
내면의 이면 (Layers of the Self )김미숙 윤기원 2인전 (4) | 2025.08.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