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11월 공연 '민은경의 춘향가 - 김세종제'

뮤지컬

by 이화미디어 2025. 10. 23. 21:34

본문

반응형

◈ 국립창극단 창악부 수석 민은경 명창의 ‘춘향가’ 완창 무대   

- 성우향 선생께 사사한 맑고 단단한 소리로 6시간 넘는 완창에 도전 

◈ 보성소리의 단단함으로 완성하는 김세종제 ‘춘향가’   

- ‘사랑가’ ‘옥중가’ ‘암행어사 출도’ 등 뛰어난 눈대목으로 재미 더해 

◈ 명고 김청만·전계열·김태영의 장단, 유은선 예술감독의 풍성한 해설도 더해져


공연명 '민은경의 춘향가 - 김세종제' 
  20251115() 오후 3
장소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출연진 창자 민은경
고수 김청만·전계열·김태영
해설·사회 유은선
관람료 전석 20,000
관람연령 초등학생 이상
소요시간 390(중간휴식 포함) 예정
예매 국립극장 www.ntok.go.kr
02-2280-4114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완창판소리민은경의 춘향1115()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11월 완창판소리의 주인공은 국립창극단 수석으로 다양한 작품에서 주역으로 활약해 온 민은경 명창으로, 2017심청가이후 8년 만에 다시 오르는 완창 무대다.

 

민은경 명창의 소리 인생에는 아버지의 영향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 아코디언과 기타, 신시사이저를 즐겨 다루던 아버지 덕분에 그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레 음악적 기운 속에서 자랄 수 있었다.

 

어린 시절부터 큰 목청으로 사람들 앞에서 노래 부르길 즐겨하여 음악과 친숙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초등학교 5학년부터 전라남도 무형유산 동편제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 안애란 선생에게 사사하며 본격적으로 소리를 시작했다.

 

민은경은 국립창극단 수석 단원으로 창극 '리어'의 코딜리어와 광대, '귀토'의 토녀, '심청가'의 어린 심청,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걷는 자' 무심 등 폭넓은 배역을 소화하며 연기력과 음악성을 동시에 정받았다.

 

보성소리 전통을 바탕으로 한 맑고 단단한 음색으로 KBS '불후의 명곡' '코리아 온 스테' '국악한마당', MBN '조선판스타'를 비롯해 다양한 방송 출연, 드라마 OST 참여 등 다채로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춘향가'는 문학성과 음악성은 물론 연극적 짜임새까지 판소리 다섯 바탕 중 가장 예술성이 뛰어난 소리로 꼽힌다.

 

남원의 기생 춘향과 양반 자제 이도령의 사랑을 다룬 작품으로 적성가’‘사랑가’‘이별가’‘옥중가’‘암행어사 출도등의 소리 대목이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번 공연은 동편제의 한 갈래인 김세종제 춘향가, 조선 8대 명창 김세종을 통해 전승되었다. 고창의 신재효를 중심으로 한 전승 집단에서 사설과 음악을 새롭게 다듬어 형성된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기존 춘향가보다 한층 우아하고 섬세하게 다듬어진 것이 특징이다.

 

민 명창이 사사한 성우향 바디 춘향가는 약 82개의 소리 대목으로 짜여져 있다. ‘춘향모 탄식’ ‘그때여 향단이’ ‘이 돈이 웬 돈인가’ ‘돈타령’ ‘춘향이 다짐 받는데’ ‘어사또 밥 먹는데등 다른 바디에 없는 6개 소리 대목이 추가되어 있다.

 

민은경 명창은 이번 완창 무대에서 특유의 우람하고 옹골찬 소리와 통성으로 질러내는 애원성을 살려 고전미가 살아 있는 춘향가의 정수를 오롯이 전한다. “8년 만에 다시 오르는 완창 무대인 만큼 열성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

 

오랜 시간 준비한 만큼 보성소리의 단단함과 김세종제 특유의 우아함을 담아, ‘춘향가의 깊은 매력을 관객들에게 온전히 들려드리고 싶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고수로는 명고 김청만·김태영·전계열이 함께하며, 해설과 사회는 유은선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겸 단장이 맡아 관객의 이해를 돕는다.

 

국립극장 '완창판소리'198412신재효 타계 100주기 기념으로 처음 기획된 후 19853월 정례화된 이래, 지금까지 40년간 꾸준히 공연되고 있다.

 

판소리 완창 공연으로는 최장·최다를 자랑하고 있으며, 당대 최고의 소리꾼들이 올랐던 꿈의 무대로 인정받고 있다. 소리꾼에게는 최고 권위의 판소리 무대를, 관객에게는 명창의 소리를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2025년 하반기에도 전통의 정체성을 지키며 소리 내공을 쌓아온 소리꾼들이 매달 무대에 올라 소리의 멋을 제대로 느낄 줄 아는 관객과 만난다. 전석 2만원,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


민은경
국립창극단 창악부 수석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춘향가이수자


사사
안애란·성우향·김영자 사사


수상내역
2008KBS국악대경연 판소리부문 장원
2003년 임방울국악제 장원
2002년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판소리 금상


주요공연
창극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걷는 자> 무심 역, <만신:페이퍼 샤먼> 아이야나 역, 작은창극시리즈 <덴동어미> 광년 역, <리어> 코딜리어/광대 역, <귀토> 토녀 역, <심청가> 어린심청 역, <나무, 물고기, > 소년 역, <아비. 방연> 단종 역, <안드레이 서반의 다른 춘향> 춘향 역, <서편제> 어린 송화 역, <변강쇠 점 찍고 옹녀> 의녀 역 마당놀이 <마당놀이 모듬전> 심청 역, <춘향이 온다> 춘향 역, <심청이 온다> 심청 역 기타 국립창극단 <절창>, 뮤지컬 <서편제> 송화 역, 국립극장 기획공연 <명색이 아프레걸> 나애심/윤심덕 역, 국가브랜드공연 <화선 김홍도> 어린 홍도 역 완창 심청가’(2017)





고수 ㅣ 김청만
국가무형유산 판소리고법 예능보유자





고수 ㅣ 전계열
국립창극단 기악부 단원






고수 ㅣ 김태영
국가무형유산 진도씻김굿 이수자
2017년 제 27회 전국고수대회 대통령상 수상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