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뷰] 김자현 '비디오 푸가 디벨롭' - 미래를 꿈꾸는 사운드, 대중친화적 기술을 지향하다

클래식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8. 3. 29. 15:27

본문

반응형

▲ 'Video Fuga-develop' 공연의 김자현 작곡가. 차분하게 컴퓨터를 응시하고 있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신귀만 작가


[플레이뉴스 박순영기자] 컴퓨터를 응시하는 눈빛. 빈 오선지보다 더 적막한 컴퓨터 앞에서 소리를 만들어내다.

작곡가 김자현의 <Video Fuga-음악의 구조를 보여주는 전자음악공연>이 1년 만에 돌아왔다. 소리를 보이게 하겠다는 작곡가의 의지가 올해도 어김없이 발동됐다. 작년 아르코 aPD과정에서 선보인 <Video Fuga>에 스토리성과 미래의 사운드 세계에 대한 희망적 메시지까지 담아 올해는 <Video Fuga-develop>이라는 제목으로 지난 2월 25일, 서울 상암동 문화비축기지 T2실내공연장에서 선보였다. (기획/작곡 김자현, 조연출 최하늘)

<Video Fuga- develop>은 공연장을 가득 메우고 스탠딩석까지 있을 정도로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작년 aPD과정으로부터 작곡가가 공연의 기획과 프로듀싱에 대한 감각을 습득하며 자신의 첫 브랜드 작품을 탄생 시켰던 신선함에서, 올해는 기존 공연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충분히 확인했음을 공연 흐름을 통해 느낄 수 있었다.
 

▲ 'Prototype I'은 소리와 영상 결합의 작업과정이 직관적으로 보이며,
공연소개로서의 자신감과 위트도 엿보였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신귀만 작가


첫 번째 순서로, 공연의 도입이자 <Video Fuga #01>의 실험으로 소개되는 'Prototype I'은 작년에 비해 자신감과 위트가 보였다. 본 공연이 현대음악 소리를 눈에 보이게 구성했다는 문장이 단어별로 보여지면서 동시에, 부드러운 음색의 다장조 음계와 1,4,5,도 기본 3화음, 그리고 발생되는 음이 오선악보로 보여진다. 이 과정은 모두 컴퓨터의 Max/MSP/Jitter(사운드와 영상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로 작업된 것으로, 이 날 공연의 모든 사운드/영상과 기술은 이 프로그래밍 과정으로 탄생되어 실시간으로 보여졌다. 

다음으로 <Video Fuga #01>는  작년보다 소리는 더욱 정교해지고, 색감은 작년의 흰색 하늘색에서 어두운 톤으로 더욱 세련되어졌다. 'Republic of korea is a Democratic Republic', 즉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대한민국의 헌법 1조 1항 문장을 가져와 ‘푸가’라는 형식의 엄격함을 김자현 작곡가의 비디오푸가를 통해 추구함을 보여준다. 음색은 기본 사인파와 톱니파 등 기본파형의 변형과 결합으로 갤러그 등 게임이나 세탁기 작동음 소리를 떠올릴 수 있었다.

위 헌법 문장의 영어 단어들 각각에 1,4,5 기본 3화음과 이탈음 7음 등이 매칭되어 있고, 1, 2초 단위로 단어들이 변함과 동시에 소리가 변하는데, 음이 변하고 있음을 단어와 시간길이의 변화를 통해 인지시키고자 한 의도로 보였다.

▲ 'Videp Fuga #03' 는 연주자의 현실공간과 컴퓨터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공간의 소리와 영상이
서정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신귀만 작가


이어진 <Videp Fuga #03>는 푸가의 주제와 응답의 형식을 딜레이되는 사운드와 실시간 영상에 적용했다. 아득히 먼 곳을 그리워하는 것 같은 선적인 지속음들과 연결된 빠른 패시지를 바이올린 연주자(최세희)가 연주하고, 이 소리가 딜레이(시간 지연) 되어 재생되고, 무대 위 화면에도 연주자의 현재 모습과 딜레이 된 모습이 동시에 보여진다.

이것은 마치 무대 위의 연주자가 내는 소리와 모습은 주제, 스피커와 화면의 것은 응답인 듯했는데, 연주자의 현실공간과 컴퓨터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공간의 소리와 영상이 하모니를 이루며, 이날 공연 중 가장 서정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다.

다음 순서의 'Construction II'는 이번 공연에서 클라이막스로 위치를 옮겼다. 트레몰로, 쥬테, 미분음 등 각종 현대음악 주법의 현악삼중주가 그래픽악보를 연주했던 것이 작년 'Construction I'이었다면, 올해는 그래픽 악보에 파스텔톤 색깔이 더해지고, 앞 ‘Prototype'과 <Video Fuga>와 같은 도, 레, 미 음계로 해서, 들리는 소리와 보이는 악보의 연관성 사이에서 훨씬 편안한 느낌을 주었다. (바이올린 최세희, 비올라 박순영, 첼로 최세은)


▲ 'Construction II' 는 작년의 그래픽 악보에 파스텔톤 색깔과 도, 레, 미 음계가 더해져서,
소리와 악보의 연관성 사이에서 훨씬 편안한 느낌을 주었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신귀만 작가


마지막 순서로 선보인 'Untitled'는 2017년 <비디오푸가>에 이번에 공연순서로 새로이 추가되었다. 바이올린, 첼로와 키보드, 센서악기의 연주로 김자현 작곡가가 직접 키보드로 곡 도입의 잔잔한 3화음을 연주하고, 이어 첼로, 바이올린, 센서악기 순서로 느린 선율을 얹어간다. 특히, 이번에 새로 제작된 허리높이의 긴 막대형으로 도, 레, 미, 파 4개음의 센서악기에서 영롱한 음색이 빛나는 순간, 왜 작곡가가 기본 3화음만으로 공연을 구상하고, 진행시켰는지 이해가 되었다. 

김자현은 “작업과정에서 센서악기가 작동되는 순간 기뻤고, 다음 작업의 구상에 힘을 받게 된 중요한 순간이었다”라면서, “이번 공연에서는 전자음악에서의 ‘기술과 음악’을 대중친화적으로 선보이기 위한 기술향상과 보완에 집중했고, 공연결과에 만족한다. 후속작에서 스토리와 센서악기가 더 부각될 것 같다”고 소감과 포부를 밝혔다.

이번 공연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의 2017 공연예술창작산실 창작실험활동 결과발표회 <창작실험-과정과 공유>(2018.02.23-25, 문화비축기지)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2017 공연예술창작산실 창작실험활동은 다양한 예술장르 예술인 28팀에게 4개월간 공연 실험과정의  리서치, 멘토링 등을 지원하고 작품의 일부를 쇼케이스, 피칭, 전시, 워크숍, 관객과의 대화로 결과발표하는 사업이다. 이로써 창작자는 더욱 안정된 조건에서 실험하고, 공연 표현방식도 다양화 될 수 있었다. 

▲마지막 순서 'Untitled'는 새로제작된 센서악기가 추가되어, 전자음악에서 대중친화적 기술요소를
추구하고자 하는 작곡가의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신귀만 작가



창작자와 대중, 그들은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공연물의 경우, 창작의 자유가 추구하는 무궁무진한 실험과 리서치가 가능하려면, 그것이 공연이 된다는 가상의 전제가 공연형식이나 기술요소에 대한 탐험의 원동력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맨바탕에서 무조건 실험을 할 수는 없지 않는가.

그런 의미에서, <창작실험-과정과 공유>는 공연 자체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과정과 실험에 대한 지원, 그리고 작품일부의 시연과 프레젠테이션, 워크숍을 재정적으로 지원해 줌으로써, '창작'의 결과가 아닌 '창작한다'는 그 행위 자체가 얼마나 가치있는가 하는 것을 28개 '가상의 공연'을 통해 관람객에게도 알려주었다. 이번 과정을 통해 탄생될, 그들의 앞으로 다가올 진짜 모습을 기대해본다.


// 음악의 구조를 보여주는 전자음악공연 <Video Fuga-develop>

기획, 작곡 : 김자현

조연출 : 최하늘

연주 : 최세희, 박순영, 최세은, 김자현

기술협력 : 정강현, 안재현, 박성민

음향 : 문수영

악보영상제작 : 이현정 

영상기록 : 박동명 

무대크루 : 소규섭  //


mazlae@daum.net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