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뷰] 솔오페라단 '일 트로바토레', 미니멀로 분위기 있는 이태리 정통 오페라 잘 살려

오페라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12. 3. 22:10

본문

▲솔오페라단의 ‘일 트로바토레’ 11월 24일 프레스리허설. 로렌쪼 마리아니 연출로
미니멀한 무대와 분위기를 강조한 무대가 음악을 돋보이게 했다. ⓒ 문성식


[플레이뉴스 박순영기자] 솔오페라단(총예술감독 이소영)이 베르디 '일 트로바토레'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지난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공연했다.

'일 트로바토레'(1853)는 '라 트라비아타'(1853), '리골레토'(1851) 함께 베르디의 나이 40세 전후 작곡된 인기작으로 이들 모두 아름다운 아리아와 역동적이고도 천재적인 오케스트레이션이 돋보인다. 특히 주요배역이 성악의 소프라노(레오노라), 메조소프라노(아주체나), 테너(만리코), 바리톤(루나 백작)의 4성부가 모두 등장하는 유일한 오페라로 성악적으로 어렵고 내용도 복합적이다.

이탈리아 오페라 보급에 특히 앞장서 온 솔오페라단의 이번 공연은 이탈리아 파르마 왕립극장과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과 공동제작으로 무대에 올렸다. 두 극장의 콜라보 무대는 2010년 로렌쪼 마리아니 연출로 파르마의 베르디 축제에서 선보인 뒤 베네치아 극장에서 2011년과 2014년 공연으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트로바토레'(Trovatore)는 중세 유럽에서 전쟁에 참가하고 돌아온 떠돌이 병사로, 전쟁 경험담이나 여러 이야기를 노래형태로 들려주었던 음유시인이었다. 베르디의 '일 트로바토레'는 한 여인 레오노라를 사랑한 음유시인 만리코와 루나백작, 그리고 만리코를 키운 집시여인 아주체나를 둘러싼 비극 같은 운명이야기다.

무대는 전막의 배경에 큰 원이 있고, 1막은 푸른조명, 앙상한 절벽(2막), 붉은 조명에 침대(3막), 푸른 조명에 세워진 칼(4막)로 미니멀한 표현과 조명효과로 분위기를 살렸다. 연출의 로렌쪼 마리아니는 팜플렛에 '분위기'의 중요성을 언급했는데, 대본의 '저녁'이라는 시간적 배경을 '일 트로바토레'의 미스테리하게 얽힌 관계와 사건을 상징하는 장치로 보고, 해질녘의 붉은 태양과 밤의 달로 표현해 극 전체를 지배하는 하나의 톤으로 살린 것이다.

▲2막 침대장면 소프라노 피오렌차 체돌린스(레오노라 역)와 테너 디에고 카바찐(만리코 역)ⓒ 문성식


주요출연진은 해외팀과 국내성악가가 세팀으로 나누어 공연했는데, 26일 공연에서는 해외 출연진으로 이탈리아 정통의 발성으로 '일 트로바토레'의 맛을 전해주었다. 1막 푸른 조명의 궁정, 페란도(베이스 잔루카 브레다)가 집시여자가 화형에 처하면서 루나백작의 아들을 데려갔고 불구덩이에서 한 아이의 유골이 잿더미로 발견됐다는 이야기를 병사들에게 들려준다.

소프라노 이로나 마타라드제는 '침묵을 지켰어 고요한 밤이...그런 사랑에 대해'(Tacea la notte placida ...Di tale amor)로 음유시인 만리코에 대한 마음을 부드럽고도 힘차게 뻗는 호흡으로 불러 박수갈채를 받았다. 레오노라에 대한 루나백작의 아리아 "그대 환히 웃는 얼굴"(Il balen del suo sorriso)에서 바리톤 엘리아 파비안은 풍채만큼이나 풍족하고 넓게 뻗어가는 음량으로 귀를 충족시키며 브라보를 받았다.

2막, 붉은 조명과 태양을 배경으로 집시들이 망치질중이다. 경쾌하고 힘차고 익숙한 '대장간의 합창'(Chi del gita)에서 위너오페라합창단은 불운하지만 당당하고도 힘찬 집시들의 삶을 잘 노래했다. 무대에서 직접 두드리는 망치소리가 무척 경쾌하다. 곧바로 메조소프라노 소피아 자네리드제는 '불길이 치솟네'(Stride La Vampa)에서 자신의 어머니가 억울하게 화형에 처한 이야기를 아들 만리코에게 복수해주길 바라는 집시여인 아주체나의 마음을 잘 표현해주었다.

3막, 아주체나는 루나백작에게 붙잡혀 만리코가 구하러오길 노래한다. 한편, 결혼식이 준비중이다. 흰 드레스와 배경의 푸른 원이 아름답게 대비된다. 만리코 역 테너 디에고 카바찐은 '아! 그대는 나의 사랑'(Ah! si ben mio)에서는 절절한 사랑을 담아 노래했고, 바로 이어지는 '타오르는 저 불꽃을 보라'(Di quella pira)에서는 마지막 하이C음까지 완벽한 팽팽함으로 결투에 찬 만리코의 의지를 표현하며 브라보를 받았다.

▲ 4막 아주체나 역 메조소프라노 소피아 자네리드제가 ‘우리의 산으로 돌아가고파’를 부르고 있다.ⓒ 문성식


4막, 종소리가 들리고 멀리서 수도사들의 합창 '미제레레'(miserere)가 구슬프고도 장엄하게 들린다. 레오노라와 만리코의 이루지 못할 사랑노래가 겹치며 애절하면서도 결연하다. 루나백작에 의해 감옥에 갇힌 아주체나와 만리코가 옛 시절을 그리워하는 '우리의 산으로 돌아가고파'(Ai nostri monti)의 아름다움과 느린템포가 자장가 같다. 아주체나는 잠이 들고, 레오노라는 독약을 먹고 자살한다. 이에 분노한 루나백작은 만리코를 죽이고, 아주체나는 방금 죽인게 네 동생이라 외치며, 비극의 막은 내린다.

베르디의 오페라에서 인간은 다양한 모습으로 신에 의한 운명에 절망하면서도 삶을 개척하고 한 걸음 나아가는 모습이다. 슬픈 운명의 사랑이야기, 한 집시여인의 복수, 그 속에서 민중과 귀족계층 어느쪽을 편드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인간전체를 아름답고 뚜렷한 선율과 웅장함으로 노래하는 베르디의 아리아가 귓가에 맴돈다.

솔오페라단의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는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12월 3일부터 5일까지 공연된다. 한편, 차기작으로 제8회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에서 오페라 '까발레리아 루스티카나 & 팔리아치'를 2017년 5월 26일부터 28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예정이다.


mazlae@daum.net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