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뷰]국립오페라단 헨젤과 그레텔, 연말레퍼토리 되려면

오페라

by 이화미디어 2018. 10. 20. 15:33

본문

국립오페라단 '헨젤과 그레텔'. 초대형 호화로운 마녀의 과자집이 눈길을 끈다.ⓒ 문성식


국립오페라단이 10월 9일부터 13일까지 공연한 훔퍼팅크 작곡의 <헨젤과 그레텔>은 올초 부임한 윤호근 예술감독이 직접 정한 첫 작품인 만큼 관심을 끌었다. 헨젤과 그레텔 가족 집 내부가 배경인 1막에서는 작곡가 훔퍼팅크가 반음계 화성과 대편성 관현악의 바그너 제자이기 때문에 음악진행과 노래가 어렵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에 비하면 헨젤과 그레텔, 엄마 아빠의 연기와 노래는 음악적 난해함을 넘어서는 호연이었다. 


10일 공연에서 헨젤 역 메조소프라노 양계화는 멜빵바지를 입었는데, 약간 구부정한 등에 툭 튀어나온 무릎, 가리마를 타 딱 붙인 앞머리에 개구진 표정과 굵직하게 호소력 있는 목소리로 동심어린 헨젤 그대로의 몰입도를 보여줬다.


엄마 게르투르트(메조소프라노 임은경)가 아이들을 숲에 딸기따러 보냈다고 하자, 아빠 페터(바리톤 이혁)는 아이들이 마녀에게 잡힐까봐 걱정하는 노래를 부른다.ⓒ 문성식


그레텔 역 소프라노 한은혜는 귀엽고 호기심어린 표정에 맑고 선명한 음색, 대사의 끝 감탄사 부분에 있는 높은음자리표 덧줄 두 개의 높은 레 음을 호흡 가다듬 없이도 한 번에 부를 수 있는 저력을 과시했다.


메조소프라노 임은경은 가난한 삶의 고단함으로 억척스러워진 엄마의 노래를 굵은 고음과 표정연기로 잘 표현했다. 한 손엔 술병을 들고서도 숲속에 간 아이들을 걱정하는 빗자루장수 아빠 역 바리톤 이혁의 팽팽한 저음 연기도 좋았다.


그런데, 확실히 권선징악과 효 내용의 우리나라 전래동화가 아닌, 18세기 유럽동화의 차디찬 시대에 대한 냉혹한 풍자는 한국땅에 사는 어른이 보기에는 오히려 어려움이 있었다.


음악도 바그너풍이라 어려운데 가사도 독일어지, 게다가 아빠가 엄마에게 허리벨트로 채찍질하는 시늉이나 엄마가 빗자루타는 마녀 흉내를 내면서 아빠 앞쪽에서 다리 사이에 막대기를 끼고 노래하는 유럽 정서의 장면들은 8세 아이와 함께 볼 수 있는건가 싶기도 했다.

2막 숲속 장면에서 딸기를 따던 헨젤(메조 소프라노 양계화)과 그레텔(소프라노 한은혜)이 모래요정(소프라노 윤상아)의 모랫가루에 잠이 든다.ⓒ 문성식


이것이 어린이 대상 오페라가 될까 생각이 들 즈음, 2막 딸기를 따는 숲속장면의 뻐꾹 노래, 모래요정과 천사 장면 등은 동심을 불러 일으키며 안정감을 준다. 이윽고 3막에서 붉고 휘황찬란하게 무대가운데 높이 우뚝 솟은 과자탑과 럭셔리한 무대를 보면 앞선 걱정은 잊게 된다. 


보통 헨젤과 그레텔에서 마녀의 과자로 만든 집하면 떠오르는 동화다운 아기자기한 무대세트가 아니라, 국립오페라단의 3막 무대는 뮤지컬 시카고나 물랑루즈 무대가 연상되는 화려함과 위용이 있었다.


그 우뚝솟은 럭셔리함, 과자마저도 번쩍번쩍 화려하다는 것은 어린이들이 성장해서 도달하는 어른들의 물욕, 무시무시한 마녀의 식욕과도 같은 만만찮은 거대한 이 세상을 상징하는 듯 하다. 


헨젤과 그레텔이 과자탑에서 캔디를 하나씩 떼어먹을 때마다 탑안에서 소리가 나더니 웃음소리가 나면서 탑이 회전하고 3막의 주인공 마녀가 등장한다. 길게 헝클어진 빨강 머리칼에 얹은 왕관, 풍만한 가슴과 움직일 때마다 실룩여서 눈길을 끄는 엉덩이살, 검정 스타킹에 은색 구두, 치렁치렁한 귀걸이, 눈꼬리가 올라간 짙은 눈화장에서 통쾌한 카리스마가 있었다.

3막에서 마녀 역 바리톤 민현기가 싸이 강남스타일 춤을 선보이도 있다.ⓒ 문성식


이러한 치장이 마녀 역 바리톤 민현기에게 굉장히 잘 어울렸다. 팽팽하고 윤기있는 중저음의 바리톤 목소리에 끈적끈적한 퇴폐미까지 더한 표정과 입모양으로 헨젤과 그레텔을 살찌워 잡아먹으려는 탐욕덩어리를 완벽하게 표현했다.


중간 대목에 가발을 벗고 선글라스를 끼고 말춤을 추니 딱 강남스타일의 가수 싸이 그대로였다. 이후 그레텔이 마녀를 화로로 밀어넣고 과자인형들의 마법이 풀리며, 엄마아빠가 아이들을 찾아오는 해피엔딩의 결말이다. 


이 정도면 연말레파토리로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재밌었다. 음악을 배웠기 때문에 음악이 어렵다고 생각한 것은 음악을 분석적으로 배운 어른이었기 때문이지, 어린이 관객은 음악의 분위기를 들으며 눈앞에 펼쳐진 재미난 광경과 사건흐름에 몰입할 것이다.


기분좋게 공연장을 나오면서 오페라단측에 문의하니 국립오페라단에서는 이번 헨젤과 그레텔을 내년부터 연말 레퍼토리로 준비한다고 한다. 

 

그런데 헨젤과 그레텔, 꼭 독일어로 봐야할까. 곡도 어려운데 노래말까지 외국어 때문에 전광판을 봐야만 할까. 이젠 우리 성악가들이 우리말로도 성악발성을 잘 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번안오페라를 할 수 있다.


올해만 해도 6월 서울오페라페스티벌 2018에서 광주시립오페라단이 공연했고, 9월 광림아트센터에서 타단체가 공연하는 등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은 종종 무대에 오르는 레파토리다. 이것을 기왕 국립오페라단이 연말 가족오페라로 만든다고 하니, 연말 레파토리<호두까기 인형>처럼 잘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오페라가 한국화 되기 위해서는 과연 무엇이 필요할지 잘 생각해볼 일이다. 


mazlae@daum.net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