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용, 성민제, 정재일의 'Untitled'공연은 피아노,베이스,국악의
개성만점 매력을 슈베르트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 크레디아
[플레이뉴스 박순영기자] 2015 디토 페스티벌 <슈베르티아데>가
6월 6일부터 30일까지 LG아트센터와 예술의전당에서 공연중이다.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오닐을 음악감독으로 클래식음악의 브랜드화와 대중화, 세련된 현대음악 연주의 지속적인 실천을
해 온 <디토 페스티벌>이 올해는 고독과 순수한
감성의 작곡가 ‘슈베르트’를 주제로 예년보다 더욱 다채롭고
흥미로운 공연을 마련했다.
6월 6일
리처드 용재오닐의 <겨울나그네>, 13일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세레나데>, 17일 임동혁 with 스티븐 린 <슈베르트 판타지>공연에 이어, 18일과 19일은
지용, 성민제, 정재일의
<Untitled>, 20일은 디퍼런트 디토 <추락천사>로 슈베르트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18일 지용, 성민제, 정재일의
<Untitled> 공연은 피아노, 베이스, 국악의 각기 다른 특성과 그것이 바라본 슈베르트의 느낌을 비교하며 들을 수 있는 자리였다. 피아니스트 지용은 <행복을 찾는 길>이라는 제목으로 자신이 감독하고 출연하고 녹음한 흑백 영상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피아노 소품 네 개를 묘사하는
방식으로 세련되게 연출했다. 영상에서 나직한 시 낭송 후 이어진 첫 번째 곡 ‘방랑자’는 온화한 선율과 다짐으로 홀로 공연장에 앉은 한 피아니스트의
단단하고도 평온한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풍부한 페달과 단단한 오른손 선율이 안정감을 주었다.
밤거리
클럽에서 여인들에 둘러싸인 방황하는 지용의 모습, “My Father, My Father”하며 격렬한
나래이션의 느낌이 곧 연주된 ‘마왕’의 피아노 3연음부의 격렬한 고동과 뚜렷하고 음산한 선율로 전달되며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그대에게
인사를’은 중음역의 선율 위로 알알이 반짝이는 상성부 장식음들로 부드러운 마지막 키스, 평온한 인사와 같은 느낌을 주었다. ‘세레나데’는 앞 소품보다 좀더 화려하고 강한 느낌과 확신의 어조로 변주되는 선율이 인상적이었다.
성민제는 <바스프레소를 위하여>(*베이스(Bass)+에스프레소 커피(Espresso))라는 제목으로 더블베이스의
다양한 면모를 지용처럼 네 개의 작품을 통해 보여주었다. 첫 곡 에서는 둔중한 몸집의 베이스와 코맹맹이
음색이 어색했지만 다음의 슈베르트 ‘송어’에서는 변주가 진행될수록
저음부터 고음까지 다양한 선율과 리듬의 결합, 다이내믹한 활의 운동,
성민제의 신들린듯한 몸집과 연주에 빠져들었다. ‘베이스라서 못하는 것은 없구나’가 느껴지며, 고음까지도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며 일치된 네 악기의 화음이
흐뭇했다.
‘악흥의 순간
2번’은 무대 왼편에 세 명, 오른편에 한 명으로
나눠 서서 고독하고 어둔 도시 밤, 새벽동이 트는
희망의 읊조림 같은 분위기를 연출했다. 다음으로 ‘거리의
악사’는 네 명 모두 중절모를 쓴 채, 반복되며 계속 이어지는 주제선율로 주황색 조명 아래 도시
방랑자 같은 분위기를 자아냈다. ‘마왕’은 앞 지용의 피아노 건반악기와는 또 다른 저음 현악기의 독특한
매력으로 일치된 베이스주자들의 속사포 같은 3연음부가 무척 매력적이었다. 성민제는 활 시작부분에 악센트를 주고, 더욱 현에 밀착된 보잉(활 운동)으로 선율을 드러내는 방법으로, 저음이라 바이올린, 비올라에 비해 합주에서 더욱 선율의 강조가 힘든
베이스의 핸디캡을 극복했다. 마지막 연주자를 둘러싼 붉은 조명이 피처럼 흩어지는 것 또한 인상을 주었다.
후반부에는
국악 작곡가 정재일이 참여한 <마왕> 시나위, <Untitled> 두 곡이 이어졌다. 극작가 배삼식이 <마왕>의 텍스트를 한국어로 바꾸었고, 이것이 곡 시작 전 영상에 잠시 소개되고, 그 느낌이 연주와 판소리
가사로 이어졌다. 정재일은 <마왕> 도입부의 G음 3연음부의
지속적인 울림을 자신이 연주하는 피아노 저음의 지속음 울림으로 바꾸어 천천히 달구어갔다. 점차 분위기가
고조되고, 신세대 소리꾼 정은혜의 폐부를 확 찌르는 시원한 가창과 현악사중주의 절도 있는 보잉, 타악기의 신명 나는 두드림의 한판이 펼쳐졌다.
한
가지, <마왕>의 첫 도입 지속음과 국악기 징과
장구의 울림을 하나로 관통시키다 보니, 음 진행의 방향이 지속음을 떠나지 못하고 계속 웅웅거리는 느낌으로
일관된 것은 특히 절정부 이전에는 다소 지루함을 유발시키기도 했다. 또한, 음향밸런스 측면으로는 징과 장구의 음량은 낮추어 너무 센 울림을 약간 줄이고,
피아노의 음량은 좀 더 높이고 동시에 저음 EQ는 낮추고 고음 EQ는 좀 더 높여서 더욱 명민하게 강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낫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지용의
피아노, 성민제의 더블베이스, 정재일의 일렉 기타와 랩탑이
함께한 <Untitled>는 정재일의 프로듀서로,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탑 클래스 연주자들의 즉흥의 순간을 감상할 수 있었다. 각기 자기분야에 능통한
아티스트들이라 정재일이 제시하는 큰 테두리 안에서 펼치는 연주라서, 지용과 성민제는 각자만의 변주를
이끌며 소리공간을 채워나가고 있었다. 그런데, ‘무제’라는 타이틀보다는 디토 시즌 전체 주제와 걸맞는 합일점을 찾았다면, 더욱
공연 구성적으로 구체적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 2015 디토 페스티벌의 '디퍼런트 디토-추락천사'는 존존,조지크럼,슈베르트 곡으로
현대와 고전의 대비와 함게 고독과 밤이라는 통일성을 주었다. ⓒ 크레디아
20일의 <디퍼런트 디토-추락천사>는 존존, 조지 크럼의 현대음악과 슈베르트의 고전이 배치되어
대비를 주면서도 고독과 밤, 어둠이라는 통일성을 느낄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존존의 두 대의 첼로를 위한 <무로보로스(꼬리를
삼키는 자)>는 마이클 니콜라스와 제이 캠밸의 집중어린 호연이 돋보였다. 첼로고음의 격렬한 트레몰로, 술 폰티첼로, 글리산도 등의 특수주법 후 유니즌으로 패시지를 끝내는 방식이, 마치
말이 엄청 많은 사람이 끊임없이 수다를 떤 후 잠시 휴식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통쾌한 곡이었다.
두 번째로 조지크럼의 현악사중주와 일렉트로닉스를 위한 <검은 천사>였다. 1970년대
미국의 베트남 참전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로, ‘하느님이
악마를 이긴다’는 내용의 세 부분 13악장의 곡이다. 1악장 ‘전기곤충들의 밤’에서는 살갗을 파고들 것 같은 날카로운
술 폰티첼로 트레몰로로 베트남전 헬리콥터 소리를 묘사하면서 불안과 고통의 느낌을 전달한다.
4악장 ‘악마의 음악’과 5악장 ‘죽음의 춤’에서는 중세 시퀀스인 ‘진노의 날’
선율이 변형되어 들리는데, 심판의 공포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6악장 ‘눈물의 파반’과
마지막 13악장 ‘진혼곡
III: 죽은 곤충들의 밤’에서는 슈베르트 <죽음과
소녀> 선율로 죽음을 나타낸다. 연주자들이 직접 목소리로
외치기도 하고, 탐탐, 유리잔, 골무를 끼고 현을 두드리는 등 갖가지 현대주법으로 신비롭고 음산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스피커를 통해 ‘기괴한 음향’은
전기적으로 증폭되어 곡의 메시지를 더욱 강렬하게 전달한다.
후반부에 공연된 슈베르트의 <죽음과 소녀>는 김시우,
자니리, 리처드 용재 오닐, 제이 캠벨 네 명
연주자의 하나의 몸 같은 호흡과 젊은 연주자들의 해석능력에 놀라게 되는 훌륭한 연주였다. 특히 김시우의
시원한 보잉과 날렵한 리드도 돋보였다. 연주는 처음에는 전반부 두 곡 모두 격렬한 현대음악인데다 스피커를
통한 전자음향이어서, 후반부 <죽음과 소녀>의 클래식한 음량과 선율선이 다소 작고 잠시 충족스럽지 않은 느낌도 받았는데, 선율이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역동적이 되면서 금새 죽음과 소녀라는 주제에 집중할 수 있었다.
D음 유니즌으로부터 하강하는 다섯 음의 주제선율과 그 변형의 격렬한 운동과 파생으로 1악장은 다채로운 모습을 형성한다. 2악장은 슈베르트 자신의 가곡
‘죽음과 소녀’의 죽음 부분의 선율이 차용되어 변주된다. 3악장은 붓점과 하행선율이 숙명적이고 결단적이다. 4악장은 올림활과
붓점의 날카로움, 3악장과 반대적인 상행 움직임이 우수 어리지만 무언가 희망을 향해 나가는 느낌을 준다. 완벽한 연주에 관객들은 열화와 같은 박수를 보냈고, 연주자들은 세
번의 커튼콜로 화답했다.
이제 디토페스티벌은 6월 30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의 <슈베르티올로지>로 이번 시즌 대미를 장식한다. 앙상블 디토의 리처드 용재 오닐, 스테판 피 재키브, 마이클 니콜라스, 스티븐 린과 함께 자니 리, 제이 캠벨이 출연한다. 특히 마지막 곡인 현악오중주 C장조는 첼로 두 대의 독창적인 구성으로
슈베르트가 죽기 2개월 전 완성했던 숭고함과 장대함이 살아있는 작품으로 어떤 디토에게서 어떤 음악으로
살아날지 기대가 크다.
mazlae@daum.net
(공식 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com》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