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 공연예술로 세계와 잇다…서울어텀페스타 첫 출범”40일간, 도시를 가득 채울 공연과 축제로 서울 물들인다

행사

by 이화미디어 2025. 9. 1. 22:05

본문

반응형

 

▶ 10월 4일 서울광장서 고선웅‧서정완 연출 개막행사 시작으로 11월 12일까지 40일간 계속

▶ 서울무용제, 서울국제음악제(SIMF) 등 서울 전역이 다채로운 공연‧축제로 채워진다

▶ 민간 공연‧축제 주축의 현장중심 설계...145명의 민관추진체가 사업 초기부터 참여해

▶ 관객 큐레이션, 어린이‧청소년 교육 연계, 청년 관람혜택, 대학로‧광화문 통합정보센터까지

▶ 거리서 즐기는 이루다 연출 아트레킹부터, 예술의 미래 담론 펼칠 국제포럼도 열려

▶ 송형종 대표이사,“공연예술로 도시의 얼굴 바꿔 서울을 세계 문화예술 수도로 이끌 것”

 

[플레이뉴스 문성식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매년 가을 서울에서 열리는 공연과 축제를 하나로 잇는 공연예술 시즌 브랜드 서울어텀페스타(Seoul Autumn Festa)’를 새롭게 출범한다.

 

순수공연예술과 축제로 도시 전역을 물들일 서울어텀페스타는 공연예술이 폭발하는 가을시즌에 맞춰 서울의 공연예술 가치를 국내외로 널리 알리는 교두보로서 국제 공연예술 플랫폼 서울이 되기 위한 포부를 담아 신설됐다.

 

출범 첫해인 올해는 공연예술, 서울을 잇다라는 슬로건 아래 오는 104()부터 1112()까지 40일 간 서울 내 주요 공연장과 서울광장, 청계천, DDP 등지에서 110여 개의 공연과 축제를 펼친다.

 

40일 간의 공식 시즌에 더해 서울어텀페스타는 프리-포스트(Pre-Post) 시즌도 함께 운영하며 가을철 공연예술을 총망라할 예정이다.

 

지난 4월부터 재단은 서울어텀페스타만의 차별화된 작동 체계가 될 민관추진체의 조직과 구성을 선행했다.

 

민간 예술협단체와 예술가, ·공립 예술기관, 서울시, 재단이 사업의 초기부터 함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에 추진위원장 최태지 ()국립발레단장을 비롯한 145명이 참여한 추진위원회 발족식(721, 대학로극장 쿼드)을 마쳤으며, 참석한 모두는 예술현장 중심의 민관 파트너십 확산과 서울만의 독창적인 공연예술 시즌이 정착할 수 있도록 그 뜻을 모았다.

 

다장르 공연·축제가 한자리에, 맞춤형 큐레이션과 개막행사로 관객 맞이

 

올해는 연극·무용·음악·전통예술·복합 장르를 아우르는 공연축제 110여 건이 참여한다. 1·2차 공개 모집을 통한 민간 참여 74건을 비롯해 세종문화회관과 서울시립교향악단 등 유관 기관과 자치구 협력을 포함한 공공 참여 42건으로 구성됐다.

 

특히, 영등포구 등 9개 자치구 문화재단과의 협력으로 ‘2025 영등포선유도원축제’, ‘노원 어린이청소년 연극제등 지역 기반의 축제와 공연이 함께해 그 의미를 더한다.

 

주목할 만한 공연으로는

 

나진환 연출·정동환 배우의 극단 피악 '단테 신곡'

3서울예술상 대상 수상작인 99아트컴퍼니 '제_타오르는 삶'

라벨 탄생 150주년을 기념한 클래식 렉처콘서트 '라벨과 피아노, 그가 가장 사랑했던 악기'

한국 전통 타악과 무용이 함께하는 타고 '더 드럼 샤만' 등이 있다.

 

이 외에도 46회 서울무용제

서울문화재단 주관의 서울거리예술축제2025(SSAF)’,

 

장르별 대표 축제인 ‘2025 서울국제음악제(SIMF)’

‘2025 서울 전통춤 문화제

 

등 다채로운 축제 참여작들을 만나볼 수 있다.

 

서울어텀페스타의 신호탄이 될 개막행사는 서울의 가을, 공연예술로 물들다를 주제로 104() 서울광장에서 열린다.

 

고선웅 서울시극단장과 서정완 극공작소 마방진 대표가 주요 연출진으로 참여하며, 100분간 중앙 무대와 광장에서 연극·무용·음악·전통예술 등 다양한 장르를 연결해 순수공연예술의 가치를 극대화할 개막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외에도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을 마련해 현장을 찾은 시민이 재미와 함께 참여의 의미를 더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공연예술 통합브랜드 최초 관객 맞춤형 특화 큐레이션으로 차별화를 시도한다.

 

외국인 관광객 대상 전통음악무용 공연 테마 케데헌의 뿌리를 찾아서! K아트 전통의 멋(가제)’

자치구 기반의 소규모 공연 테마 우리 동네 가장 가까운 공연장(가제)’

서사와 감동의 이야기 위주의 공연 테마 휴지 필수!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스토리(가제)’

 

등 공연예술 트렌드와 관객 연령대 및 선호도 등을 반영한 특색있는 주제로 분류한 맞춤형 공연축제 추천 목록을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다양한 취향을 가진 국내외 관객의 눈높이에서 개인 선호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람 네비게이터가 될 예정이다.

 

거리에서 즐기는 예술축제부터 국제예술포럼까지… 가을을 풍성하게 물들일 40일의 여정

 

추석 연휴 기간인 106()부터 8()에는 서울광장과 청계천에서 서울다움을 주제로 한 서울의 대표 야외 축제 서울거리예술축제가 열린다.

 

이번 축제에서는 블랙토무용단의 이루다 대표가 주제연출을 맡아, 청계광장부터 청계 9가까지 5.2km 구간을 따라 걸으며 공연을 즐기는 아트레킹(Artrekking)’을 새롭게 선보인다.

 

아트레킹은 아트(Art)’트레킹(Trekking)’을 결합한 올해 축제의 신규 프로그램으로 청계천 물길을 따라 걸으며 예술적 감동과 건강한 걷기 운동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또한 해외 거리예술 축제 교류 2, 국내외 공모 선정작 20여 건의 다채로운 공연을 펼친다. 이후 114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는 1회 서울국제예술포럼이 개최된다.

 

서울에서 세계가 함께 이야기하는 예술과 미래라는 주제로, 예술X기술 융합 분야의 게어프리트 슈토커(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예술감독), 도시 야간문화정책 분야의 루츠 라이센링(바이브랩 CEO) 등 주요 연사들의 대담과 함께 정책토론을 나눈다.

 

외국인 관광객 홍보 강화, 어린이·청소년 교육 연계, 청년 관람 혜택까지

 

오는 16일부터는 서울연극센터, 광화문 세종라운지 2개소에 통합정보센터가 차례로 문을 연다.

 

해당 센터에서는 시민을 위한 공연축제 홍보물 비치, 체험 프로그램 운영, 다양한 이벤트 등을 진행한다. 또한 이 기간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대상 글로벌 안내 서비스도 강화한다.

 

서울관광재단과 협력하여 국·영문 홍보 책자를 제작해 관광플라자에 비치하고, 비짓서울(Visit Seoul)’ 누리집과 SNS 채널을 통해 축제 참여단체들의 국내외 공연 정보를 전할 예정이다.

 

아울러 서울시에 거주하는 20~23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문화관람비를 지원하는 서울청년문화패스와 협업하여 서울어텀페스타 참여 작품의 관람을 독려한다.

 

이외에도 서울시민예술학교와 연계하여 미래 관객 개발을 위한 어린이,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서울어텀페스타 기간 내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 관람 혜택과 정보를 제공한다.

 

국내를 넘어 세계 무대로, 향후 글로벌 공연예술 플랫폼으로 도약

 

서울어텀페스타는 올해를 시작으로 국내 무대를 넘어 해외공연과 축제 간 활발한 교류가 가능한 글로벌 플랫폼으로 단계적 발전을 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는 서울문화재단이 서울관광재단의 서울 예술관광 얼라이언스(SATA)’ 협의체로 참여해, 예술관광 활성화에 적극 기여하며 글로벌 도시 도약의 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53년 역사의 프랑스 대표 공연예술축제 파리의 가을총감독 엠마뉘엘 드마르시 모타가 자문위원으로 합류해, 서울어텀페스타와 함께 글로벌 무대로 나아가는 여정에 동행한다.

 

내년에는 10개국 해외 작품 초청과 국내 작품의 해외 유통을 시작으로, 글로벌 스폰서 유치 등을 통해 향후 공연예술의 국제 창작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민들의 공연예술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한편, ‘예술 기부 문화에 대한 시민 참여 또한 더욱 넓혀갈 방침이다.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서울은 이미 창작의 혼과 역동하는 예술적 영감으로 K-공연예술을 견인하고 있다라며, “글로벌 공연예술 도시의 핵심이 될 서울어텀페스타는 서울이라는 캔버스 위에 공연과 축제를 잇고 연계해 도시의 얼굴을 바꾸고 향후 세계 무대서 서울의 위상을 세계 문화예술 수도로 격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서울어텀페스타에 참여하는 공연·축제 세부 정보는 서울어텀페스타 공식 누리집(www.sfac.or.kr/seoulautumnfesta)SNS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9월부터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업명 : 순수공연예술 통합브랜드 '2025 서울어텀페스타'

슬로건 : 공연예술, 서울을 잇다.

 

사업내용 : 가을 서울에서 진행되는 민간과 공공의 다양한 순수공연예술 통합 홍보 및 공연예술 중심도시 서울을 알리는 개막행사, 국제포럼 등 기획·제작 프로그램 운영

 

운영방향

- 서울 전역의 공연예술자원을 총망라한 통합브랜드 출범 및 홍보서울의 글로벌 매력 접근성 확대

- 민간 예술현장과 공공기관의 협력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순수공연예술 생태계 활성화

- 도심권 공연예술 창작거점 활성화 및 관련 콘텐츠 보급 확대로 예술의 시민 일상 영향력 확대

 

운영기간 : ’25.10.4.() ’25.11.12.() (40)

운영장소 : 서울 전역 공연장, 서울광장, 세종라운지, 서울연극센터 등

참여사업 건수 : 116 (8.27 기준)

 

구분 프리(Pre)시즌
(9.01.~10.03)
공식(Official)시즌
(10.04.~11.12.)
포스트(Post)시즌
(11.12.~11.30)
참여사업건수 10 100 6
협력사업 대표성을 부여할 수 있는 민간 및 공공의 공연예술 축제
재단 및 서울시 축제지원사업(예술축제/민간축제/자치구축제 등)’ 선정 축제
서울거리예술축제등 재단, 서울시, 자치구가 주최하는 대표적인 축제
- 서울시(시 예술단 포함) 및 자치구 공연장의 대표적인 기획 작품 및 축제 -
공모사업 - 공개모집을 통해 참여를 확정한 민간의 공연예술 작품 및 축제 -
재단 내부
연계사업
- 서울문화재단이 진행하는 순수공연예술 관련 프로그램

-

 

사업유형
협력주체
축제 공연
민간 공공
39 77
74 42

 

장르별 건수
연극 무용 음악 전통 복합
37 19 27 28 5

ㅇ 시민대상 홍보

통합정보센터 운영 : 대학로센터, 세종문화회관, 연극센터 내 운영 (시즌 내)

공연축제 큐레이션 : 다양한 시민 문화수요를 반영한 테마별 추천작 구성 및 홍보

시민 참여형 온·오프라인 캠페인/이벤트 운영

연번 유형 장르 기관/단체(개인) 사업명 장소 공연일정
1 축제 무용 국제무용협회 28회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서울남산국악당 등 910()
~ 928()
2 축제 음악 사단법인 라벨라오페라단 14회 그랜드오페라축제 예술의전당. 구로아트밸리예술극장 913()
3 축제 전통 광개토사물놀이 서울 풍납토성 어울림
국악 페스티벌
풍납백제문화공원 913()
4 축제 연극 노원문화재단 노원 어린이청소년 연극제 노원어린이극장 913()
5 축제 연극 프로젝트
10minutes
프로젝트10minutes-8 스튜디오 블루 917()
~ 928()
6 축제 전통 ()빛소리친구들 흥부와 놀부가 얼쑤 공덕 실뿌리복지센터 내 누구나 문화창작소 등 922()
7 축제 무용 한국발레협회 18K-Ballet World(서울국제발레축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924()
~ 928()
8 축제 음악 한국오페라
부파협회
예술가곡페스티벌 (시즌2) 양천문화회관 대극장 930()
9 공연 전통 공명 From the grain 국립극장 하늘극장 103()
10 공연 연극 정소원 숨비소리, 해녀들의 노래 연희예술극장 103()
11 축제 음악 서울국제음악제 2025 서울국제음악제(SIMF) 'Dance with Me' 예술의 전당 음악당 콘서트홀 등 1030()
~ 116()
12 축제 연극 극단사개탐사 1번출구 연극제 공간아울 외 대학로 일대 827()
~ 1012()
13 축제 무용 댄스씨어터Nu SDP국제페스티벌 <딩크당스> 서강대 메리홀대극장 등 111()
~ 113()
14 축제 연극 말모이축제위원회 말모이축제 마로니에공원 야외무대 등 109()
~ 1116()
15 축제 전통 한국장단음악축제-장단유희 한국장단음악축제 <장단유희>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야외마당 1024()
~ 1025()
16 축제 전통 한누리예술협회 삼각산 소나무 예술제 강북 솔밭 공원 1018()
~ 1019()
17 축제 음악 행복힐링연구소 두근두근 설레임 음악축제 강북 솔밭 공원 1026()
18 축제 연극 서울연극지부협의체 서울연극25 페스티벌 미마지아트센터 물빛극장 1014()
~ 1116()
19 축제 음악 마포문화재단 2025 <M 클래식 축제> 마포아트센터,
마포구 일대
822()
~ 126()
20 축제 복합 동대문문화재단 2025 동대문페스티벌 장한로 일대 1018()
21 공연 음악 강북문화재단 위대한 클래식 작곡가들 강북문화예술회관 강북소나무홀 1025()
22 공연 연극 영등포문화재단 영등포아트홀 기획공연 <고등어> 영등포아트홀 111()
~ 112()
23 축제 복합 영등포문화재단 2025 영등포선유도원축제 선유도공원~선유도역 '걷고싶은거리' 일대 1024()
~ 1026()
24 공연 연극 노원문화재단 뮤지컬 라면에 파송송 노원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1021()
~ 1025()
25 공연 연극 광진문화재단 가족인형극 예술무대산 <산초와 돈키호테> 광진어린이공연장 1018()
~ 1019()
26 공연 무용 광진문화재단 대한민국전통무용협동조합 무용제 - <여백>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 1017()
27 공연 음악 은평문화재단 베르사이유 궁전의 음악 축제 은평문화예술회관 공연장 116()
28 공연 음악 서초문화재단 [서리풀작곡가탐구시리즈]
라벨탄생150주년
:라벨과 피아노, 그가 가장 사랑했던 악기
심산기념문화센터 반포심산아트홀 1018()
29 공연 음악 서초문화재단 [서리풀작곡가탐구시리즈]
쿠르팽과 르클레어
:프랑스의 천재 작곡가들
심산기념문화센터 반포심산아트홀 1025()
30 공연 음악 서초문화재단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창단
60주년 기념 베토벤 교향곡
전곡 연주 시리즈
심산기념문화센터 반포심산아트홀 113()
31 공연 연극 강동문화재단 극장의 도로시 강동아트센터 116()
~ 119()
32 공연 전통 강동문화재단 서울 앵콜공연 이자람 판소리 <, , > 강동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118()
~ 119()
33 공연 음악 강동문화재단 백건우 피아노 리사이틀 <모차르트> 강동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1026()
34 공연 음악 강동문화재단 디토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톡톡 클래식> 강동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112()
35 공연 연극 창작집단 꼴 반짝, 희라 나온씨어터 1031()
~ 119()
36 공연 음악 배익한 재즈오케스트라 모던민요 꿈빛극장 1018()
37 공연 연극 올리브와 찐콩 모비딕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 117()
~ 119()
38 공연 음악 코리아나뮤직
소사이어티
코리아나 챔버 뮤직 소사이어티 제90회 정기연주회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1019()
39 공연 연극 MBZ컴퍼니 조선의 복서 자유극장 99()
~ 119()
40 공연 연극 MBZ컴퍼니 프라테르니테 링크아트센터 드림 1024()
~ 118()
41 축제 연극 라피크컴퍼니 5회 소극장 공유 페스티벌 소극장 공유 86()
~ 105()
42 공연 무용 윤장현 42.195kg(삶의 무게에 관하여) 문화역서울284 앞 광장 103()
~ 105()
43 공연 연극 극단 마실 천하무뽕 이음아트홀 1031()
~ 112()
44 공연 음악 아코르데 피아노 앙상블 시리즈 : 가을, 서울을 걷다 삼익아트홀 1023()
45 공연 음악 코리안 바로크 소사이어티 찬란한 삶, 메타스타시오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1029()
46 공연 연극 아이큐브 명화배달부 신도림 오페라하우스 1010()
47 공연 연극 정윤미 보물 손 소극장 '공간 222' 1018()
~ 1019()
48 공연 음악 헤아린 사계, 2도의 세계, 2049 카페 절기 1011()
49 공연 음악 심정은 자연소 프로젝트 3-A <한국형 앙상블을 위한 Concert-Lab : Concertino> JCC 아트센터 콘서트홀 1019()
50 공연 무용 김승애 동동촉촉 洞洞屬屬 창무포스트극장 119()
~ 1110()
51 공연 무용 백연 바디 시뮬라크르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1019()
52 공연 무용 99아트컴퍼니 _타오르는 삶 국립극장 하늘극장 108()
~ 109()
53 공연 연극 류이향(김이향) 납골당 드라이브 혜화 선돌극장 1016()
~ 1019()
54 공연 연극 극단 작은신화 한 가족 이야기 선돌극장 115()
~ 119()
55 공연 연극 키위아트 기도문 서강대 메리홀 소극장 1022()
~ 119()
56 공연 무용 무버 풍경 강동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1016()
~ 1017()
57 공연 전통 타고 더 드럼 샤만 국립극장 하늘극장 1011()
~ 1012()
58 공연 전통 박안지 박안지 장단 연구 프로젝트 <금산농악> 국립국악원 우면당 119()
59 공연 음악 유경애 얽힌 실타래 서울생활문화센터 채부홀(예정) 112()
60 공연 무용 바리나모 마음을 다해 붉고 깊게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1010()
~ 1011()
61 공연 연극 극단 빨강도마뱀 먹태깡에 대한 명상 선돌극장 102()
~ 1012()
62 공연 연극 공연제작센타 그리고. 바다를. 오르다 시어터쿰 1016()
~ 1026()
63 축제 연극 한국마임협의회 2025 한국마임 삼일로창고극장 1028()
~ 112()
64 공연 연극 라이브러리컴퍼니 아마데우스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916()
~ 1123()
65 축제 연극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25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예술공간 혜화, 창조소극장, 극장 동국 112()
~ 1123()
66 공연 음악 백혜린 공명과 파동_음악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틸라 그라운드 118()
67 공연 음악 오헬렌 투어 반쥴, CKL STAGE 1017()
~ 1018()
68 공연 전통 창작민요프로젝트화로(花爐) <소리 ()>: 서울의 가을, 공명하는 우리 가락 여의도 물빛무대 119()
69 공연 연극 극단 메타포 닫히지 않은 스페이스 아미스타 1025()
70 공연 전통 홍성현아트컴퍼니 홍성현의 초벌비 수호신골매기 서울돈화문국악당 111()
71 공연 전통 채옥선가야금산조 및 병창보존회 성천10 전통공연창작마루 1025()
72 공연 연극 극단 프로젝트 해동머리 나의 고난은 50분 남았다. 제이원씨어터 115()
~ 1116()
73 공연 연극 공연창작소 공간 아무 일도 없었던 듯 모두예술극장 1016()
~ 1019()
74 공연 음악 권진수 다채로운 선율의 여행 뉴서울호텔 1층 로비 1030()
75 공연 연극 이지뮤지컬
컴퍼니
페이크북 KT&G 상상마당 대치아트홀 1111()
~ 1114()
76 공연 무용 김지우 눈 먼 여자들 은평예술회관 내 숲속극장 1030()
~ 112()
77 공연 음악 소이코x신타펑크 x강수정 불가역적미래:우리들에게 클럽온에어 1026()
78 공연 전통 ()국악단 소리개 국립국악원 '예약당' 1024()
79 공연 전통 오초롱 중묘 : 재래- 스타 스테이지 112()
80 공연 연극 창작집단 상상두목 변두리 소녀 마리의 자본론 연희예술극장 1010()
~ 1019()
81 공연 무용 댄스시어터샤하르 창작발레 <안네 프랑크> 노원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1017()
~ 1018()
82 축제 무용 국립극장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1030()
~ 1031()
83 공연 전통 국립국악관현악단 국악가요 국립극장 하늘극장 1025()
84 공연 무용 국립무용단 2025 안무가 프로젝트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116()
~ 119()
85 공연 연극 서울시극단 트랩 세종S씨어터 117()
~ 1130()
86 공연 무용 서울시발레단 더블 빌
<한스 판 마넨 x 허용순>
세종M씨어터 1030()
~ 112()
87 공연 무용 서울시무용단 미메시스 세종M씨어터 116()
~ 119()
88 축제 전통 세종문화회관 대한민국 국악관현악축제 세종M씨어터 1015()
~ 1025()
89 공연 음악 세종문화회관 10월 누구나 클래식 <다니엘의 해설 클래식 - 차이콥스키와 발레음악> 세종대극장 1021()
90 공연 음악 서울시합창단 낙엽 위에 흐르는 멜로디 세종체임버홀 1030()
~ 1031()
91 축제 전통 ()세계판소리
협회
월드판소리페스티벌 백일독공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남산한옥마을
108()
~ 109()
92 축제 전통 호수이영준
문화재단
3회 호수문화제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1011()
~ 1012()
93 공연 전통 대헌민악회 3회 대헌민악회 정기연주회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1010()
94 공연 전통 서울돈화문국악당 여유작콘서트(가제) 서울돈화문국악당 국악마당 108()
~ 109()
95 공연 전통 서울돈화문국악당 야광명월 서울돈화문국악당 국악마당 108()
~ 109()
96 공연 전통 최은혜 진도 토속음악이 현을 만나면 서울돈화문국악당 1018()
97 공연 전통 소을소리판, 아뜰리에 루 떴다 ! 월드 제비 서울돈화문국악당 1010()
98 공연 음악 서울시립교향악단 행복한 음악회 함께 롯데콘서트홀 1012()
99 축제 전통 서울시 서울 전통춤 문화제 노들섬 1017()
~ 1018()
100 공연 연극 극단피악 단테 신곡 세종S씨어터 919()
~ 1012()
101 공연 연극 김아라 P.Group TAE(극단무천) 페터 한트케의 우리가 서로
알 수 없었던 시간
남산팔각광장
(남산서울타워 앞)
1018()
~ 1019()
102 축제 전통 한국전통춤연구회 광화문 전통춤 페스타 광화문광장 놀이마당 106()
103 공연 전통 ()옥단국악국극보존회 추석특집 여성국극
<정년이 광화문에 오다!>
광화문광장 놀이마당 105()
104 축제 무용 서울발레시어터 2025 서울발레페스티벌 서울국제발레위크 석촌호수 1017()
~ 1019()
105 축제 연극 서울문화재단 서울연극센터 서울연극센터 프로젝트 '가을' <리플레이(Re; Play)> 서울연극센터 1층 라운지 116()
~ 1127()
106 공연 복합 서울문화재단 공연기획팀 <Assess.Masses>
(당나귀들의 반란)
대학로극장 쿼드 118()
~ 119()
107 축제 무용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개관 페스티벌
<에브리바디, 에브리원>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94()
~ 1031()
108 공연 연극 서울문화재단 서울연극창작센터 오픈 랩 씨어터 서울연극창작센터
서울씨어터 제로
1014()
~ 1122()
109 축제 연극 서울문화재단 서울연극창작센터 10회 여성연극제 서울연극창작센터
서울씨어터 202
1014()
~ 1116()
110 축제 복합 서울문화재단 축제기획2 서울거리예술축제 서울광장 등 106()
~ 108()
111 축제 무용 대한무용협회 46회 서울무용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외 1 1121()
~ 127()
112 축제 전통 더원아트
코리아
5회 ㅊㅊ-하다 페스티벌 노들섬라이브하우스 1116()
~ 1122()
113 축제 복합 옵신 /신페스티벌 아케이드 서울 1120()
~ 1130()
114 축제 음악 노블아트오페라단 서울오페라페스티벌 강동아트센터 1118()
~ 1122()
115 축제 전통 ()서울아리랑
보존회
서울아리랑축제
(SEOUL ARIRANG FESTIVAL)
서울놀이마당 1115()
~ 1116()
116 축제 전통 동아작곡가회 1회 동아창작국악제 서울돈화문국악당 1113()
~ 1114()

 

ewha-media@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biz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